• 제목/요약/키워드: 검사도구

검색결과 1,349건 처리시간 0.039초

길포드의 지능구조모형에 의한 정보활용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formation Literacy Test by Guilford's Structure of Intellect Model)

  • 이병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81-200
    • /
    • 2013
  • 정보활용교육을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해서는 피교육자의 능력을 진단, 측정하고 교육목표의 도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검사도구가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 중등 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정보활용능력 측정을 위한 웹기반의 표준화된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검사도구의 개발을 위해서 우선 정보활용능력의 구성요인을 추출하고, 길포드의 지능구조모형과 메이커의 학습능력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정보활용능력 검사도구의 프레임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검사도구는 웹 기반의 선다형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794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문항의 난이도, 신뢰도, 변별력 지수, 타당도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을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한 표준 점수를 제시하였다.

초등학생들의 과학윤리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Science Ethicality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성덕;김효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3
    • /
    • 2016
  • 이 연구는 과학윤리성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도구의 개발을 목적으로, 과학윤리성 진단 검사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과학윤리성을 정의하기 위하여 Rest(1983, 1986)의 도덕성 4구성요소 모형을 과학윤리에 적용하였다. 과학윤리성 진단 검사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다음의 과정을 수행하였다. 우선 청소년 도덕성 검사도구(Kim & Lee, 2012)를 분석하였고, 이를 수정하여 과학 윤리성 진단 검사도구에 적용하였다. 과학윤리성의 4가지 구성요소를 설정하고 각각의 하위요소를 선정한 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예비검사와 이해도 검사를 통하여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검사도구를 개발함에 있어서 검사도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2명의 과학윤리 전문가, 2명의 윤리교육 전문가, 1명의 과학자에게 내용의 타당성을 점검받았다. 그리고 개발된 과학윤리성 진단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3, 4, 5, 6학년 학생 599명을 대상으로 과학윤리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과학윤리성 진단 검사도구의 문항에 대한 신뢰도와 검사점수에 대한 신뢰도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과학윤리성 진단 검사도구가 신뢰할 수 있게 개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초등학생들을 대상을 한 과학윤리성 검사 결과, 과학윤리 민감성은 지역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과학윤리 동기화는 학년별 지역별 차이가 나타났다. 과학윤리성 진단 검사도구는 초등학생들의 과학윤리성을 진단하는 목적으로 충분히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추후 중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검사를 실시하여 도구의 신뢰도를 파악하고 초등학교 학생들과 비교해보는 연구를 제안한다.

아동의 독서태도 검사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Reading Attitudes Test Tool for Children)

  • 박주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329-358
    • /
    • 2016
  • 이 연구는 아동의 독서태도를 다양한 측면에서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선행 독서태도 검사 도구, 독서태도 모델과 독서태도에 관한 암묵적 지식 연구를 토대로 구성요인을 설정하고 문항을 작성하였다. 검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초등학교 4-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차와 2차 검사를 실시하였다. 독서태도 검사도구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개의 구성요인에서 8개의 하위요인을 추출하였고, 추출된 8개의 요인은 전체변량의 66.29%를 설명하였다. 문항내적 상관계수 r값은 모든 문항에서 0.4이상으로 나타났고, 독서태도 검사도구의 Cronbach ${\alpha}$값이 0.950으로 나타나 개발된 독서태도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인지, 정서, 행동의지를 독서태도 구성요인으로 하고 독서효용성과 독서효능감, 여가, 자극, 몰입, 표현, 학습, 적극성을 하위요인으로 하는 독서태도 검사도구는 아동의 독서태도에 관한 다양한 측면을 검사하기에 유용한 도구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에 관한 검사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Test Tool of Astronomical Spatial Concept Level)

  • 서창현;이항로;김희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08-52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검사도구는 천문학적 공간개념을 이루고 있는 기본적인 하위 요소들 (공간위치, 공간추리, 공간변화)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개발된 검사도구는 274명의 고등학생들에게 투입되어 검증되었다. 문항 분석결과, 본 검사도구의 내용타당도는 98%였으며, 신뢰도(K-R 20)는 0.84, 정답율 52%, 변별도 지수 0.27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본 검사도구가 고등학생들의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을 측정할 때 활용 가능함을 의미한다.

CT 기반 역량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탐색 개관 (An Overview of Explo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ies Assessment Tools based Computational Thinking)

  • 김동만;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415-416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 CT 검사 도구를 확인하여 한계를 파악하고, CT 기반 역량의 의미를 밝히고 이를 통해 올바른 CT 검사도구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연구로 CT 기반 스킬을 통해 CT 역량을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으로 CT 역량을 검사하는 것은 CT 기반 역량을 검사하는 것으로 CT 기반 하드스킬을 밝혀내어 이를 평가 요소로 적용한다면, 기존 검사도구의 한계를 극복하는 묘책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의 후속으로 CT 기반의 하드 스킬을 찾아 CT 기반 역량을 명확히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검사도구를 개발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 PDF

창의적 수학문제해결력 검사도구의 요소

  • 유윤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7권
    • /
    • pp.159-168
    • /
    • 2003
  • 본 연구는 창의적 수학문제해결력의 검사도구의 요소들을 제시하고 있다. 수학적 창의성을 과정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수학적 창의성을 창의적 수학문제제해결과 동일시하고 그에 따른 검사도구의 기본요소들을 Polya의 문제해결기법에서 나타나는 메타인지적 전략과 수학적 마인드를 검사하는 요소들로 구성하였다.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정보과 핵심역량에 관한 검사도구 분석 (Analyzing the Instruments on cor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Informatics Curriculum)

  • 우호성;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9-58
    • /
    • 2018
  • 역량은 지식이나 기능보다 확장된 개념으로 다양한 문제를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2015 정보과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핵심역량에 주목하여, 핵심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국내외 검사도구의 구성 방법 및 내용 구성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국가 및 기관에서 개발한 12개 검사 도구를 분석한 결과, 컴퓨팅 사고력, 정보문화소양,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기준으로 9개 검사 도구는 두 가지 이상의 역량을 측정하고 있었으며, 3개의 검사 도구는 한 가지 역량만을 측정하고 있었다. 10개의 검사 도구는 컴퓨터 기반검사를 시행하고 있으며, 객관식, 주관식, 서술식 중 2가지 이상의 형태로 문항을 개발한 검사도구가 50%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과 교육으로 길러지게 될 역량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 도구의 개발 방향에 중요한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고등학생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Action Competence on Climate Change within High School Students)

  • 백성희;신현정;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533-54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을 진단하는 검사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다. 내용타당도 검증과 두 차례의 조사를 바탕으로 검사도구를 개발하였고, 본조사는 전국의 고등학생 1~2학년 5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문항 분석(평균, 왜도, 첨도, 문항-전체 상관),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활용하였다.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 검사도구는 7가지 영역의 총 3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15분 내외이다. 이 검사도구의 영역별 구성은 기후변화 관련 지식, 기후변화 감수성, 성찰능력, 통합적 사고, 의사소통능력, 의사결정능력, 실천 의지이다. 이 검사도구는 자기보고식의 5점 리커트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보통이다, 4=그렇다, 5=매우 그렇다)로 응답하도록 되어있으며, Cronbach-α 값은 전체 0.953, 하위요소의 경우 0.786~0.862의 범위로 나타났다.

Unix Ware 커널 수준의 효율적인 검사점 및 복구 도구 (An Efficient Checkpoint and Recovery Facility on UnixWare Kernel)

  • 홍지만;한상철;윤진혁;박태순;염헌영;조유근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A)
    • /
    • pp.139-141
    • /
    • 2000
  • 검사점 및 복구 도구는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안정된 저장소에 저장을 하고, 결함이 발생하였을 경우 가장 최근의 검사점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복구하게 하는 도구이다. 특히 검사점 및 복구 도구는 장시간 수행되는 프로세서에게는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결함으로 인해 장시간 수행되는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된 중간 결과를 잃어버리지 않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UnixWare 커널 수준의 검사점 및 복구 도구인 Kckpt의 설계 및 구현 내용을 제시하고, Kckpt의 성능을 사용자 수준에서 구현한 검사점 라이브러리와 비교한 결과를 제시한다. Kckpt를 사용함으로 해서 UnixWare는 소스 코드 수준에서 사용자가 초기화한 장소에서 검사점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행 가능한 파일만을 가진 사용자에게도 완전한 투명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Kckpt를 사용자 라이브러리 수준에서 구현한 검사점 도구와 성능을 비교한 결과 오버헤드가 훨씬 줄어들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과학 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활용 및 개선 내용 분석 (Analysing the Use of Test Tools in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and its Improvements)

  • 정수임;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63-277
    • /
    • 2019
  • 이 연구는 1989년 이후 30년간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과학 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활용 현황과 이와 관련한 검사 도구의 수정 사례와 내용을 분석했다. 이로써 향후 검사 도구 개발과 개선 과정에 대한 실질적 정보를 제공하고, 타당한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근거를 마련했다. 연구는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를 중심으로 한 국내 과학 교육 연구 88편의 현황과 이들이 참고한 국내 외 원도구 57건의 현황을 분석했다. 그 후 원도구가 개정되었던 사례 5건의 특징과 구체적 문항 수정 사례를 비교했다. 연구 결과 국내 연구 현황에서는 지속적으로 나타난 주제와 최근에 출현하기 시작한 주제, 연구 목적과 평가 방법에 따른 연구 상황, 원도구 활용 현황 등이 분석되었다. 분석 대상 연구의 원도구 중 개정 과정이 공개된 5건의 검사 도구인 TOSRA, SAI, PISA 문항, STEBI-A/B, SMQ 등에 대해 개정 배경과 주요 사항을 분석했다. 개정 전후의 문항이 공개된 4개의 검사 문항을 비교해서 문항의 변천 과정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문항 개선은 하위 구인의 변화에 따른 신설과 삭제, 가독성 향상, 의미를 명료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으로 여러 구인이 혼재된 검사 도구에서 얻은 결과 해석상 유의점, 연구의 지평을 넓혀주는 검사 도구의 가능성, 주관적 자기 보고에서 나타나는 오차 인식, 타학문에서 유래한 검사 도구를 과학과에 적용시킬 때 유의할 점 등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