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문화재 보존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3초

5개의 연결부를 가지는 역진자형 석조문화재의 동적 해석모델 및 안정성 연구 (A Study on Dynamic Analysis Model and Stability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of Inverted Pendulum Type with 5 Joints)

  • 최재성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21-30
    • /
    • 2021
  • 건축문화재들은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로 인해 많은 손상이 발생된다. 손상된 문화재를 보존하기 위해서 예방보존 및 장기적인 보존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래서 정기적인 점검 시에 적용 가능한 과학적인 비파괴 검사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관련된 연구를 위해서, 여러 문화재들 중에서 높은 깃대 형상의 당간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보존되고 있는 당간들 중에서 보물 제49호 나주 석당간을 선정하여, 구조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 기법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상화된 모델을 제시하고, 다자유도 운동방정식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연결부 위치별 임계 강성 값을 추정할 수 있는 식을 제시하였다.

관야정(關野貞)과 건축문화재 보존 - 한국건축문화재 보존과의 연관관계를 중심으로 - (Sekino Tadashi and Architectural Conservation in Korea - focused on the relationship of his methodology of studying architectural history and architectural conservation in Korea -)

  • 강현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1호
    • /
    • pp.41-55
    • /
    • 2005
  • Most of researches in Korea by far on Sekino Tadashi were mainly focused on his historical view only. The main observations of this study, instead, are that; (1) his methodology of studying architectural history was closely related to his previous experiences with the conservation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s in Japan, and (2) his earlier activities in Korea mad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servation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s in Korea. Sekino started his carrier after the graduation from the university by participating in the restoration sites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s in Japan, and his experiences at that time had founded the basis of his methodology of studying architectural history. Later, his on-site experiences were also adapted into the conservation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s in Korea when Korea was about to be colonized by Japan. In other words, Sekino's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s started from 1902 had a meaning of not only the starting point of the study on the Korean architectural history but also the starting point of the conservation of the Korean architectural heritages. Especially, Sekino's study during 1909 1912 prioritized the conservation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s as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influences of the study spanned over the entire colonial period by Japan. The influences were that; (1) Sekino's studies in 1909 1912 had outlined the colonial government's policy of the conservation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s, and (2) many restorations were made based on those studies.

  • PDF

제천시 건축문화재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시민의식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Civic Consciousness for Preservation and Reuse of Architectural Heritage in Jecheon)

  • 이완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78-87
    • /
    • 2013
  • This study is targeted at the people who live in Jecheon. It investigated the general term concerning the preservation and reuse of architectural heritage, the awareness of local architectural heritage, and the civic consciousnes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al heritage and townscape. And, it is aim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preservation and reuse of architectural heritage and townscape in Jecheon.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urvey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 are as followings. Firstly, when the policy related to the preservation and reuse of architectural heritage in Jecheon is to be made and proceeded, it should actively promote and reflect the views of the citizens. Secondly, it should be to develop the available utilization programs and to find the method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architectural heritage. Thirdly, it should be considered the method which can give the economic benefits to owners and the enjoyment of culture to the citizens. Lastly, the long term plan will be required for a distinctive townscape in Jecheon. And, when modern architecture adjacent to the architectural heritage is built, we should be considered the design which can be expressed the historicity of architectural heritage.

역사적 도시환경보존을 위한 건축문화재 활용방안 연구 -일본(日本) 카와고에시(川越市) 쿠라츠쿠리(藏造り)를 중심으로- (Use of Architectural Heritage for the Conservation of Historic Urban Environment -Kurazukuri Buildings in the city of Kawagoe, Japan-)

  • 황보봉
    • KIEAE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121-126
    • /
    • 2014
  • Many cities in Japan retain older city structures with buildings in traditional form and style. Visitors are fascinated by charms and tranquility of pre-modern life styles. Architectural features of olden days are well conserved or carefully restored on purpose. In the case of Kawagoe city near Tokyo, local residents are largely replete with visitors without being necessarily aware of slow commodification of historic spaces. Kawagoe is yet socio-culturally sustainable and financially fit. This paper intends to analyse conservation strategies, with focus on architectural heritage, taken for the historic city of Kawagoe. With the population of 300,000 in the suburb of Tokyo, it is one of the best known historic cities in Japan. Kawagoe grew as a merchant city since 1700s, and it once reached to a major port of silk trade en-route to Edo (Tokyo) from northen provinces. Tourism industry is discovered as a key element in the conservation strategies applied to revitalize historic city center, Ichibangai, an important cultural heritage site with special reference to kurazukuri. This paper argues that augmentation of conceptions in architectural heritage is not only advantageous for the conservation of historic urban environment but it also provides opportunities for sustainable urban renewal.

민속마을 문화재구역 내 건축물 보존현황에 관한 조사연구 - 제주 성읍마을의 성외지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Preservation Status of Buildings in the Cultural Heritage Zone of Folk Village - Focused on the Outside Zone of Castle in the Jeju Seongeup Village -)

  • 김태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27-35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preservation of buildings in the Cultural Heritage Zone of folk village. Since actual residents inhabit and live in cultural properties, for instance a folk village, so their original forms have been changed over time responding to changes of the social environment. So this present study selected one folk village, located in the largest cultural heritage zone and lived most resident in our country, after which investigated its deformation process. This study also conducted in-depth analysis relying on the data collected from aerial photographs, field surveys, building ledgers. In particular, such analysis focused on changes in unauthorized alteration to the existing state that have been attempted so far.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were found in a number of buildings, caused from damages to landscape of cultural assets. Finally, the reasons for such deformation were interpreted to utilize as future references for restoration of the folk village landscape.

목조건축 문화재의 화재방호를 위한 법규 개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Legal Improvement for Fire Protection in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 김동철;노삼규;함은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19-26
    • /
    • 2015
  • 본 연구는 목조건축 문화재의 화재방호를 위하여 설치되고 있는 소방시설 설치기준에 관하여 법체계 및 제도적 장치 확보에 관한 사항이다. 목조건축 문화재의 화재방호를 위해 설치되고 있는 소방시설과 현행 법제도를 고찰함에 따라 문제점이 나타났으며, 법정 소방설비와 자체진화 소방설비 등의 구축과정에서 화재방호성능, 기술기준, 책임소재 등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목조건축 문화재는 화재방호 시설을 구축하더라도 문화재 원형보존의 원칙은 최소한 확보되어야 하므로 소방시설은 화재 특성을 고려하여 화재방호 성능이 확보될 수 있도록 설치기준을 법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목조건축 문화재 소방시설 구축 시 성능확보를 위하여 설계 시공 및 감리제도의 법정화를 통한 구축시스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소방시설 기술기준의 법정화를 제안한다.

등록문화재 제233호 '공주 중학동 구 선교사가옥'의 유래와 보존현황 (Origin and Preservation Status of the 'Gongju Junghakdong Old Missionary House',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No. 233)

  • 서만철;김성배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21
    • /
    • 2018
  • 등록문화재 제233호 '공주 중학동 구 선교사 가옥'의 유래와 보존현황에 관한 연구결과 건축연대는 1921년 10월 23일이 합당하며 일제 강점기 말기 최후 거주자는 그동안 Amendt 선교사로 알려져 왔으나, 1939년 작성된 Williams 선교사의 편지 및 새로운 증언에 의해 Alice Sharp 선교사가 1939년 은퇴시까지 사용하였던 건물로서 독신여선교사들의 주거는 물론 여학교역할도 하였던 건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 문화재의 명칭도 '공주 여선교사 기념관'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문화재의 내 외부 보존현황 조사 결과 건물 벽체의 기울기에는 이상이 없으나 내부 목재상태가 상당부분 열화되어 있어 안전진단 후 전체적인 보수가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된다. 특히, 창호시설의 경우 본래의 상하 미닫이 창호로 복원할 필요가 있으며, 건물의 남서측 계단과 데크 및 우물의 원형복원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문화재의 하부지반의 안전성에 관한 지반 비파괴진단결과 이 선교유적이 2~5 m 두께의 불균등한 표토층 위에 건축되었으며 표토층과 그 하부의 풍화암과의 경계면이 지형경사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현상이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우기에 지반의 함수비가 증가하면 지반의 지지력이 저하되는 바 부등침하발생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집중호우가 발생한다면 산사태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건물 부지의 남서단 경계부에 석축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신속한 배수가 되도록 배수시설 설치가 필요하다.

보존처리실 신설시 고려 사항 (Things To Be Considered for a New Conservation Laboratory)

  • 안병찬
    • 보존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2-57
    • /
    • 2002
  • 문화재 보존실은 문화재 병원과 같은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일반 사무실과 같은 기준에 따라 신설되는 것이 보통이다. 여기서는 보존실 신설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일반적인 조건들을 건축, 전기 및 조명, 공조, 소방, 기기분야로 구분해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이와함께 보존실 업무의 특성이 반영된 작업공간을 창출하는 요령으로서 처리실의 공간구획을 작업대를 기준으로 하고 기자재 배치시 상하수도 및 공조시설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처리실의 업무와 성격이 다양해 여기서 제시한 기준과 요령을 모든 경우에 적용하기는 어렵겠지만, 이러한 조건을 이해한 뒤 해당 보존실 업무의 전문성과 기능에 적당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서 처리실 신설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PDF

건축문화재 기록의 특성과 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Records of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 강수나;김익한
    • 기록학연구
    • /
    • 제19호
    • /
    • pp.3-55
    • /
    • 2009
  • 건축문화재 기록은 건축문화재 관리 업무의 과정과 결과로 만들어지며, 문화재청 및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문화재수리업자와 같은 복수의 주체가 동일 문화재의 관리 업무를 각각 담당한다. 또한 업무의 특성상 설계도면 등의 특수한 성격의 기록과 다수의 사진, 동영상 기록 등을 포함하므로, 건축문화재에 대한 관리 업무의 절차와 그 기록의 특수성을 파악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생산되고 관리되어야만 건축문화재 기록의 가치를 상실하지 않게 된다. 본 연구는 건축문화재 관리 업무 현장의 현실에 맞는 기록관리의 방법을 제안하고, 건축문화재 기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차후에 활용하기 위해 지정문화재와 등록문화재를 대상으로 하여 건축문화재 관리업무 및 생성 기록의 특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이러한 특성에 맞는 통합적이고도 과학적인 기록관리의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표이다. 연구결과 건축문화재 기록의 관리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기관별로 분산되어 있는 관리체계이다. 이에 기록 생산 기관인 문화재청, 지방자치단체, 문화재수리업자 각각이 기록을 분산 관리하되 통일된 시스템에 기록을 등록 관리하는 네트워킹 체계를 구축하는 방안과 전문 시설과 인력을 갖춘 전문적인 기록물 관리기관으로서의 건축문화재 전문 아카이브즈를 만들어 이를 통해 기록들을 통합 관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국가지정문화재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내 건축행위 등에 관한 허가심의 실태조사연구 - 최근 5년간(2010~2014)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회의록을 중심으로 - (Study on Status of Permission Review for Construction Activities within the National Cultural Property Historical Cul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Area - Based on Recent 5 Years' (2010~2014) Meeting Records of Cultural Heritage Committee i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 조홍석;박현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10-125
    • /
    • 2017
  • 1962년 문화재를 보존하여 이를 활용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수준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제정된 문화재보호법은 2000년 지정문화재를 대상으로 하는 대상적 범위의 극복을 위해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제도를 도입, 이후 허가 절차 및 대상 등의 보완을 위해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내 건축행위 등에 관한 허용기준 작성 지침 제정(2006), 국가지정문화재 주변 경미한 현상변경 행위 고시(2008) 등 지속적인 개선노력을 해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7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던 개별 현상변경 허가처리 건수는 2010년부터 다시 증가, 2014년에는 총 1554건이 접수되었고, 그 중 약 29%가 불허 또는 심의 중에 있는 것으로 확인, 문화재 주변 지역주민들의 주민 불편사항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5년간(2010~2014) 문화재위원회 가운데 현상변경 관련 분야 5개 분과위원회(건축/사적/천기/근대/중민)의 허가 처리현황 전체 7,403건에 대한 통합DB를 구축, 그 가운데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에서 이루어진 4,364건을 대상으로 심층분석을 실시하여 신청유형과 행위 유형 특성을 분석하고, 분석결과 유형화 및 시사점 도출을 통해 현상변경 허가대상을 규정하는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내 경미한 건축행위 등에 관한 기준과 문화재위원회 운영 지침의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단기적으로는 관련 행정처리기준의 보완과 더불어 시 군 구 위임사무범위 등의 제도개선방안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한편,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내 건축행위 등의 허가제도 개선을 통한 행정효율성 제고 및 허가심의에 필요한 사회경제적 지출 최소화로 국민불편 경감효과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