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화(開花)

검색결과 1,801건 처리시간 0.032초

대맥 개화기의 수분부족이 생장 및 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Stress at Anthesis on the Growth and Grain Maturation in Barley)

  • 최원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9-14
    • /
    • 1980
  • 대맥(Hordeum distichum L., cv. Prior)을 자연상태에서 Pot 재배하여 개화전에 Growth Chamber에 옮긴 직후 계속관수한 것(적정수분)과 7 일간 단수후 재관수한 것(일시적 수분부족)을 7일 간격으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의 단수에서 경중과 근중은 모두 계속관수보다 심히 감소하였고 경중보다는 근중의 감소가 더욱 심하게 나타났다. 2. 개화기의 단수에서 일수당입중은 개화기 7~14일 사이에서는 계속관수보다 증가하나 등숙말기에서는 계속관수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개화기의 단수에서 제기관의 상대평가도는 종실을 제외한 다른 기관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수분손실의 정도는 상위절간 > 지엽신 > 수 > 종실의 순으로 컸다. 4. 개화기의 단수한 구에서 제2절간의 건물중은 상위절간보다 훨씬 감소하였다. 5. 개화기의 단수는 각 기관 공히 진정광합성이 감소하였다. 재관수의한 진정광합성의 회복상태를 보면 지엽신과 상위절은 등숙말기까지도 계속관수의 수준에 미달하였다.

  • PDF

땅콩 종자의 $GA_3$ 및 IAA 침지처리가 개화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owing Seed Treatment with $GA_3$ and IAA on Flowering and Yield Components in Peanut)

  • 이효승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9
    • /
    • 1990
  • 땅콩의 종실체내 Gibberellin 및 IAA를 처리 침투시켜 Hormone의 활성을 자극시키므로서 배자의 발육을 촉진시키고 호분층내에 있는 e-amylase의 분필기능을 촉진시켜 땅콩의 발아상태를 호전시키고 초기 개화수 확보에 의한 결협상태를 개선코자 온실에서 서둔땅콩을 공시하고 약제처리는 GA$_3$ 10, 50, 100ppm과 IAA 50, 100, 200ppm 용액에 24시간 침지후 파종하였으며 출현 및 개화 그리고 수량구성 요소를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출현요소 일수는 GA$_3$50ppm과 IAA 200ppm에서 모두 2일이 소요되었으며 무처리의 7일에 비하면 5일이 단축되었다. 2. 개화수를 보면 개화기까지는 GA$_3$ 및 IAA의 모든 처리구에서 무처리보다 11-17일이 단축되는 경향이 있으며 IAA 100ppm 처리의 경우 17일이 단축되었다. 3. 경시적 누적 개화수에서는 GA$_3$, IAA 처리 모두 개화후 30일까지 볼 때 초기 개화수가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특히 IAA 100ppm 처리시 64화에 비하면 무처리의 경우 21화에 불과하였다. 4. IAA 100ppm 처리구에서는 주경장, 분지장, 주경절수 등이 어느 처리 농도에서도 지상부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무처리 보다는 월등한 생육 차이를 보였다. 5. IAA 및 GA$_3$ 모두 100ppm 처리구에서 완숙입비율이 주당 협실중 및 중실중에서도 무처리에 비하여 각각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 PDF

참깨의 도복피해 연구 II. 작기에 따른 도복처리가 참깨 주요형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Lodging-induced Damages of Sesame II. Effect on Yield and Main Character of Sesame after Lodging by Growing Stages)

  • 정병관;구자옥;최형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14
    • /
    • 1985
  • 본 시험은 1981~1982년에 걸쳐 공시품종을 "수원5호"와 "수원9호"로 단작과 맥후작으로 파종하고 도복처리시기를 개화시, 개화기, 개화종기에, 도복정도를 30$^{\circ}$, 60$^{\circ}$, 90$^{\circ}$로 유인 처리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경중은 작기간 차이보다 품종간 차이가 더욱 유의적이어서 수원5호는 개화시처리 반응이 둔한 반면 수원9호는 2파종기 모두 도복시기가 빠르고 도복정도가 심할수록 감소경향이 컸다. 2. 착삭부위장은 품종간보다 작기차이가 민감하여서 2품종 모두 단작보다는 맥후작에서 도복에 의한 감소정도가 명확하였다. 3. 주당삭수는 개화시의 처리에서 감소가 극심하였고 개화기 및 개화종기 처리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이들의 경향은 맥후작보다 단작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4. 수원5호는 맥후작에서 도복에 의한 천립중의 감소가 별로 인정되지 않았다. 5. 도복에 의한 등숙률의 저락현상은 맥후작보다 단작에서 그리고 개화시의 도복처리에서 특히 치명적이었다. 6. 도복에 의한 참깨 종실수량의 감소경향은 수원5호의 경우 단작에서, 수원9호의 경우 맥후작에 극심한 경향이었다.의 경우 맥후작에 극심한 경향이었다.

  • PDF

개맨드라미의 파종과 정식기가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wing Date on Growth and Flowering of Celosia argentea)

  • 이정호;조동광;송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0-125
    • /
    • 2006
  • 한국 자생 개맨드라미의 파종시기에 따라서 개화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생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재배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1월부터 8월까지 1개월 간격으로 파종하였다. 2월과 3월에 파종하여 4월과 5월에 정식한 개맨드라미의 초장은 69.1cm 이하로 짧고, 개화소요일수가 31일로 단축되었으며 측지발생이 많아서 개화수도 많았으나, 화서장이 짧고 경경도 가늘었다. 5윌부터 6월에 파종한 것은 개화소요일수가 58일로 길었고, 초장도 94.1cm에서 122.0cm로 길었다. 따라서 개맨드라미는 봄의 단일조건에서 개화가 촉진되는 상대적 단일식물로 판단된다. 시기별로 화단 조성을 위하여 개맨드라미를 파종할 경우 여름부터 가을까지의 키가 작고 총총한 화단 조성을 위해서는 2-3월에 파종하여 4-5월에 화단에 정식하는 것이 적당하고, 초장이 긴 가을 화단 식물 조성이나 절화용으로 활용할 경우는 4-5월에 파종하여 6-7월에 포장에 정식하는 것이 적당하다.

옥잠화(Hosta plantaginea Aschers.)의 개화습성, 수분양식 및 결실특성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Habit, Pollination Patterns and Seed Setting of Hosta plantaginea Aschers)

  • 조규원;태경환;성순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09-314
    • /
    • 2005
  • 본 연구는 원예 및 조경용 식물로 최근 들어 관심을 받고 있는 옥잠화에 대한 개화습성, 수분 양식 및 결실특성에 대한 기초정보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옥잠화는 주로 야간에 백색꽃이 개화하는 식물로 개화초기와 개화성기에는 대부분 풍매에 의해 수정되었고, 개화후기로 갈수록 착화 간격이 줄어들고 옥잠화 특유의 향기가 감소하여 풍매에 의한 착협율과 충매에 의한 수정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착협율과 결실율은 방임구 각각에서 $33.3\%$$24.3\%$로 나타났으며, 이에 비해 인공교배는 각각 $65.0\%$$40.9\%$로 나타나 인공교배가 착협율과 결실율에서 높게 나타났다. 개화기간에 있어서 하루 중 수정율은 개화성기인 $19\;:\;00{\sim}20\;:\;00$시에서 높았으며, 이때의 최적온도는 $25{\sim}28^{\circ}C$ 이었다.

온도, 일장 및 식물생장조절제에 의한 덴파레의 생육 및 개화 반응 (Flowering and Growth of Dendrobium phalaenopsis as influenced by Photoperiod, Temperature, and Plant Growth Regulators)

  • 이영란;김미선;김재영
    • 화훼연구
    • /
    • 제16권4호
    • /
    • pp.247-254
    • /
    • 2008
  • 덴파레 유묘 및 성묘의 온도, 일장, 생장조절제에 의한 생육 및 개화기 촉진을 목적으로 10시간 및 16시간 일장처리는 3월 24일부터 5월 23일까지 하여 생육 및 개화조사를 하였다. 1년생묘(유묘) 덴파레 'Semi alba'를 온도와 일장처리 결과, $30/25^{\circ}C$로 12주 처리시 생육이 가장 빨랐고, 16시간 일장일 때 신초의 생육과 개화가 촉진되었다. 2년생묘 (성묘) 덴파레 'Candistriape ${\times}$ Tedtakiguz'의 일장처리에서는 16시간 일장에서 소화수, 화폭, 경장 등 개화특성에는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신초에서부터 개화소요일수는 16시간 일장이 216일, 자연일장 241일, 10시간 일장은 243일로, 16시간 일장이 자연일장이나 10시간일장보다 약 25일 빨랐다. 생장조절제처리는 생장과 개화에 뚜렷한 효과가 없었다.

장일처리 광원의 종류 및 광조사 시간에 따른 페튜니아와 팬지의 개화 및 형태학적 반응 (Flowering and Morphological Responses of Petunia and Pansy as Influenced by Lamp Type and Lighting Period to Provide Long Days)

  • 오욱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2호
    • /
    • pp.207-219
    • /
    • 2016
  • 자연단일기에 장일식물의 개화를 촉진하기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백열등(INC)이 낮은 에너지 효율 때문에 생산이 금지되었는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광원 중 하나는 컴팩트 형광등(CFL)이다.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장일식물에 대해 9시간 단일(SD) 조건의 $20^{\circ}C$ 온실에서 INC, CFL, 그리고 이 둘의 혼합광원(INC + CFL)을 이용하여 2시간(2-h) 또는 4시간(4-h) 야파(NI)나 6시간 명기연장(DE) 처리를 한 후 개화 및 형태학적 반응을 비교하였다. 전조 광원의 적색광(R):원적색광(FR) 비율은 각각 0.60, 8.46, 0.91이었으며, PPFD는 모두 $2.3{\pm}0.3{\mu}mol{\cdot}m^{-2}{\cdot}s^{-1}$로 맞추었고, 대조구로 9시간 단일처리(9-h SD)를 두었다. 처리 10주 후, 페튜니아 'Wave Purple'는 단일 하에서 전혀 개화하지 않았으며, 모든 장일처리에서는 100% 개화하였다. 개화는 INC 및 INC + CFL 하에서 FL보다 앞당겨졌으며, DE와 4-h NI가 2-h NI보다 개화를 더 촉진하였다. 페튜니아 'Single Dreams Red'는 처리 후 65일까지 모두 개화하였는데, DE와 4h-NI가 2-h NI보다 개화를 더 앞당겼고 INC와 INC + CFL에서 빨리 개화하였으며 INC 6-h DE에서 개화소요일수가 가장 짧았다. 초장은 페튜니아 두 품종 모두 개화가 빨랐던 INC 하에서 가장 길었고, INC + CFL는 중간 정도였다. 팬지 'Coiossus Yellow'와 'Delta Blue Blotch' 두 품종 모두 INC 처리가 FL보다 개화를 촉진시켰는데, 전조시간별 차이는 작게 나타났다. 줄기 신장도 INC가 촉진하였으나 광원 및 전조시간에 따른 차이는 페튜니아보다 작게 나타났다. 결국 R:FR이 낮은 INC나 INC + CFL 하에서 개화 및 줄기신장이 촉진되었으며 장일처리시간이 길수록 그 효과가 더 컸다. 결론적으로, INC의 대체 전조광원으로써 CFL도 페튜니아 및 팬지의 개화를 촉진하였고 줄기신장을 억제하였으나, 개화 촉진 효과는 INC에 비하여 작았다.

추대시기가 서로 다른 무 계통간 생리학적, 분자생물학적 개화 특성 규명 (Physi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wo inbred radish lines with different bolting times)

  • 박현지;정원용;이상숙;이주원;김윤성;조혜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215-222
    • /
    • 2015
  • 본 연구는 무의 개화가 지연되는 형질을 갖는 'NH-JS1'과 조기개화 형질을 가진 'NH-JS2'계통을 대상으로 춘화처리에 의한 무의 개화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이러한 특성을 유발하는 개화관련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다. NH-JS1 과 NH-JS2 두 계통 모두 춘화처리가 없는 조건에서는($23{\pm}1^{\circ}C$, 12시간 광조건/12시간 암조건) 90일 동안 생육하였을 때는 개화하지 않았으며, NH-JS1계통의 경우, 개화 유도를 위해서는 최소 25일의 춘화처리가 필요하며, NH-JS2계통은 15일의 춘화처리에 의해 개화가 유도되는 특성을 보여 주었다. 또한, NH-JS1계통은 로제트 잎이 9장 이상일 때, NH-JS2계통은 7장 이상일 때 추대가 형성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춘화처리에 의한 개화관련 유전자들의 유전자발현을 분석한 결과, 개화억제 유전자인 FLC와 FRI의 발현은 개화가 지연되는 계통인 NH-JS1에서 높은 반면, 개화를 촉진하는 유전자인 SOC1, LHY 그리고 CO의 발현은 조기개화 계통인 NH-JS2에서 높게 나타났다. 춘화처리에 의해 FLC의 발현억제를 유지하는 VRN1과 VRN2도 NH-JS1 계통에서 2배 이상 높게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춘화처리 시 무의 개화관련 유전자들의 발현과 개화특성이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하며, 이를 바탕으로 육종분야에서 무의 개화시기가 조절된 품종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해바라기에 있어서 일장반응의 품종간차이 (Varietal Difference in the photoperiodism of Sun-flower)

  • 유익상;강광희;조준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0권
    • /
    • pp.95-99
    • /
    • 1975
  • 해바라기에 있어서 일장반응의 품종간차이를 알고자 1974년 7월부터 10월까지 조중만생종 3개 품종을 폿트에 파종하여 옥내인 온실과 옥외인 자연상태에서 단일 및 장일의 일장처리를 하여 각 품종의 개화반응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생종인 Peredovic의 개화기는 8시간 및 12시간구에서 비슷하고 16시간구보다 10일 단축되였으나 각 일장처리구 모두 실내가 옥외보다 11∼15일 빨랐다. 2. 중생종인 Hungary의 개화기는 옥내에서 각 일장처리구가 거의 비슷하였으나 옥외에서는 12시간구가 8시간구 및 16시간구보다 7∼11일 빨랐다. 3. 만생종인 군포종의 개화기는 제일 늦었으나 8시간 및 12시간구에서는 비슷하고 16시간구보다 14일 단축되였으나 옥내가 옥외보다 10∼21일 빨랐다. 4. 조생종인 Peredovic은 옥내외의 적산온도차가 적어 일장보다 온도가 그리고 중만생종인 Hungary와 군포종은 옥내외 적산온도차가 커 온실보다 일장에 더 예민한 것 같다. 5. 해바라기의 개화반응은 숙기의 조만에 거의 관계없이 8∼12시간의 단일하에서 개화일수가 단축되고 16시간구에서 연장되었으며 그 정도는 품종간 차이를 보였다.

  • PDF

인삼종자 생장과정에서 사포닌, 유리당 및 지방산의 변화 (Changes in Contents of Ginsenosides, Free Sugars and Fatty Acids in Developing Ginseng Seed)

  • 이종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4-137
    • /
    • 1988
  • 인삼 종자의 발육시기별 종자 및 배유의 크기, 사포닌, 유리당 그리고 지방산의 함량을 조사하였던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자의 크기(길이, 폭, 두께) 생장은 개화후 35 일경에, 배유의 크기 생장은 개화후 50일경에 완료되었으나 장육을 제거하지 않은 종자의 무게는 개화후 65일까지 감소되었다. 2. 총사포닌 및 ginsenosides의 함량은 개화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감소되었다. 3. Glucose, maltose 및 fructose의 함량은 개화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감소되었으나 sucrose 함량은 경과일수에 따라 증가되었다. 4 Palmitic 산의 함량은 개화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경향이었으나 oleic, linoleic 및 stearic산은 경과일수에 따라 증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