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 앱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7초

중년 여성 근로자의 모바일 앱을 활용한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 참여 경험 (Experience of middle-aged female workers participating i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prevention management programs using mobile app)

  • 양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105-113
    • /
    • 2021
  • 본 연구는 중년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모바일 앱을 활용한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일대일 심층면담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실시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백화점에서 모바일 앱을 활용하여 심뇌혈관질환 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50세 이상의 여성 근로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참여경험은 '알아가는 것에 대한 즐거움', '상호 우호적 관계의 활성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나를 관리하게 함', '익숙하지 않은 문화를 받아들임', '어디서나 상담을 받는 듯한 편리함'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모바일 앱이 건강행위 실천의지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바일 앱을 설치 시 낯선 프로그램에 대한 불안을 감소하기 위해 안전한 프로그램임을 보증할 수 있는 인증기준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를 가진 중소규모 사업장 남성 근로자의 모바일헬스 앱 활용 건강파트너십 프로그램의 효과: 무작위 실험연구 (Effects of a Health Partnership Program Using Mobile Health Application for Male Workers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김은진;황선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4-58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pply a health partnership program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mobile health apps to improv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male employees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Methods: Using a randomiz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ale employees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from five small and medium-sized workplace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n = 32) and a control group (n = 31).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couraged to use three mobile health apps for 12 weeks to acquire the necessary cardiovascular disease-related information and practice strengthening training, walking, and diet management appropriate to their level. They also received feedback on their weekly activities and motivational text messages from health partners.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the SPSS WIN 22.0.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ir perception of mobile health app (p < .05), self-efficacy for exercise and diet, self-management partnership, and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health behavior (p < .001). In particular,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body mass index, ratio, serum fasting blood sugar,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the experimental group (p < .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Conclusion: Intervention using mobile apps based on partnership with health managers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objective cardiovascular risk index in male employees; therefore, such intervention should be continuously used as a useful lifestyle modification strategy in the workplace.

U-Net 기반 이미지 분할 및 병변 영역 식별을 활용한 반려견 피부질환 검출 모바일 앱 (Mobile App for Detecting Canine Skin Diseases Using U-Net Image Segmentation)

  • 김보경;변재연;차경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25-34
    • /
    • 2024
  • 본 논문은 반려견의 피부질환 발병 여부와 부위를 추론하기 위해서 딥러닝 기반 U-Net 모델을 학습하여 이미지 촬영을 통한 반려견의 피부병 발병 여부와 추론되는 병명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U-Net은 의료영상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영역 분할(Image Segmentation) 기반 학습 모델로써 폴리곤 형태의 특정 이미지 영역을 구분하는 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반려견의 피부 이미지에서 병변 영역 식별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반려견의 6가지 주요 피부질환을 클래스로 정의하고 이를 분별하는 U-Net 모델을 학습시켰다. 이를 모바일 앱으로 구현하여 간단한 카메라 촬영으로 병변 분석과 예측 작업을 수행하여 결과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서 반려인들은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관찰하고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딥러닝을 통해서 반려동물 건강관리에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가정에서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중요한 의미를 두고 있다.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 TV 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솔루션 설계 (Design of Smart TV-based Smart Healthcare Solution for Healthcare Service)

  • 허성욱;강성인;김관형;최성욱;전재환;오암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1권2호
    • /
    • pp.361-36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스마트 헬스케어가 보건의료서비스에 특화시켜 환자와 의사가 직 간접적으로 진료를 할 수 있게끔 하는 스마트폰 환경에서의 원격진료 서비스가 부각됨에 따라 유무선 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노인, 만성질환자, 회복중인 환자나 수술 후 환자 그리고 일반인 등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불편하거나, 거추장스럽지 않게 신체 정보를 측정하고 건강상태의 변화에 대한 전문가의 진단을 즉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Bluetooth HDP(Health Device Profile)을 통해 IEEE11073 PHD 표준 기반의 홈 헬스케어 의료기기 연결성을 보장하며, HL7 CDA 기반의 정보 전달 구조로 의료진뿐만 아니라 다양한 스마트 앱 어플리케이션 간의 융합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솔루션을 설계하고자 한다.

  • PDF

개인의 건강신념이 모바일 헬스케어 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m헬스 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Individual's Health Beliefs on the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Apps: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mHealth Literacy)

  • 왕진섭;송재민;양성병;윤상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5-114
    • /
    • 2023
  • Smart healthcare, combining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and medical technologies, has been rapidly emerging. Accordingly, its market has also increased as interest in disease prevention, management, and diagnosis grow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particular, using mobile devices to support medical activities, mobile healthcare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leading service in the smart healthcare market. However, the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apps may vary depending on individual beliefs and attitudes. Many studies on the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apps have used the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but there is a lack of studies that have been ver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health belief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apps based on the HBM (Health Belief Model). Furthermore, it investigates how this influencing mechanism fluctuates based on the user's mHealth literacy, the ability to find and understand health information through mobil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apps through the HBM. It also offers insights for app providers and public health officials to increase the use of mobile healthcare apps.

사용자 운동 데이터 수집을 위한 블루투스 기반 모바일 앱 설계 (Bluetooth-based for user exercise data collection mobile app design)

  • 이현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1-322
    • /
    • 2022
  • 최근 헬스케어 분야에서 건강 관리 주제가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운동 분야에 서비스가 집중되고 있으며 4차산업기반 기술이 융합된 운동기구 또한 많으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운동기구에 다양한 센서를 탑재하여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연계하는 형태가 대표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구에서 발생하는 운동데이터를 블루투스 기반의 IoT 센서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이를 다시 운동 정보 분석 플랫폼으로 전달하는 과정에서의 설계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에 대해 제안한다.

  • PDF

MealMate, 맞춤형 식단 관리 앱 (Personalized Application of Meal Managing, 'MealMate')

  • 김지심;김경아;안유정;서현승;옥지윤;이다은;박지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657-658
    • /
    • 2023
  •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식단 목표를 가진 사용자들이 맞춤형 식단 관리를 원하는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식단 관리 앱들은 체중 감량이나 증량에만 집중되어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식단 목표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밀메이트'라는 개별화된 식단관리(Personalized Diet) 앱을 개발하였다. 본 앱은 사용자의 식단 목표와 선호도를 고려하여 개인화된 식단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하루 세 끼 식사에서 벗어나 브런치 문화의 2끼 식사부터 체중 증량을 위한 4끼 이상 식사 등 다양한 식단 목표를 지원한다. 또한, 음식의 칼로리 및 주요 영양소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식단을 스스로 구성하고 관리할 수 있게 돕는다. 이를 통해, 체계적인 식습관 형성에 도움을 주고 다양한 식단 목표를 가진 사용자들의 필요성을 충족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약 복용 관리와 폐의약품 처리를 위한 지속 가능한 앱 서비스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Sustainable App Services for Medication Management and Disposal of Waste Drugs)

  • 이리나;황정운;신지윤;황진도
    • 서비스연구
    • /
    • 제14권2호
    • /
    • pp.48-68
    • /
    • 2024
  • 코로나 바이러스의 글로벌 팬데믹 여파로 인해 사회적으로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영향으로 국내 제약회사들은 정기적인 의약품 배달 서비스, 즉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구독 서비스를 도입하였다. 현재 이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기 서비스는 복용하지 않은 약이 남아 폐의약품이 증가하는 새로운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폐의약품 관련하여, 환경부는 폐의약품을 일반 생활 쓰레기와 분리하여 수거 및 처리하도록 규정하였지만 실제로 이 규정이 충분히 이행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폐의약품의 양을 줄이면서 건강관리를 촉진하는 규칙적인 약 복용 관리뿐만 아니라 약물 폐기에 대한 인식과 실천을 함께 향상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안한다. 서비스 설계를 위한 사전조사로, 성인 51명을 대상으로 약 복용 습관 및 폐의약품 수거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허니콤 (Honey Comb) 모델을 기반으로 서비스 설계의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사전조사 결과와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구체화하여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프로토타입의 사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1차 사용자 태스크 조사를 진행하여 프로토타입의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이를 개선한 후 서비스의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성인 49명을 대상으로 2차 사용성 검증을 하였다. 사용성 검증은 SPSS Mac 버전 29.0을 사용하여 설문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의 평가결과는 빈도분석 (Frequency Analysis)과 평가 항목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스피어만 상관분석 (Spearmann Correlation Analysis)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의약품 구독 서비스 확산에 따른 폐의약품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고려한 건강 관리 서비스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반 당류 저감화 중재 프로그램의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효과 분석 : 일부 여대생 대상 연구 (Mobile application-based dietary sugar intake reduction intervention study according to the stages of behavior change in female college students)

  • 최윤정;김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5호
    • /
    • pp.488-500
    • /
    • 2019
  • 서울시에 거주하는 여대생 68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앱 기반 당류 저감화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당류 저감화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중재효과를 분석 비교하였다. 하루 간식섭취횟수, 당류교육경험여부, 단맛에 대한 기호도에서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당류에 관한 영양 지식 점수는 프로그램 중재 전에 행동 유지단계 대상자들이 고려전단계 대상자들에 비해 영양 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프로그램 중재 후에는 고려전단계와 고려 준비단계에서 영양 지식 점수가 유의적으로 상승하였고, 행동 유지단계도 점수가 상승하였지만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당류 섭취에 관한 식행동 점수는 프로그램 중재 전 행동 유지단계 대상자들이 고려전단계 대상자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행동 유지단계 대상자들의 점수가 모든 식행동 항목에서 가장 높았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중재 후 모든 행동변화단계에서 당류 섭취에 관한 식행동 점수는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 프로그램 중재 전 당류 섭취빈도는 음료류 중 '탄산음료', '과실주스'에서 고려 준비단계와 행동 유지단계에 따른 차이가 유의적이었고, 우유 및 유제품, 아이스크림 제품류 중 '액상 요구르트'는 고려전단계와 행동 유지단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행동 유지 단계에서는 '비스킷'과 '단맛씨리얼'을 제외한 모든 항목의 섭취 빈도가 고려전단계, 고려 준비단계와 비교하여 가장 낮았다. 프로그램 중재 후에는 고려전단계에서 '초콜릿', '머핀케익류', '액상 요구르트'의 섭취 빈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고려 준비단계에서는 '비스킷', '탄산음료', '과실주스', '가공우유'의 섭취 빈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행동 유지단계 대상자들에서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섭취 빈도가 감소하였지만 유의한 개선은 없었다. 당류 저감화를 실천하는 행동 유지단계 대상자들에 비해 고려전, 고려준비 단계 대상자들은 영양지식, 식행동, 섭취빈도가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이었으나 모바일 앱 기반 당류 저감화 프로그램에 의해 고려전, 고려준비단계에서 영양지식, 식행동, 섭취빈도가 개선되었다. 당류에 관한 쉽고 정확한 교육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 스스로 식이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본 연구의 모바일 앱 기반 당류 저감화 프로그램은 고려전, 고려준비단계에 있는 대상자들의 당류 저감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도구이다. 본 프로그램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 가능하므로 당류 교육 참여가 어려운 청년층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러 연령층으로 확대가 가능하며 행동변화단계별로 세분화하여 적용한다면 당류 섭취 저감화에 효과적으로 기여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앱 기반 당류 저감화 프로그램에 건강 플랫폼에서 활용하고 있는 게이미피케이션 (gamification) 기법을 사용하여 흥미가 추가되도록 보완하면, 수용성 및 지속가능성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가간호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Postoperative Self Care Mobile App for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 노세희;박정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16-326
    • /
    • 2016
  • 본 논문은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가간호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전문가와 사용자의 타당도 검증을 받고자 실시되었다. 문헌고찰과 대상자 요구도 조사를 바탕으로 ADDIE모형에 따라 분석-설계-개발-구현-평가의 5단계 과정을 거쳐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문헌고찰과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콘텐츠와 교육내용 선정 후 전문가 7명에게 내용타당도를 평가 받아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콘텐츠는 교육, 측정, 자가간호 매일점검, 조회, 알람, 앱정보의 6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전문가 9명, 신장이식 환자 5명에게 개발된 수술 후 자가관리 어플리케이션을 1주일간 사용 후 건강관리용 스마트폰 앱 평가설문지를 통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측정도구 신뢰도 Cronbach's alpha, 어플리케이션 평가지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만족도 평가에서 4점 만점에 전문가 3.2점, 사용자 3.4점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가간호 어플리케이션은 자가간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만족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으로 추후 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자가간호 지식 및 자가 간호 수행의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