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우강도 산정

Search Result 32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hear Strength on the Weathered Granite Soil Slope in Accordance with the Rainfall (강우에 따른 화강암질 풍화토 사면의 전단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 Shim Tae-Sup;Kim Sun-Hak;Ki Wan-Seo;Joo Seung-Wa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4 no.4 s.41
    • /
    • pp.349-360
    • /
    • 2004
  • This study calculated the pore water pressure, the depth of seepage, the constant of the strength in accordance with the slope inclination and the rainfall intensity over the slope built by the weathered granite soil (SP, SM). And, the change of the shear strength in accordance with the rainfall has been compared and analyzed by applying the shear strength formula of the unsaturated soil. As a result, the rainfall intensity is stronger and the slope inclination is gentler the seepage speed in accordance with the rainfall became faster proportionally.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both the theoretical value of Lumb and the actual value of the model, it can be said that the actual value is faster. Since SM shows the bigger shear strength than SP, it can also be said that as the granules increase,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becomes smaller; and as the seepage rate became smaller, it affects the seepage speed. Likewise, the shear strength within the slope displays the smallest shear strength at the inclination of 1:1.5 the reason of its decrease turned out that it was due to the increase of the pore water pressure.

Development of a Method for Integrated Standards for Prediction and Warning of Floodplain Flood Level by Urban River Section (도시하천 구간별 둔치 범람 수위 예·경보 통합기준 산정 기법 개발)

  • Moon, Hyeon-Tae;Lee, Jung-Hwan;Yoon, Jun-Seo;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97-297
    • /
    • 2021
  • 전 지구적 기후변화에 따른 돌발성 집중호우의 증가와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도시홍수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침수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중·소규모 도시하천은 대부분 홍수유출 도달시간이 매우 짧고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는 특성이 있어 집중호우에 매우 취약하여 더욱 선제적이고 정확한 홍수 예·경보가 요구된다. 현재 중·소규모 도시하천의 경우 실시간 하천수위가 위험수위에 도달할 시 하천을 통제하고 위험경보를 발령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둔치 침수에 이르는 시간이 매우 짧아 통제가 어려우며 이마저도 행정 자치구별로 예경보 운영 및 통제기준이 상이하여 실질적인 대응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우 발생 시부터 즉각적 대응을 위해 강우-수위 관계 및 상류 돌발홍수와 강우강도의 영향을 분석하여 구간별 둔치 범람 기준을 제시하고 자치구별로 상이한 예경보 수위 기준을 통합하여 산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의 주요 침수취약지구인 도림천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도시하천 특성의 내외수를 연계한 강우-유출모형(SWMM)을 이용하여 확률강우 시나리오에 따른 대상하천의 수위변화 및 도달시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중, 소규모 도시하천에의 홍수예경보시스템 구축 및 효율적인 하천방재계획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Flood Alert and Warning Scheme Based on Intensity-Duration-Quantity (IDQ) Curve considering Antecedant Moisture Condition (선행함수지수를 고려한 강우강도-지속시간-홍수량(IDQ) 곡선기반의 홍수예경보기법)

  • Kim, Jin-Gyeom;Kang, Boo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6
    • /
    • pp.1269-1276
    • /
    • 2015
  • The methodology of utilizing Intensity-Duration-flood Quantity (IDQ) curve for flood alert and warning was introduced and its performance was evaluated. For this purpose the lumped parameter model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for gauged basin data set and the index precipitation equivalent to alert and warning flood was estimated. The index precipitation and IDQ curves associated by three different Antecedant Moisture Conditions (AMCs) are made provision for various possible flood scenarios. The test basin is Wonju-cheon basin ($94.4km^2$) located in Gangwon province, Korea. The IDQ curves corresponding to alert (50% of design flood level) and warning (70% of design flood level) level was estimated using the Clark unit hydrograph based lumped parameter model. The performance evaluation showed 0.704 of POD (Probability of Detection), 0.136 of FAR (False Alarm Ratio), and 0.633 of CSI (Critical Success Index), which is improved from the result of IDQ with single fixed AMC.

Analyzing Paddy Water Demand Affected by Climate Change in Korea (기후변화에 따른 논벼 수요량 변화 분석)

  • You, Seung-Hwan;Choi, Jin-Yong;Hong, Eun-Mi;Nam, W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63-463
    • /
    • 2011
  • 농업은 다른 산업과 달리 원천적으로 기후 조건과 변화에 크게 좌우되는 분야로,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에 가장 민감한 분야이다.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농작물 생산을 위해서는 기후변화가 농업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정확히 파악하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즉 기온 상승, 강수량 및 강우강도 변화 및 일조시간의 변화 등의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기후변화가 관개용수에 미치는 영향은 기온 상승과 강수량 증가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기온상승은 증발산량 증가로 이어져 관개용수 증가의 원인이 된다. 강수량의 증가는 관개용수를 감소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계절별 강우 편차 및 강우 강도의 변화는 유효우량의 감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는 관개기의 농업용수의 안정적 공급과 관리의 어려움이 예상되어 결과적으로 농업용수의 안정성을 위협받을 수도 있다. 즉, 전체 수자원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논벼의 순용수량에 있어서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농업용수개발과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수 수요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순용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빈도분석하여 논벼의 수요량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를 위하여 먼저 CGCM3.1 (Coupled Global Climate Model Ver. 3.1) 및 LARS-WG (Long Ashton Research Station Weather Generator)를 이용하여 2011년부터 2100년까지의 A1B, A2 및 B1 시나리오별로 기상자료를 생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물수지 방법을 이용하여 논에서의 순용수량을 산정하고, 한발기준 10년빈도 순용수량을 산정하여 논벼의 수요량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향후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용수 변화를 파악하고 전망함으로써, 추후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 전략 및 농업수자원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bris Yield Prediction of Gangwon Mountain Region in Korea (강원 산간지역의 토석유출량 예측)

  • Kwon, Hyuk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82-182
    • /
    • 2020
  • 최근 지구 온난화나 기상이변으로 인해 세계각지에서 많은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최근 전국 각지에서 국지성호우에 의한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국지성호우로 인해 발생하는 산간지역의 토석류는 많은 재산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최근 토석, 토사, 혹은 부유 잡목 등의 유출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많은 사방댐을 축조하고 있으나 표면침식에 의해서 유출되는 토석량 혹은 토사량을 정확히 예측하지 못한다면 축조된 사방댐은 금방 제구실을 못할 수 있거나 혹은 과대 설계 및 시공되어 건설비를 낭비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적의 사방댐 건설을 위해 정확한 토석량의 산정은 매우 중요한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인제군 산간지역 4곳의 사방댐유역에 대해 토석량 예측모형 MSDPM(Multi-Sequence Debris Prediction Model)과 LADMP(Los Angeles District Method for Prediction of sediments yield)를 이용하여 산정한 토석량과 실제 준설량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 산간지역에 맞도록 예측모형을 보정하였으며 토석류 유발 강우강도(Threshold Maximum 1-hr Rainfall Intensity)와 토석류 유발 최소강우량(Total Minimum Rainfall Amount)개념을 도입하여 예측모형식을 적용하였다. 위 식이 갖고 있는 대표적 특징 중 하나인 산불계수를 사용해야 하지만 본 연구지역은 산불 피해규모가 미미하여 산불의 영향은 고려하지 않고 토석량을 산정하였다. 두 예측모형의 계산결과와 실제 준설량을 비교해본 결과, MSDPM의 결과가 LADMP의 결과보다 준설량과 더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준설량과 MSDPM의 계산결과는 평균 17.37%의 차이를 나타냈고 LADMP의 계산결과는 평균 41.87%의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토석량 예측 모형은 앞으로 많은 산지유역의 토석량 예측에 사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의 제한성 때문에 앞으로 많은 실측 준설자료를 통하여 예측모형식을 보정하는 작업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서 많은 산지유역의 토석량을 장시간 실측하여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를 사용하여 다양한 토석량 예측모형을 검보정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Seepage Velocity in Unsaturated Weathered Soils Using Rainfall Infiltration Test (강우침투실험을 통한 불포화 풍화토 지반의 강우 침투속도 분석)

  • Kim, Hoon;Shin, Ho-Sung;Kim, Yun-Tae;Park, Dug-Keun;Min, Tuk-Ki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8 no.2
    • /
    • pp.71-78
    • /
    • 2012
  • Rainfall infiltration test under one dimensional condition i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rainfall intensity on seepage velocity and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for initial unsaturated sediment. Experimenta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numerical simulations with respect to variations of pore water pressure, degree of saturation and discharge velocity with time, and both results give good agreement. High rainfall intensity tends to increase seepage velocity almost linearly. But it shows rapid increase as rainfall intensity approaches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sediment.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wetting front depth is partially saturated, not fully. Therefore, actual wetting front depth is considered to advance faster than theoretical prediction, which leads to slope instability of unsaturated slope due to surface rainfall.

A Study on the Livestock Resources regarding on the Discharging Characteristics from Farm Land (농지 주입 시 배출특성에 대한 축분자원화물 연구)

  • Lim, Jai-Myug;Lee, Young-Sin;Han, Gee-Bong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17 no.4
    • /
    • pp.91-102
    • /
    • 2009
  • In this study, to estimate the transforming (runoff and leachate) rate of the organic fertilizer made of livestock resources to farm land, laboratory scale test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The runoff volume from farm land showed the tendency of increas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rainfall intensity. The most rainfall leachated into the underground at the rainfall intensity of 20mm/hr, and rainfall of 5L or less leachated at the rainfall intensity of > 32.4 mm/hr. This shows that surface runoff largely depends on the rainfall intensity when soil characteristic and hardness are similar in each site. When liquid compost was fertilized, the surface runoff was similar with the results from the reactor fertilized by compost, and leachate flow was found to be lower than compost. The runoff ratio of contaminant parameters from farm land were BOD 0.00003,, $COD_{cr}$ 0.00006, TN 0.00056, TP 0.00011, TOC 0.00005, Especially, the runoff ratio of TN showed 10 folds higher than other parameters. On the other hand, the runoff ratio of SS showed higher value of 0.001, and colloid particles of soil caused this result rather than the leachate from compost fertilizer. At all ranges of rainfall intensity, fertilizer removal ratio by farm land was found to be 94.9~98.4% for compost and 85.8~98.1% for liquid compost in terms of BOD. For TN, it resulted in 96.6~98.4% for compost and 97.2~98.5% for liquid compost, and thus the most fertilizer from livestock resources were shown to be reduced through farm land application.

Development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vortex typed nonfilter nonpoint source pollution reduction device (와류형 미필터 비점오염저감장치의 개발과 실험적 검증)

  • Jang, Suk Hwan;Lee, Jae-Kyoung;Lee, Hae-Kwang;Hwang, Sung-Gy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4
    • /
    • pp.265-277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an effective vortex typed nonfilter nonpoint source pollution reduction device. To verify this pollution reduction device, a total of twelves scenarios (three rainfall intensities${\times}$two states${\times}$two step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pollutants. First, simulated inflow (rainfall intensity 2.5 mm/hr: $0.00152m^3/s$, rainfall intensity 3.395 mm/hr: $0.00206m^3/s$, rainfall intensity 6.870 mm/hr: $0.00326m^3/s$) was calculated. Second, pollutants (mixture of 25% of four particle sizes) were selected and injected. Third, pollutant removal efficiencies of this device at its initial state and operating states were measured.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rainfall intensity,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was decreased by the device at initial and operating states at all rainfall intensities. Its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was more than 80%, the standard set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ts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was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reaching approximately 90%. Its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was higher in its operating state than that in its initial state. Therefore, nonpoint source pollutants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this vortex typed nonpoint source pollution reduction device developed in this study.

Analysis of Future IDF Curves Using Various Bias Correction Method (다양한 편의보정 기법을 이용한 미래 IDF곡선의 분석)

  • Kim, Sangdan;Kim, Kyungmin;Lee, Je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23-323
    • /
    • 2018
  • 최근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미래 기후모델자료를 기반으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기후변화가 적용된 자료는 미래 수자원관리, 방재를 위한 수공구조물의 설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실무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후모델로부터 모의된 결과는 어느 정도 관측자료와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계통적 오차는 모델 내부에서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기후모델로부터 모의된 결과를 보정하기 위해 편의보정 기법을 활용한다. 그리고 미래 기후모델자료는 불확실성을 내재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편의보정 기법을 적용하여 불확실성의 범위를 확인해 보았다. 사용된 편의보정 기법으로는 Quantile Mapping(QM), Quantile Delta Mapping(QDM), Detrended Quantile Mapping(DQM), Delta Change Method(DCM)을 이용하였다. 편의보정에 적용한 확률분포형은 일반극치분포(GEV분포), Type-1 극치분포(Gumbel분포)를 사용하였다. GEV분포를 기본으로 하여 조건적으로 GEV분포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Gumbel분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전지구기후모델(Global Climate Model, GCM)인 MPI-ESM-LR에 RCP 8.5 사나리오를 강제장으로 하여 지역기후모델(Regional Climate Model, RCM)인 WRF를 이용하여 동역학적으로 다운스케일한 강우자료를 사용하였다. 강우자료 중에서 강릉, 인천, 부산, 목포지점에 해당하는 자료를 추출하여 연 최대 강우강도 시계열을 산정하고 4가지 편의보정 기법을 이용하여 편의보정을 하였다. 편의보정 수행된 연 최대 강우강도 시계열을 scale-invariance 기법으로 다운스케일하여 미래 IDF곡선을 유도한 뒤, 편의보정별로 유도한 IDF곡선의 비교를 통해 편의보정기법이 미래 IDF곡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Assessment of Landslide Susceptibility of Physically Based Model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Unsaturated Soil (불포화지반 특성을 고려한 물리적 사면 모델 기반의 산사태 취약성 분석)

  • Kim, Jin Seok;Park, Hyuck Ji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7 no.1
    • /
    • pp.49-59
    • /
    • 2014
  • Rainfall-induced landslides are caused by reduction of effective stress and shear strength due to rainfall infiltr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susceptibility of landslides, the statistical analysis approach has been used widely but this approach has the limitation which cannot take into account of landslide triggering mechanism. Therefore, the physically based model which can consider the process of landslide occurrence was proposed and commonly used. However, the most previous physically based model analyses evaluate and consider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for saturated soil only in the susceptibility analysis. But the strength parameters for unsaturated soil such as matric suction should be considered with the strength parameters for saturated soil since the shear strength in unsaturated soil also plays important role in the stability of slope.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ed the modified physically based slope model which can evaluate strength characteristics for both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soils. In addi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thickness of saturated part in slope with rainfall intensity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slope on the basis of physically based model. In order to evaluate the feasibility, the proposed model was applied to practical example in Jinbu area, Gangwon-do, which was experienced large amount of landslides in July 2006. The ROC graph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validation of the model,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previous analysis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