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거미목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Bioecological Study of the Upwelling Area Around Cheju Island - Community structure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at the Rocky Intertidal Zone of Chagwi-do, Cheju Island - (제주도 주변 요승역의 생물생태학적 기초연구 - 차귀도 조간대에 분포하는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

  • 이정재;현재민;김종철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1 no.1
    • /
    • pp.1-20
    • /
    • 1995
  • 1993년 7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제주도 차귀도 4개 지점 조간대의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와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차귀도 조간대에 분포하는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9문, 17강, 35목, 75과, 146종이었다.2. 계절별 출현종수는 춘계에 124종, 하계 113종, 추계 99종, 동계에 86종이었다.3. 조간대 상부구역의 제1우점종은 좁쌀무늬총알고둥(N. exigua), 제2우점은 거북선(P. mitalla). (N.japonica),울타리고둥(M. labio), 중부구역은 배무래기(N. schrenkii), 밤고둥(C. argyrostoma lischkei), 울타리고둥, 깜장각시고둥(M. perplexa), 검은따개비(T. squamosa japonica)가 지점에 따라 제1, 제2우점종을 이루었다. 하부구역은 밤고둥, 검은따개비, 줄군부 (L. coreanica), 거북손, 굵은줄격판담치(S. virgatus)가 지점에 따라 우점하였으며, 상부구역 우점종의 군집우점지수는 매우 높았다.4. 조간대 하부구역의 종다양성은 상부구역이나 중부구역에 비하여 컸고 계절별 출현종수에 유의성이 있었으나 상부구역이나 중부구역에는 없었다.5. 종다양도지수와 균등도에는 상. 중. 하 구역별유의성은 없었고 풍부도에서는 상부구역에서 유의하였다.6. 제주 미기록종으로 부채넓적이끼벌레(D. su-bovoidea), 딱지조개(P. japonica), 목주림고둥(T. guerinii), 전촉수갯지렁이(A. validus), 바다거미(L. hilgendorfi)가 채집되었다.

  • PDF

Taxonomic Studies on Spider Mites (Tetranichidas: Acarina) of III. Spider Mites Parasitic on Conifers (한국산 응애과(거미강: 진드기목)의 분류학적 연구 3. 침엽수에 기생하는 응애류)

  • Lee, Won-Koo;Lee, Byung-Hoon;Kim, Byung-Ji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5 no.1
    • /
    • pp.13-24
    • /
    • 1989
  • Specimens of spider mites parasiting on conifer trees were collected from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May, 1986 to June, 1988. As a result, seven species belonging to the tribe Tetranychini, subfamily Tetranychinae, family Tetranychidae were identified as follows: 1. Panonychus citri(McGregor, 1916), *2. Oligonychus clavatus(Ehara,1959), *. O.hondoensis(Ehara,1954), *4. O.pustulosus Ehara, 1962, 5. O.karamatus(Ehara, 1956), 6. O.perditus Pritchard and Baker, 1955, 7. O. ununguis(Jacobi, 1905). Of which, three species with asterisk are newly recorded from Korea.

  • PDF

A Newly Recognized Desmometopa Loew, 1866 (Diptera: Milichiidae), A Commensalistic Dipteran Genus, in South Korea (한국의 미기록속 이마줄불청객파리속(신칭)(파리목: 불청객파리과)에 대한 보고)

  • Seung-Su Euo;Jeong-Hwan Choi;Il-Kwon Kim;A Young Kim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62 no.4
    • /
    • pp.325-331
    • /
    • 2023
  • Desmometopa Loew, 1866 is newly recognized i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Desmometopa microps Lamb, 1914 that is new to Korean insect fauna. The species is known to have commensalistic habits with predacious insects and spiders. Diagnosis, description, images and DNA barcode sequences are provided, based on the obtained adult specimens.

동굴생물의 특성과 보전

  • 김병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5.09a
    • /
    • pp.39-44
    • /
    • 1995
  • $\bigcirc$ 동굴생물은 식물과 동물, 미생물로 크게 구분되지만 태양광선이 완전히 차단된 동굴내 환경에서는 동굴 동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bigcirc$ 동굴내의 동물에 관한 연구는 1966년 고씨동굴, 용담굴을 시발로 고수굴, 천동굴, 노동굴, 백룡글, 대이굴, 환선굴 등 강원도내에 분포하는 동굴 중 약 30% 정도는 동물을 포함한 생물상이 조사되었다. $\bigcirc$ 강원도의 동굴동물로서 확인된 것은 9강 30목 141종이며 강별로는 곤충강이 9목 50종 주형강이 4목 49종 갑각강이 6목 18종의 순으로 우세하고 목별로는 거미목이 15과 39종, 톡토기목이 7과 20종, 딱정벌레목이 8과 15종으로 우세한 편이다(남, 1987). $\bigcirc$ 동굴생물에 관한 연구는 육상생태계와 격리된 환경에서 생리, 생태적 적응을 통한 종의 분화나 유전, 진화문제를 추구하며 지하생태계와 육상생태계의 생물적인 유연관계 규명에 중요한 분야로 인정되며 아울러 독특한 특성을 지닌 동굴생물의 생존을 위한 방안과 노력이 일부동굴의 개방 및 개발에 앞서 더욱 구체적으로 모색되고 증대되어야 한다. $\bigcirc$ 동굴환경의 주요 특성은 첫째 햇빛에 차단되어 암흑상태이며, 둘째 내부습도가 높고 기온이나 수온의 년중변화가 심하지 않고, 셋째 먹이연쇄에 필수적인 영양공급원이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광합성작용으로 성장하는 녹색식물은 태양광선이 유입되는 곳이나 인공조명시설 지역을 제외한 곳에서는 서식이 불가능하고 대형동물이나 초식동물은 생존이 어렵다. $\bigcirc$ 동굴내에는 환경에 적응하는 종들만이 서식할 수 있고 이들을 생태적 특성에 따라 세가지로 구분 할 수 있다. 환경적응 요인으로는 광도, 습도, 온도 영양공급원과 섭식장소, 수중생물의 경우는 특히 수온, 수량 영양원등이다.(중략). 본 연구의 접근방법으로는 ASRS의 개념적인 Reference Model을 수립하고 이 Reference Model에 대한 Formal Model로 DEVS(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Modeling하였다. 이의 Computer Simulation을 위하여 DEVS형식론 환경에서의 Simulation Language인 DEVSim ++ⓒ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형 결과로는 먼저 선형 상미분방정식의 예로 mass-damper-spring system, 비선형 상미분방정식의 예로는 van der Pol 방정식, 연립 상미분방정식의 예로는 mixing tank problem 등을 보였으며, 그의 공학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제들도 다루었다.화물에 대한 방어력이 증가되어 나타난 결과로 여겨지며, 또한 혈청중의 ALT, ALP 및 LDH활성을 유의성있게 감소시키므로서 감잎 phenolic compounds가 에탄올에 의한 간세포 손상에 대한 해독 및 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반적으로 홍삼 제조시 내공의 발생은 제조공정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내백의 경우는 홍삼으로 가공되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인삼이 성장될 때 부분적인 영양상태의 불충분이나 기후 등에 따른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판단된다.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elements)로 가정한다. 즉,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동일한 구성요 소를 지닌 병렬적 합성어([$[W1]_{XO-}$ $[W1]_{XO}$ ]$_{XO}$)로 그리고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중복된 발은을 지닌 한 단어로 ([W]$_{XO}$

  • PDF

동굴생물의 생태적 특성과 분포

  • 김병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4.05a
    • /
    • pp.106-110
    • /
    • 1994
  • $\bigcirc$ 동굴생물은 식물과 동물, 미생물로 크게 구분되지만 태양광선이 완전히 차단된 동굴내 환경에서는 동굴 동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bigcirc$ 동굴내의 동물에 관한 연구는 1966년 고씨동굴, 용담굴을 시발로 고수굴, 천동굴, 노동굴, 백룡굴, 대이굴, 환선굴 등 강원도내에 분포하는 동굴 중 약 30%정도는 동물을 포함한 생물상이 조사되었다. $\bigcirc$ 강원도의 동굴동물로서 확인된 것온 9종 30목141종이며 강별로는 곤충강이 9목 50종 주형강이 4목 49종 갑각강이 6목 18종의 순으로 우세하고 목별로는 거미목이 15과 39종, 톡토기목이 7과 20종, 딱정벌레목이 8과 15종으로 우세한 편이다 (남, 1987). $\bigcirc$ 동굴생물에 관한 연구는 육상생태계와 격리된 환경에서 생리, 생태적 적응을 통한 종의 분화나 유전, 진화문제를 추구하며 지하생태계와 육상생태계의 생물적인 유연관계 규명에 중요한 분야로 인정되며 아울러 독특한 특성을 지닌 동굴생물의 보존을 위한 방안과 노력이 일부동굴의 개방 및 개발에 앞서 더욱 구체적으로 모색되고 증대되어야 한다. $\bigcirc$ 동굴환경의 주요 특성은 첫째 햇빛이 차단되어 암흑상태이며, 둘째 내부습도가 높고 기온이나 수온의 연중변화가 심하지 않고, 셋째 먹이연쇄에 필수적인 영양공급원이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광합성작용으로 성장하는 녹색식물은 태양광선이 유입되는 곳이나 인공조명시설 지역을 제외한 곳에서는 서식이 불가능하고 대형동물이나 초식동물은 생존이 어렵다. $\bigcirc$ 동굴내에는 환경에 적응하는 종들만이 서식할 수 있고 이들을 생태적 특성에 따라 세가지로 구분 할 수 있다. 환경적응 요인으로는 광도, 습도, 온도 영양공급원과 섭식장소, 수중생물의 경우는 특히 수온, 수량 영양원등이다.(중략)다. 본 연구의 접근방법으로는 ASRS의 개념적인 Reference Model을 수립하고 이 Reference Model에 대한 Formal Model로 DEVS(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Modeling하였다. 이의 Computer Simulation을 위하여 DEVS형식론 환경에서의 Simulation Language인 DEVSim ++ⓒ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형 결과로는 먼저 선형 상미분방정식의 예로 mass-damper-spring system, 비선형 상미분방정식의 예로는 van der Pol 방정식, 연립 상미분방정식의 예로는 mixing tank problem 등을 보였으며, 그의 공학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제들도 다루었다.화물에 대한 방어력이 증가되어 나타난 결과로 여겨지며, 또한 혈청중의 ALT, ALP 및 LDH활성을 유의성있게 감소시키므로서 감잎 phenolic compounds가 에탄올에 의한 간세포 손상에 대한 해독 및 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반적으로 홍삼 제조시 내공의 발생은 제조공정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내백의 경우는 홍삼으로 가공되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인삼이 성장될 때 부분적인 영양상태의 불충분이나 기후 등에 따른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판단된다.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elements)로 가정한다. 즉,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동일한 구성요 소를 지닌 병렬적 합성어([$[W1]_{XO-}$ $[W1]_{XO}$ ]$_{XO}$)로 그리고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중복된 발은을 지닌 한 단어로 ([W]$_{XO}$

  • PDF

The Changes of Soil Microarthropoda at the Burned Areas by Forest Type (임상별(林相別) 산화지역(山火地域)의 토양미소절지동물(土壤微小節肢動物) 변화(變化))

  • Oh, Ki-Cheol;Kim, Jong-Kab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9 no.3
    • /
    • pp.287-296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and compare the changes of inhabitation of soil microarthropoda after forest fire between different types of forest; i.e. the coniferous forest (Mt. Chocdae) and the broad-leaved forest (Samsinbong in Mt. Chiri). The individuals of soil microarthropoda found at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of Samsinbong and Mt. Chocdae were 12 orders in 5 classes, and individuals of Insecta and Arachnida 98% of them. In respect of classification groups, Collembola order was high at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of coniferous forest, while Acari order was high at the broad-leaved area. When classified by soil depth, the total number of soil microarthropoda individuals inhabiting at Samsinbong, the broad-leaved forest, was 25,342 and 37,350 at 1~5cm depth of burned and unburned areas respectively, while at 5~10cm depth the number turned out 9,722 and 15,906. Soil microarthropoda individuals of unburned area was 1.6 times higher than for the burned area. At the coniferous forest, the number marked 31,665 and 51,431, respectively for 1~5cm depth of burned and unburned area, and 10,189 and 13,202 for 5~10cm depth. Here also, the number for the unburned area was examined to be 1.4 times higher than for the burned area.

  • PDF

Taxonomic Studies on Spider Mites (Tetranychidae : Acarina) of Korea II. Spider Mites, Parasitic on Wild Plants (한국산 응애과(거미강 : 진드기목) 의 계통 분류학적 연구 II. 야생 식물에 기생하는 응애류)

  • 이원구;이병훈;김영진;강동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3 no.2
    • /
    • pp.64-116
    • /
    • 1987
  •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record taxonomic notes on several Korean spider mites. The specimens on which this study is based were collected by the authors during the period from May, 1986 to June, 1987. The following species are the spider mites concerned in this paper. 1. Panonychus citri (McGregor), 2. Eotetranychus populi Koch, 3. Eotetranychus smithi Pritchard and Baker, 4. Shizotetranychus bambusae Reck, 5. Schizotetranychus celarius (Banks), 6. Shizotetranychus leguminosus Ehara, 7. Oligonychus orthis Rimando, 8. Tetranychus ranzawai Kishida, 9. Tetranychus phaselus Ehara, 10. Tetranychus trancatus Ehara , 11. Tetranychus vienensis Zacher, 12. Tetranychus urticae Koch . Among them, eight species with asterisk are newly recorded from Korea . In addition, empodiums of pretarsus were carefully observed and enzyme patterns by electrophoresis were compared on some species in order induce their systematic inter-relationship at either species or generic level.

  • PDF

A List of Cave Fauna and Research Prospect in Korea (한국 동굴생물상 목록 및 연구 전망)

  • Kim, Byung-Woo;Choi, Young-Gun;Soh, Ho-Young;Lee, Hoon;Kim, Won-Rok;Lee, Won-Choe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2 no.1
    • /
    • pp.12-27
    • /
    • 2004
  • Studies on the Korean cave fauna were reviewed during the last seven decades since the first record of Antrokorean gracilipes Verhoeff, 1938. The cave animals have been reported by only 112 papers, 16 repoyts and ten books. In the results, a total of 257 species is recorded representing four phyla, ten classes, 31 orders, and 94 families, and also the holotype localities of 87 species are recorded from 36 caves and four wells in Boron. Arthropods are predominant consisting of 241 species (93.8%), and true spiders (Araneae) are a most diverse group with 97 species (37.7%) including 21 Korean endemic species belonging to 29 families.

Distribution of Biota and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in Natural Wetland (농촌배수처리용 습지의 생물상 및 유기물 제거율)

  • Kim, Bum-Chul;Jeon, Man-Sik;Jung, Geun;Jung, Yeon-Sook;Hwang, Gil-So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17 no.4
    • /
    • pp.407-414
    • /
    • 1999
  • Distribution of biota and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in natural wetland systems were examined from June to October 1998. The aquatic macrophyte communities were consisted of 13 families and 22 species. The composition of occurrence species were as follows: Phragmites communis Trinius are 35%, Persicaria thunbergii Nakai are 19%, Typha angustifolia L. are 17%, Bidens tripartita L. are 16%, Echinochloa crus-galli (L.) Beauv. are 12% and others are l%. The fauna collected from 5 sites consisted of total 6 classes of macroinvertebrates. The composition of occurrence classes were as follows: Insecta are 76%, O1igochaeta are 19%, Gastrapoda are 4% and others are 1%. These included 18 families, 7 orders of Insects. The larve and mosquito and midges were found in wetlands. Preventive strategies are needed for the suppression of mosquito at the stage of wetland planning and design. In wetland, removal efficiency of dissolved organic carbon is low because of primary production and the background level of DOC in the wetland discharge seems to be 5 mgC/1, but those of BOD was ca. 50%. Wetlands receiving water of low concentration can not work as purification field.

  • PDF

Identification, sequence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analysis of the arginine kinase gene in response to laminarin challenge from the Oriental land snail, Nesiohelix samarangae (동양달팽이(Nesiohelix samarangae)의 arginine kinase 유전자 분석 및 발현 패턴에 관한 연구)

  • Jeong, Ji Eun;Lee, Yong Seok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29 no.3
    • /
    • pp.171-179
    • /
    • 2013
  • Arginine kinase (ArK)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most invertebrates the level of ATP by phosphorylation of phosphagens in cell and immuninty in living organisms. ArK has been identified in many kinds of organisms ranging from invertebrate to vertebrate. However, no ArK gene has been cloned and investigated from N. samarangae. This leads us to identify ArK cDNA (NsArK) from the expressed sequence tag (EST) sequencing of N. samarangae. Sequenc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ding region of 1,065 bp contains 355 amino acid residues.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shows that NsArK had very high similarities with mollusca and arthropoda.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a potential role of NsArK in the digestive gland of N. samarangae, expression patterns were analyzed. RT-PCR analsysis shows that NsArK mRNA is induced in the rane of 1.2 fold at 6 hr by laminarin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immunnologial and physiological role of NsArK remains to be further investigated in N. samarang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