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설작업자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25초

건설현장 내 작업자 실내측위를 위한 지구자기장 보정 범위 도출 (Identifying Correction Range of Geomagnetic Field for Indoor Positioning of Workers at Construction Site)

  • 김현민;안희재;이창수;김하림;고영웅;조훈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93-94
    • /
    • 2022
  • Although various studies about indoor positioning systems, such as beacon and Wifi, have been conducting for indoor positioning of workers at construction sites, these systems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accuracy or economic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geomagnetic field sequence-based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can be a good alternative.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geomagnetic field near the construction material stocking area since the geomagnetic field can be distorted near construction materials such as rebar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for identifying correction range of geomagnetic field near the construction material stocking area. It was analyzed that the geomagnetic field should be corrected up to 60c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tocking point if the height of stocking area for rebars is 40cm or more. This study can be used for important reference for development of geomagnetic field sequence-based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suitable for construction sites.

  • PDF

거푸집공사 단계에서의 지구자기장 기반 작업자 실내측위기술 적용 방법 (Application of Geomagnetic Field-Based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in the Formwork Stage)

  • 김형준;이창우;김현민;안희재;이창수;조훈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13-214
    • /
    • 2023
  • Positioning information of workers is important for safety management at construction sites. Among the various indoor positioning technologies, geomagnetic fields-based technology is more economical and has less error than other technologies.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materials such as formwork at construction sites can cause degradation in positioning performanc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istortion of the geomagnetic field near euro-form was quantitatively measured and the application method of geomagnetic field-based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on formwork stage was presen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stortion occurred within 10cm of the wall and column form, but positioning accuracy could be affected up to 60cm from the form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geomagnetic field-collecting technology. Therefore, applying this technology to the formwork stage requires complementary measures, such as using other positioning techniques up to 60 cm near the formwork, or excluding distorted area when positioni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efficient safety management of workers by suggesting ways to prevent an increase in positioning error when applying geomagnetic field sequence-based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during the formwork stage.

  • PDF

BIM 기반 위험요소 도출을 통한 정량적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 - 떨어짐 사고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odel by BIM-based Risk Factor Extraction - Focusing on Falling Accidents -)

  • 고휘재;현지훈;이주희;안요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15-25
    • /
    • 2022
  • 건설산업의 중대재해 발생률 및 사망률이 가장 높아짐에 따라 이를 감축하기 위해 국내에서도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중 위험성 평가는 시공단계 위험요소를 평가하고 재해 감소대책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위험성 평가는 수행자의 주관이 개입되며 국내 건설현장에 취약한 측면이 있다. 본 연구는 위험성 평가 분야에 BIM을 활용하여 정량적으로 위험요소를 도출함으로써 리스크를 조기 식별하고 사전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위험성 평가를 위한 DB 분류체계를 구축하였으며 BIM을 활용한 위험성 평가의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리스크의 사전 제거로 시공 작업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키고 안전관리 분야의 추가비용을 절감한다. 또한, 신규 공법에도 적용 가능하므로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이해도를 높이며 의사소통의 도구가 된다. 본 연구는 BIM을 기반으로 정량적인 위험도를 도출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연구로써, 향후 BIM을 활용한 위험성 평가 분야에 기반 기술로 활용될 것이다.

항만공사용 사석 고르기 수중로봇의 제어 및 지형인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ntrol and Topographical Recognition of an Underwater Rubble Leveling Robot for Port Construction)

  • 김태성;김치효;이진형;이민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7-244
    • /
    • 2018
  • 수중에서 로봇으로 사석 고르기 작업을 실시할 경우 로봇 주위의 지형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야 원격조종이 가능하다. 현 위치로부터 주변지형의 높낮이를 보여줘야 운전자가 작업 계획을 수립하고, 전복과 같은 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지형인식은 멀티 빔 소나에 의해 이뤄졌는데 이는 작업 전후의 품질을 평가하는 용도만 사용되었지 원격조종에서 필요한 실시간 정보로는 사용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수중 사석 고르기 작업을 위한 실시간 지형인식 방법을 개발한다. 버킷이 지면을 누를 때 전달되는 힘을 측정해 접촉여부를 판단하고, 실린더의 길이를 읽어 접촉위치를 계산한다. 버킷의 위치제어를 위해 가변 뱅뱅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숙련된 굴삭기 운전자의 작업패턴을 프로그램화해 지형인식, 긁기, 밀기, 전진 등의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개발된 방법은 로봇 몸체로부터 버킷의 거리에 따라 3차원 격자 지형을 상대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작업자가 쉽게 지형을 인식하고 지형에 따라 작업계획을 세우도록 한다.

노면표시 제거 장비 개발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블래스터 적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ry-Ice Blaster for Development of Automatic Stripe-Line Removal)

  • 구자경;문득수;;이태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2D호
    • /
    • pp.245-253
    • /
    • 2009
  • 도로시설은 교통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인프라 시설로, 원활한 교통흐름을 위해 다양한 정보를 노면에 포함하고 있다. 노면에 표시된 다양한 정보는 차량 소통으로 인한 부분 파손 및 노화에 의해 제거되고 다시 표시되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해당 도로의 교통정보의 변화에 따른 노면표시 정보를 새로 표시하기 위해 기존의 것을 제거해야 한다. 종래의 노면표시 제거방법은 그라인더와 토치를 이용하여 인력작업으로 작업장비의 위험성과 함께 작업자가 운행 중인 차량에 직접 노출 되는 점과 아스팔트에 손상을 입히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초 고압수를 이용한 워터젯 시스템은 노면표시 제거작업에 활용되고 있으나 물탱크에 따른 작업의 제약 및 작업 후 도로표면에 남은 수분의 결빙 및 한정된 도료의 제거 등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면표시 제거 작업공정 분석 선행연구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블래스터 도입의 자동화 차선제거 시스템 개발을 위해 프로토타입 개발을 수행하였다. 또한 환경과 작업성을 고려한 새로운 노면표시 제거 자동화 장비의 제안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블래스터 장비 도입의 가능성을 테스트를 통해 파악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노면표시 중 차선 제거를 하는데 소요되는 작업 비용을 새로운 방법과 비교 분석 하였다.

건설분야 통합 리스크관리에 관한 구성 모델 (A Development of Integrated Risk Management Model of Large Construction Projects)

  • 김창학;박서영;강인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1-10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 리스크관리 현황을 파악하여 현재의 리스크관리 및 분석상의 문제점 및 기초적 개선방안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기초조사에 근거하여 연구에서는 리스크관리 시스템의 총괄적 구성을 리스크관리준비, 리스크확인, 리스크분석, 리스크대응의 4단계로 구분한 바 있으며, 이러한 각 프로세스별 리스크관리를 통합하여 구현할 수 있는 실무적 분석절차를 모형화 및 전산화하였다 전산화를 위한 리스크관리의 단계별모듈은 기획, 시공, WBS 및 RBS의 연계활용, 리스크분석모듈로 구분 구성하며, 리스크분석기법으로 기존의 Fuzzy 기법을 단순화 한 분석방법론을 구성하였다. 모든 시스템구성은 시공자 위주로 구성하며 전산화 작업은 인터넷 기반으로 구성하여 본사 $\cdot$ 현장 및 계약자간 실시간 리스크관리 및 분석체계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웹기반 메뉴방식으로 구성하여 실무사용시의 편리성을 극대화 하였다.

  • PDF

건축물 에너지 분석 자동화를 위한 건축 자재명 온톨로지 구축 (Development of Construction Material Naming Ontology for Automated Building Energy Analysis)

  • 김가람;김건우;유동희;유정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137-145
    • /
    • 2011
  •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게 되는 현재 건설산업에서 표준 포맷을 사용한 Building Information Model (BIM) 데이터 교환은 건물 전 생애주기에 걸쳐 관련 실무자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업무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하지만, 설계 프로그램에서 Industry Foundation Class (IFC) 포맷의 파일을 사용하여 건축물 에너지 분석으로 데이터 교환 시 BIM 정보에서 추출된 자재 정보를 에너지 분석 도구에서 직접 사용할 수 없어 추가적인 데이터 입력 작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자재에 관련하여 에너지 분석 엔진인 DOE-2 의 기본 라이브러리에서 사용하고 있는 자재 라이브러리와 매칭될 수 있도록. IFC 파일에서 추출된 건축물 자재 표기명을 에너지 분석 프로그램의 자재 라이브러리 표기명과 자동으로 매칭 시키는 온톨로지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에너지 분석 시 분석 과정의 효율성 및 분석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건설사업에서 온톨로지 활용에 대한 개념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3D 프린팅 기술의 건설 산업 적용가능성 검토 (Reviewing the Applicability of 3D Printing Technolog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박진수;김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119-124
    • /
    • 2022
  • 최근 적층제조기술을 활용한 건축 상품 시공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적층제조기술은 건축 상품 시공과정을 자동화하여 작업자 안전을 확보한다. 또한, 비정형 형상의 구현효율성이 높아 건축물과 기반시설제조과정에 적용 가능성을 주목 받고 있다. 적층제조기술은 현대의 건설 산업에서 요구되는 컴퓨터 기반의 시공자동화, 자원관리, 시공기간예측 등을 만족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하지만, 아직 부족한 누적 데이터와 표준, 규제, 운영방법 등에 의해 산업 적용이 제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 적층제조기술 적용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2개의 적층제조시스템으로 건축 상품을 제조한다. 또한 각 건축 상품은 적층생산결정모델을 통해 적합한 제조시스템으로 투입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실증 실험을 통해 제조과정의 문제를 확인한다. 결과적으로 건축 상품의 품질 향상을 위한 확장된 적층생산결정모델을 제안한다.

건설 프로젝트 데이터 특성을 반영한 기준생산성 산정 방법 (A Method of Calculating Baseline Productivity by Reflecting Construction Project Data Characteristics)

  • 김은서;김준영;주선우;안창범;박문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3-11
    • /
    • 2023
  • 건설업은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성능과 생산성의 변동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계약자의 실제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기준생산성을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산출하여야 한다. 하지만, 기존 문헌에서 주로 제시된 기준생산성 산출 방법은 주관성이 내재된 기준을 사용하여 기준생산성을 산출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에 과도한 비용과 시간이 투입되는 기존의 'Five-minute Rating'과 같은 데이터 수집 방식으로는 공사 현장에서 실적 물량, 실적 자원과 저해 요인이 포함된 Detailed Data를 수집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Unimpacted Productivity BP를 산출할 때 활용되는 Detailed Data를 체계적인 형식으로 기록할 수 있는 작업 체크시트 와 과도한 비용과 시간을 들이지 않고 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 기준생산성 산출 방법의 객관성과 신뢰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교 분석하여. Detailed Data를 활용한 보다 더 객관적이고 정확한 Unimpacted Productivity BP를 활용한 기준생산성 산출을 제안한다.

건설현장에 적합한 영상 기반 굴삭기 접근 감지 시스템 (Image-based Proximity Warning System for Excavator of Construction Sites)

  • 조병완;이윤성;김도근;김정훈;최평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588-597
    • /
    • 2016
  • 고용노동부에서 매년 조사하는 산업재해현황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 중 건설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 24.09%에서 2014년 27.56%로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구조물의 고층화 및 건설 공사의 대형화로 인해 건설장비의 사용이 매년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재해 역시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건설장비에 의한 재해는 주로 트럭, 굴삭기 등의 중장비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운전자가 주변의 작업자를 인지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충돌 및 협착에 의한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건설 장비에 의한 사고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굴삭기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영상기반 굴삭기 접근 감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영상기반 굴삭기 접근 감지 시스템은 카메라와 초음파센서로 구성된 접근 감지 센서 모듈과 접근 감지 센서 모듈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AVM(Around view monitor)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시스템은 별도의 기반인프라(서버, 통신망 등)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소규모 건설 현장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건설장비에도 활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