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 실천 행위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1초

고혈압 환자의 건강행태와 생활습관 실천정도 (The Health Care Status and Healthy Life Practices of Hypertensive Patients)

  • 엄선옥;이인숙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32-40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alth care status and healthy life practices among hypertensive patients in our South Korea in a bi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hypertension. Methods: The data of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2011 (KNHANES V-2) was utilized to analyze the state of hypertension management of 1,932 adults who were at the Western age of 19 and up and suffered from hypertension in order to identify what factors were related to their health care status and healthy life practices. IBM SPSS/WIN Statistics 20 software was employed, and frequency analysis and a ${\chi}^2$-test were carried out.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variable income, while health status and healthy life practices were not significant in town. Furthermore Depression, alcohol dependency, and walking were significant in hypertension patients who had experienced hypertension education programs. Conclusion: This study will provide database on hypertension management. Furthermore,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should be taken for efficient and effective care for hypertension patients.

  • PDF

서울 일부지역 성인의 건강생활양식 유형연구 (Health Lifestyle Patterns of Seoul Adults)

  • 이화경;이인영;김은미;이훈재;배상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1권2호
    • /
    • pp.145-156
    • /
    • 2006
  • 우리나라 서울 일부지역 20세 이상 성인 2,775명을 대상으로 흡연, 음주, 식습관, 운동량을 기초로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활양식이 6개의 유형, 즉 소극적건강행위군, 적극적건강추구군, 흡연군, 음주군, 건강유해행위군, 흡연-음주군으로 분류되었다. 각각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소극적 건강행위군은 전체 대상의 48.3%를 차지하며, 흡연과 음주는 거의 하지 않지만, 식습관과 운동은 평균보다 낮다. 여자가 많으며, 젊은 연령이 많다. 적극적건강추구군은 전체 대상의 24.8%로 흡연, 음주, 식습관, 운동 모두에서 바람직한 행동을 보이는 군이다. 여자, 나이가 많을수록, 유배우자, 수입이 높은 사람에서 많다. 흡연군은 전체대상의 13.5%로 흡연량은 하루평균 20개비 정도이며, 음주와 식습관은 평균정도이고, 운동은 별로하지 않는다. 남자와 젊은 사람에서 많다. 음주군은 전체 대상의 8.4%로 술을 많이 마시면서(월평균 17.7일) 식습관이 좋은 편이고, 흡연과 운동은 평균정도이다. 남자가 많으며, 나이 많은 사람에서 많다. 건강유해행위군은 전체 대상의 4.5%로 모든 건강행위가 바람직하지 않은 사람들로 구성된다. 남자에서, 그리고 젊은 연령에서 많다. 흡연-음주군은 전체의 0.7%로 소수이지만 다른 군과는 달리, 흡연 음주는 많이 하면서도 식습관 운동량은 평균보다 약간 좋은 사람들인데, 건강행태의 다원성을 보여주는 예가 된다. 본 연구의 군집해가 Patterson[5]. Lee와 Kim[6], Kim[7] 등의 선행연구와 다른 점은 우선 서울이라는 대도시 지역의 20세 이상 성인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과, 조사시기가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여 보아야하는데, 소극적건강행위군이 48.3%로 많았고, 적극적건강추구군이 24.8%로 많이 분류된 것이 특징적이다. 그리고 지역이나, 시기에 따라 건강생활 양식의 유형 분류의 결과가 다르게 나오므로, 같은 지역에서 연차를 두고 건강생활양식을 분류하는 동일 연구를 하면 건강생활양식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고, 다른 지역에서 동일시기에 같은 분석을 시행한다면 지역간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으므로 지역보건계획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6개의 유형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로는 성별, 연령, 수입이 두드러졌다. 특히 여자에서는 소극적 건강행위군, 적극적건강추구군이, 남자에서는 흡연군, 음주군, 건강유해행위군이 많았다. 연령이 많아지면서 건강을 위해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적극적건강추구군이 증가했으며, 수입이 300만원 이상에서 특히 소극적건강행위군이 적고 적극적건강추구군이 많은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하여 각 군에 적절한 접근방법을 찾고, 개입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여자가 주를 이루는 소극적건강행위군에게는 운동실천, 식생활 개선에 대한 적극적 개입을, 흡연군, 음주군에게는 주로 남자들을 대상으로 사회제도적, 문화적 접근을, 건강유해행위군에게는 치료적 접근을 시도해볼 수 있겠으며, 그외 건강생활 양식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접근전략에 대해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일 농어촌 중년여성의 고혈압에 대한 건강신념 및 건강행위 실천의지 (A Study of Middle-Aged Women's Health Beliefs and Their Intention to Practice Health Behaviors to Prevent and Improve Hypertension)

  • 제미순;이삼순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9-120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middle-aged women's health beliefs and their intention to practice health behaviors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hypertens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19 middle-aged(40-59 years) women who lived G city. Data was collected from January to February, 2005. Personal interviews were perform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e's multiple comparison test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Perceived susceptibility of health belief was high in those who had higher educational level, disease history and health education experience, significantly(p<0.05). Perceived seriousness was high in those who had higher educational level, middle economic status and health education experience, significantly(p<0.05). Perceived benefits was high in those who had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perceived barriers was low in those who had disease history and hypertension, significantly(p<0.05). The subject's intention to practice health behaviors was significantly high in those who were younger, who had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menopausal status(p<0.05). In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ubject's intention was related to perceived seriousness, perceived benefit and educational level, significantly(p<0.05).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e the education programs which can increase the subject's health belief and intention to practice health behaviors towards hypertension in middle-aged women.

  • PDF

건강코칭프로그램이 빈곤계층 고혈압대상자의 자기효능감, 건강행위실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ealth Coaching Programs on Self-Efficacy, Health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Hypertensive People Living in Poverty)

  • 엄선옥;이인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80-391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ealth coaching and mediating variables on quantitative aspect of health in low-income hypertensive people. Methods: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 current study consisted of 21 clients who received health coaching services,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22 clients who received home-visiting nursing services. Two groups received health coaching or home-visiting nursing services once a week for 8 weeks. The evaluation variables were self-efficacy, nutrition management, health behaviors, self-rated health, and quality of life.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level of nutrition manag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F=10.33, p=.005). Conclusion: These results confirm that health coaching is a useful strategy that encourages clients to continuously maintain their own health behaviors. Thus,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provide useful data for establishing measures for the health management of those afflicted with chronic disease, such as hypertension. Furthermore, health coaching may be developed into useful intervention strategies for dealing with chronic diseases and improving home-visiting nursing.

여성 결혼이민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행위 실천, 결혼만족도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 and Marital Satisfact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 김광숙;문선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4-186
    • /
    • 2011
  • Purpose: The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of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s, and marital satisfaction in women who have immigrated to Korea through marriage. Method: Data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that investigated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s, Korean language ability, characteristics of couple, and marital satisfaction. Three hundred four subjects were selected for a 4-month period. The data of 300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fter four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due to incomplete data. Results: Perceived health statu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nationality, existence of religion, and period of immigration. The scores for perceived health status among women who had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5 years were lower than for women who had resided for 1-3 year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and health status and Korean language ability, but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health status and age. Conclusion: A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in immigrant women should include communication assistance as their mother language and should provide periodic health screening.

경로당 이용노인의 노화에 대한 불안감,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행위실천 (A Study on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nd Anxiety about Aging for the Elderly - Focused on the Elderly in Senior Center-)

  • 신유선;김은하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9-188
    • /
    • 2009
  • This study is conducted to survey and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anxiety about aging,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the elderl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ng interventions that would improve their successful aging. Me1hods: Data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333 elderly participants living in Susa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r ANOVA with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anxiety about aging was 2.67 $\pm$ 0.30, perceived health status 2.46 $\pm$ 0.37,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2.77 $\pm$ 0.21.2)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perceived health status (r = 267, P= .000).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nxiety about aging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r = -.163, P=.003). 3) Health-promot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ceived health and anxiety about aging, which explained 20.9% of variance in health-promoting behavior.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perceived health status and to decrease anxiety about aging in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supporting interventions to decrease anxiety about aging

  • PDF

영유아의 건강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천 분석 (Analysis of Teachers'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s Health)

  • 박유미;박선미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61-269
    • /
    • 2023
  • 본 연구는 현직 영유아교사들의 이야기에서 구체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영유아 건강에 대한 인식과 실천 행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충남 지역의 사립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텍스트 연결망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영유아의 등원 시 체온 및 유아의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유아의 건강을 관찰하고 이상 징후가 발생할 경우 학부모에게 연락을 취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건강문제와 관련하여 영유아의 컨디션 파악, 적절한 영양섭취, 여러 명이 함께 생활하는 기관 특성에 따른 건강문제의 관리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감염병의 관리와 관련하여 연구참여자들은 유증상 유아가 발생 시 해당 유아를 다른 영유아들과 분리하고 소독과 방역을 실시하며, 부모에게 연락을 취하여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실천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참여자들은 응급상황을 대비하여 안전과 관련된 교육을 받고 응급상황에서의 매뉴얼을 숙지하며 상황에 따른 응급처치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관상동맥질환자에게 제공한 의료인의 식이 및 운동권고, 운동자기효능감이 규칙적인 운동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 and Exercise Recommendations Provided by Medical Staff to Patients, and Exercise Self Efficacy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on Adherence to Regular Exercise)

  • 권미수;이숙정;김두리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3호
    • /
    • pp.91-100
    • /
    • 2024
  • 허혈성 심장질환은 재발의 위험이 높고, 재발 시 사망률이 더욱 증가하므로, 재발 예방을 위해서 운동과 식이요법 등 건강행위의 실천이 중요하다. 관상동맥질환자의 규칙적인 운동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서는 의료인의 건강행위 권고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의료인의 권고가 대상자들의 운동이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의료인의 식이 및 운동 권고가 규칙적인 운동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2018년 7월 4일부터 2019년 7월 30일까지 서울 소재 2개 대학병원 순환기내과에 관상동맥조영술을 위해 입원한 환자 219명을 대상으로 서술적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의료인으로부터 운동이행 권고를 받은 경우(OR 3.52, p=.036), 식이이행 권고를 받은 경우(OR 6.48, p=.022), 운동자기효능감이 높은 경우(OR 1.36, p=.001), 경제 상태가 좋은 경우(OR 7.59, p=.007), 주관적인 건강 상태가 좋은 경우(OR 0.31, p=.047), 규칙적인 운동이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의료인은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이에 대해 환자 맞춤형 권고를 강화할 필요가 있고, 운동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향후 의료인 권고의 정도나 방법에 따라 관상동맥질환자들의 자기 관리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의해 조절된 투지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on Academic Procrastination in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Grit Moderated by Gender)

  • 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611-62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의해 조절된 투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건강증진 생활양식은 투지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업지연행동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투지는 학업지연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투지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는 성별에 의해 조절되었다. 즉, 남성이 여성보다 투지의 매개효과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실천과 유지에 있어 투지의 역할과 중요성을 논의하였고, 성별에 따른 건강증진 행위의 실천 방안과 학업지연행동의 대처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한국 다문화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폭력피해경험 관련요인 : 건강위험행위를 중심으로 (Factor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Violence Damage among Multi-cultural and General Adolescents in Korea: Focusing on health risk behavior)

  • 백경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93-204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 청소년 및 일반 청소년의 건강위험행위와 폭력피해경험을 비교하고 폭력피해 경험과 관련된 요인을 건강위험행위를 중심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제15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설문조사(2019)의 자료를 사용하여 35,574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2.0을 사용하여 복합 표본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청소년은 일반청소년보다 흡연, 습관적 약물사용, 폭력피해 경험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 모두 가족과 함께 거주하지 않을수록, 흡연경험과 습관적 약물사용 경험이 많을수록 폭력피해경험이 더 많았다. 일반청소년의 폭력피해경험은 성별, 학력, 경제적 상태, 음주경험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족과 함께 살지 않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며, 흡연 및 습관적 약물 사용 경험이 있는 청소년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 청소년은 일반 청소년에 비해 건강위험 행위와 폭력피해에 더 취약하므로 다문화청소년의 올바른 건강행위 실천과 폭력피해경험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