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갑상선수술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47초

두경부암 치료후 발생하는 갑상선기능저하증 (Hypothyroidism after Treatment for Head and Neck Cancer)

  • 조재식;이상철;임상철;김종식;박종부;심우진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01-108
    • /
    • 1997
  • 최근 5년간 전남대학교 병원에서 두경부암으로 치료받은 5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갑상선기능 검사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두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와 수술을 병행하여 치료한 경우에서 갑상선기능저하증 발생빈도가 높았고, 특히 후두적출술을 시행한 경우는 위험성이 증가되었다. 2. 종양의 임상병기가 높을수록, 원발병소가 설골 하부인 경우에서 병합요법을 시행할수록 갑상선기능저하증 발생빈도가 높았다. 3. 연령, 성, 방사선 조사량, 치료후 갑상선 검사까지의 기간 사이에는 갑상선기능저하증 발생에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는 인자는 없었다. 따라서, 위험군에서는 추적관찰 도중 갑상선기능 저하증의 임상적 증후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정기적인 갑상선 기능 검사를 통해 조기 발견해서 levothyroxine 보충치료로 임상적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의 진행을 예방하여야 한다.

  • PDF

인공지능 딥러닝을 이용한 갑상선 초음파에서의 갑상선암의 재발 예측 (Deep Learning in Thyroid Ultrasonography to Predict Tumor Recurrence in Thyroid Cancers)

  • 길지은;김광기;김영재;구혜령;박정선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5호
    • /
    • pp.1164-1174
    • /
    • 2020
  • 목적 수술 전 초음파 검사에서 갑상선 종양의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심층 학습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수술 전 초음파에서 병리학적으로 확진된 갑상선 수술을 받은 229명의 환자(남성:여성 = 42:187, 평균 연령, 49.6세)의 대표적인 초음파 이미지를 포함시켰다. 각각 대표적인 횡축 또는 종축 초음파 이미지가 선택되었다. 신경 네트워크용 Python 2.7.6 및 Keras 2.1.5,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사용한 심층 학습이 사용되었다. 재발한 환자와 재발이 없는 환자의 임상 및 조직학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그룹 간의 심층 학습 모델의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곡선 아래의 영역은 재발 갑상선암을 예측하기 위한 심층 학습 모델의 예측에 사용되었다. 결과 전체 환자 229명 중 49명이 종양 재발(21.4%)을 보였다. 종양의 크기, 다원성은 재발이 없는 군과 재발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재발성 갑상선암 예측을 위한 심층 학습 모델의 전반적인 평균 area under the curve (이하 AUC) 값은 0.9 ± 0.06이었다. 평균 AUC는 macrocarcinoma에서 0.87 ± 0.03, microcarcinoma에서 0.79 ± 0.16이었다. 결론 갑상선암의 초음파 이미지를 이용한 심층 학습 모델로 갑상선암 재발의 예측 모델 구축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갑상선 결절에 대한 세침 흡인 세포 검사와 중심부 바늘 생검의 비교: 수술 검체를 기반으로 한 전향적, 실험적 비교 연구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vs. Core Needle Biopsy for Thyroid Nodules: A Prospective, Experimental Study Using Surgical Specimen)

  • 권혁;이잔디;홍순원;권형주;곽진영;윤정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645-657
    • /
    • 2022
  • 목적 수술 검체를 사용하여 동일한 갑상선 결절에 시행한 세침 흡인 세포검사와 중심부 바늘 생검의 진단 결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5년 2월부터 2016년 1월까지 88명의 20 mm 이상 크기의 89개의 갑상선 결절이 연구에 포함되었다(평균 크기: 40.0 ± 15.3 mm). 갑상선이 적출된 후 검체에 초음파 보조하에 세침 흡인 검사와 중심부 바늘 생검을 차례대로 시행하였다. 세포 병리 검사 결과는 수술 병리 진단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89개의 결절 중 30개는 악성, 59개는 양성이었다. 악성 결절에서 양성 결절보다 유의하게 비진단적 세침 흡인 검사 결과율이 높았다(80.0% vs. 39.0%, p < 0.001). 중심부 바늘 생검의 경우 양성과 악성 결절 사이에 결과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796). 크기가 40 mm 이상인 결절과(62.5% vs. 22.9%, p = 0.028) 초음파 소견과는 상관없이, 악성 결절에서 비진단적 세침 흡인 검사 결과율이 높았다. 30개의 갑상선암 중 11개(36.7%)가 중심부 바늘 생검으로 진단되었으나, 세침 흡인 검사에서는 진단된 검체가 없었다. 결론 수술 검체를 이용한 본 실험 연구에서, 중심부 바늘 생검은 갑상선암에 대한 진단적 민감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되돌이후두신경과 상후두신경의 수술중 신경감시 (Intraoperative Neuromonitoring of Recurrent Laryngeal Nerve and Superior Laryngeal Nerve)

  • 하정훈;진영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15
    • /
    • 2015
  • Intraoperative neuromonitoring of thyroid surgery has gained universal validity to help in nerve identification, safe nerve dissection, and prediction of postoperative vocal cord function. In this article, standard intraoperative neuromonitoring procedure, interpretation about loss of signal, and the indications covered by health insurance will be described.

  • PDF

악성 갈색세포종 및 갑상선수질암의 $^{131}I-MIBG$을 이용한 치료 ($^{131}I-MIBG$ Therapy in Malignant Pheochromocytoma and Medullary Thyroid Carcinoma)

  • 윤종길;류백렬;이창희;정상훈;천영국;최창운;임상무;홍성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9-327
    • /
    • 1995
  • 목적 : 악성 갈색세포종 및 갑상선수질암의 치료에서 $^{131}I-MIBG$의 유용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 1993년 2월부터 1995년 2월까지 원자력병원에서 $^{131}I-MIBG$를 이용하여 치료한 악성 갈색세포종 3예, 갑상선수질암 6예(1예은 다발성 내분비선종 제IIb 형)에 대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악성 갈색세포종 3예중 수술후 미소전이 병소에 대해 치료한 1예는 19개월간 무병기간을 유지하고 있으며, 수술후 재발한 1예는 불변, 절제가 불가능한 1예는 진행하였다. 갑상선수질암 6예중 평가 가능한 경우는 5예였으며, 완전관해가 2예, 그 중 1예는 완전관해후 9개월에 재발, 불변이지만 증상의 호전이 1예, 진행이 2예였다. 진행되는 환자의 특징은 진단시에 절제불능이거나 수술후 종양이 남아있는 경우로 보였다. 결론 : $^{131}I-MIBG$ 치료는 수술후 미소전이 병소의 치료와 수술후 재발 혹은 전이성 갈색세포종 및 갑상선수질암에서 일부 효과가 있어 다른 선택 가능한 치료방법이 없을 경우 시도해 볼만한 치료방법으로서 향후 충분한 임상례를 통하여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분화성 갑상선암 환자에서 수술범위의 선택 (The Surgical Treatment of Choice for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DTC))

  • 차성재;박성준;임현묵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0-205
    • /
    • 1997
  • 결론적으로 저위험군환자에서는 수술방법 및 수술후 보조적인 치료법인 방사선요드동위원소 치료 및 갑상선 흐르몬 억제 치료가 생존을 증가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이러한 이유는 사실상 이들 환자에서는 사망률의 위험성이 거의 없어 생존율을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위험군에서는 광범위한 수술방법을 피하고 고위험군에서는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수술방법이 선택되어야 하며 갑상선 전절제술은 확실한 예후의 증가나 다른 적절한 치료 방법이 없을 경우 조심해서 선택되어야 된다고 사료된다.

  • PDF

갑상선암에 대한 고주파 절제 적용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Application of Radiofrequency Ablation to Thyroid Cancer: Past, Present, and Future)

  • 김지훈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5호
    • /
    • pp.999-1008
    • /
    • 2023
  • 발생률이 높고, 예후는 좋지만 재발을 잘하는 경향이 있는 갑상선암에서도 전통적인 치료법은 수술이다. 하지만, 2000년대 초반부터, 간암, 폐암, 신장암에서와 마찬가지로 고주파 절제술이 원발 갑상선암 및 재발 갑상선암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원발암에서는 1 cm 이하 크기의 미세유두암 저위험군에서 수술 불가능한 경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고, 1 cm보다 더 크고 4 cm 이하의 다양한 군에 대해서도 일부 연구가 시행되었으며, 전반적으로 모두 양호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재발암에 대해서도 주로는 국소 경부 재발암에 고주파 절제술이 시행되었으며, 일부 폐, 뼈 등의 원격 전이에 대해서도 시도되었고, 전반적으로 양호한 결과가 보고되었다. 최근 들어, 한국, 미국, 유럽 등 각지에서 갑상선암의 고주파 절제술에 대해 옹호하는 움직임이 있다. 하지만, 미국 국립 종합 암 네트워크(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등의 중립적인 임상지침에는 고주파 절제술이 아직 인정되지는 않은 상태이다. 지금까지의 노력들과 미래의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가까운 미래에 갑상선암의 치료에 있어 고주파 절제술이 적절한 자리매김을 할 것으로 전망한다.

소아의 미만성 경화 변종 갑상선 유두암: 증례 보고 (Diffuse Sclerosing Varia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in a Child: A Case Report)

  • 변승희;유선경;강성수;신경숙;이정은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5호
    • /
    • pp.1250-1254
    • /
    • 2020
  • 미만성 경화 변종 갑상선 유두암은 갑상선 유두암의 드문 변종이다. 저자들은 통증을 동반하지 않은 미만성 갑상선 비대를 보였던 9세 여자 환아에서 발생한 미만성 경화 변종 갑상선 유두암의 드문 증례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환아는 갑상선 과산화효소 항체에 양성이었고, 처음에는 하시모토 갑상선염으로 진단받았다. 하지만 갑상선 초음파 상에서 미만성 경화 변종 갑상선 유두암의 특징적인 초음파 소견을 보였고, 수술 후 미만성 경화 변종 갑상선 유두암으로 확진되었다. 비록 소아에서 갑상선암은 드물지만 갑상선 비대를 보일 때 미만성 경화 변종 갑상선 유두암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초음파를 시행함으로써 갑상선암의 진단이 지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중증 근무력증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Myasthenia Gravis)

  • 강정수;김길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9호
    • /
    • pp.1010-1016
    • /
    • 1996
  • 중증근무력증환자에 있어서 흉선 절제술은 대상이 되는 환자의 선택 기준이나 수술시기, 수술 방법에 있어서 아직까지 논란이 되고 있지만 긍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치료 방법이다. 연세대학교흉부외과 학교실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는 1983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중증근무력증으로 흉선 절제술을 시행한 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수술 사망은 1명에서 발생하였고 수술 후 추적은 75명에서 가능하였고 평균 추적기간은 56.9개월 이었다. 완전관해된 28명(37.3%)을 포함하여 64명(85.3%)에서 수술로 인한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동반된 질환으로는 갑상선 질환이 8예로 가장 많았는데 이중 7명(87. 5%)이 완전관해를 보여 갑상선 질환을 동반하지 않은 환자 67명중 21명(31.3%)의 완전관해보다 높은 치료 성공율을 나타내었다. 수술 전 병력 기간이 2년 미만인 환자 32명중 16명(50%), 2년 이상인 환자 43명중 12명(27.4%)이 완전관해를 보여 수술전병력 기간이 2년 미만인 경우 높은 치료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중증근무력증환자에 있어서 흉선 절제술 후 완전관해율은 갑상선 질환의 동반 여부와 수술 전 병력기간에의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ulcorner었으며 병의 발생 연령(40세 이상),흉선종의 동반,고령 및 남자의 경우 수술 후 완전관해율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흉선의 조 직학적 소견으로 정상과 흉선 비후사이에 있어서 완전관해율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흉선 절제술은 대부분의 중증근무력증환자에 있어서 효과가 있었으나 임상증상적 분류로 기 속한 환자군은 수술로 인한 효과가 없었다.

  • PDF

선천성 갑상선 발육이상 9례(例)에 대한 보고 (A Clinical Report of 9 Cases of Congenital Thyroid Dysgenesis)

  • 이삼열;이석재;이혁진;전성은;박윤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06-211
    • /
    • 1994
  • 1) 선천성 갑상선 발육이상 환자 9명 모두, 경부종피를 호소하였으며, 이 중 1예는 연하통을 동반하였다. 2) 선천성 갑상선 발육이상을 세분하여보면, 이소성갑상선이 44.4%,편측발육부전 및 이소성갑상선을 동반한 경우가 33.3%였고, 편측발육부전을 보인 경우가 22.2%였다. 3) 이소성갑상선을 위치별로 보면 설기저부가 6예(85.7%-1예 중복됨), 갑상설관이 2예였다. 4) 정상 갑상선기능을 보인 경우가 77.8%였고, 갑상선기능저하증을 보인 경우가 22.2%였다. 정상기능을 보인 7명의 환자 중 4명에서 갑상선자극호르몬(TSH)이 증가되어 있었다. 5) 총 9명중 7명에서는 갑상선억제요법만 시행하였고, 2명에서는 갑상선억제요법에 반응하지 않아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2명 모두 설갑상선이었다. 수술후 계속적으로 갑상선호르몬을 복용중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