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영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5초

조선후기 경기감영의 인원 구성과 시설 특징 (Characteristic of Personnel Organization and Facility of Gyeonggi Kamyoung during Late Joseon)

  • 이선희
    • 동양고전연구
    • /
    • 제73호
    • /
    • pp.185-217
    • /
    • 2018
  • 이 글은 조선시대 8도 중에서 유일하게 감영지가 전하지 않는 경기감영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감영지 관직조와 공해조에 담겨야할 감영 기구의 인적 구성 체계와 시설 내역 및 배치를 재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내 최고 통치권자인 관찰사의 기구인 감영은 7도의 경우 지리지류에 감영지가 현재 남아있어 연혁과 구성을 자세히 알 수 있다. 그러나 경기감영만은 감영지가 발견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런 까닭에 현재적 경기감영지의 재구성을 목표로, 여러 사료에 파편적으로 분산된 자료들을 종합하여 경기감영의 인적 시설 구성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8도 감영이 갖는 행정적 단일성과 지역적 특수성을 분별하기 위한 종합 연구의 바탕이 되고자 한다. 감영 기구의 인적 구성은 중앙에서 파견되는 관원, 영리 및 기타 관속 등으로 양분하여 살폈다. 첫째 감영 구성원 중 중앙에서 파견되는 관원에 대해서는 "기영장계등록"의 포폄등록에 기반하였다. 관찰사의 포폄 내용을 보면, 도사 중군 검률이 타도와 동일한 관품과 임무를 수행하였다. 타도와 차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심약의 부재이다. 심약은 1700년부터 경기감영에는 파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7도 감영에는 여전히 심약이 파견되었다. 둘째 영리와 기타 관속의 구성 내용은 "기영신정사례"에 기반하였다. 경기감영에는 6방을 비롯하여 50가지 직임으로 분류된 영리와 관속이 208명이 소속되었다. 영리는 타도와 비교하여 적은 규모였고, 6방 승발 계서 등과 각종 색장 등이 구성되었다. 감영 기구의 시설 구성은 포정문을 정문으로 담장이 둘러쳐진 공간을 감영으로 국한하고, 감영 밖에 설치된 감영 관련 기구와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첫째 감영 건물은 "경기감영도"에 기반하였다. 타도와 마찬가지로 감영의 정청인 선화당이 중앙에 위치하였다. "경기감영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감영 내부 건물은 관풍각 내아 도사청 영리청 신당 사우 등이다. "기영신정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다른 건물로는 군관청 영리청 형리청 등 22곳이다. 주목되는 점은 영리청이 있지만 별도로 형리청이 별도로 구성된 것이다. 경기감영 밖 관련 시설은 경기빈관 경기중군영 고마청 경교 등이다. 조선 후기에 조밀하게 번성한 서대문 밖에 경기감영이 작은 규모였지만 관련 시설을 요소별로 감영 주변에 구축하였다.

18세기(世紀) 충청감사(忠淸監司)의 감영처(監營處) 및 도내(道內) 읍치시설(邑治施設) 이용(利用) - 교구(交龜), 순역(巡歷) 및 행례(行禮)를 중심(中心)으로 - (The Chungcheong-Gemsa's Utilization of Governing Institutions in 18th Century - Focused on Kyogwi, Sulryeok and Ritual Ceremony -)

  • 여상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43-153
    • /
    • 2008
  • 최근 구도심내 청사(廳舍)의 이전과 함께 도심 내 읍치시설(邑治施設)의 발굴 및 복원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 보전 또는 활용 가능한 읍치를 사적으로 지정하려는 움직임도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읍치시설의 복원 혹은 재정비와 함께 제기되는 문제의 하나는 그의 활용문제라 할 수 있고, 이와 관련하여 조선시대 관찰사(觀察使)와 관련된 각종 의례(儀禮)나 행사의 재현이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증하는 요구에 비하여 관련 자료의 발굴과 연구는 대단히 부족한 형편이다. 본 연구는 18세기 충청도(忠淸道)를 대상으로 충청감사(忠淸監司)가 작성한 사료인 일기(日記) ($\ulcorner$충청감영일기(忠淸監營日記$\lrcorner$, $\ulcorner$호서감영일기(湖西監營日記)$\lrcorner$ $\ulcorner$금영일기(錦營日記)$\lrcorner$)를 분석하여 감사(監司)의 도임(到任)과 교구(交龜), 감영처(監營處)에서의 집무(執務) 및 행례(行禮)와 관련된 감영시설(監營施設)의 실패적 이용 상황은 물론 감사(監司)의 순역(巡歷)과 관련지어 순역(巡歷) 행로(行路)와 순역시(巡歷時) 도내(道內) 각 읍치(邑治)에서 실재 행해진 행례(行禮)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각 도별로 확대되면 각 도 관찰사와 연관된 읍치시설 활용 및 행례의 각 도별 공통점과 특수한 점들이 드러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각 읍치시설의 활용과 각종 행례 재현에 실증적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감영 복원사업의 계획수립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모델 구축 (Decision Support Model for Establishing Plans of Gamyeong Restoration Project)

  • 김종훈;한찬훈;안대환;차민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51-86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감영 복구사업 계획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지원 모델 개발을 통해 감영의 우선 복원대상 건물 선정 업무에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검토기준을 마련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문헌고찰을 통한 평가항목 도출과 이를 정립하기 위해 델파이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평가항목 가중치 부여를 위한 AHP 설문을 수행하였다. 도출된 지원모델은 복원대상 건물들 간의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평가 항목별로 점수화하여 표현함으로써 복원예산 편성 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전문가 자문결과 본 연구의 모델이 실제 복원사업의 계획수립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201}Tl/^{99m}Tc$ 감영스캔으로 부갑상선종괴를 얼마나 찾을 수 있는가? (Is $^{201}Tl-^{99m}Tc$-Subtraction Scan an Accurate Diagnostic Method to Detect Parathyroid Mass?)

  • 양형인;김덕윤;김광원;최영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1-36
    • /
    • 1994
  • $^{201}Tl-^{99m}Tc$ 감영스캔이 시행되었던 65명의 환자에서 $^{201}Tl-^{99m}Tc$ 감영스캔의 진단적 가치와 위 음성과 위 양성의 원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들 중 21예가 부갑상선선종으로 확진되었고, 이들에서 $^{201}Tl-^{99m}Tc$ 감영스캔의 예민도는 90.5%, 특이도는 97.6%였다. 위 음성을 보인 예는 낭종성 괴사를 보인 부갑상선선종과 크기가 $1.5{\times}1{\times}0.8 cm$ 정도로 작은 종양이었다. 위 양성을 보인 1예는 무 기능성 갑상선종이었다. 결론적으로 $^{201}Tl-^{99m}Tc$ 감영스캔은 부갑상선 종괴를 찾아내는데 특이도와 예민도가 높은 검사로 생각된다.

  • PDF

포크(Foulk)의 일기에 기록된 전라감영의 접대문화 (Hospitality Culture of Jeollagamyoung Recorded in Foulk's Diary)

  • 송영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573-592
    • /
    • 2019
  • 본 연구는 1884년 11월 10일, 12시 10분에 전주에 도착하여 2박 3일간 머문 죠지 클레이턴 포크의 일기를 바탕으로 하였다. 머무는 동안 감사로부터 대접받은 음식, 술, 연회, 선물 등으로 당시 전라감영의 문화를 알 수 있었다. 특히 포크는 기록으로 부족한 내용을 그림으로 그리고 설명을 더했는데, 11월 11일 아침 10시에 전라감사로부터 특별히 대접받은 아침밥상의 반배도를 그려두었다. 이는 음식과 관련된 고문헌이 전무한 전주에서는 조선시대의 음식문화를 알 수 있는 최고(最古)이자 최초(最初)의 자료로 매우 가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다른 학자들이 발표한 포크 일기와 관련된 연구에서 오류를 바로 잡고자 하였다. 따라서 포크의 일기를 당시 조선을 다녀간 많은 외국인들의 기록을 바탕으로 재해석하였으며, 다른 연구 분야와 통섭하여 전라감영 전체의 접대 문화를 살펴보았다. 이는 135년 전 외국인의 눈에 비친 전라감영의 문화를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데 큰 의미를 둔 연구결과다.

조선후기 강원감영의 후원조영(造營)과 신선세계 (The Back Garden Structure and the Symbolism of Immortal World of Gangwon Provincial Office in Late Joseon Dynasty)

  • 이상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3호
    • /
    • pp.12-31
    • /
    • 2016
  • 사적 제439호인 강원감영은 1395년 원주에 처음 설치된 이래 1895년 23부제의 실시로 폐지되기까지 500년 동안 존속하였다. 강원감영은 관찰사의 겸목제(兼牧制) 시행으로 17세기 이후 본격적 영건이 시작되어 폐지 직전까지 약 50동 670칸 규모로 존속되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겪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전각이 훼철되어 2005년 시설 일부를 수리 복원하였고, 현재는 (구)원주우체국 철거 후 감영 후원(後園)에 해당되는 시설을 복원 중에 있다. 강원감영 후원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원주수비대 운동장이 조성되면서 전부 없어졌다. 후원 조성을 위한 발굴조사 결과 연못 일부와 건물지가 확인되긴 했으나, 그 전모를 밝히기에는 유구의 교란과 훼손이 심하였다. 그러나 문헌과 그림 등을 통해 후원 전각들을 고찰해본 결과 연못 안에는 봉래각(蓬萊閣) 영주사(瀛洲?:관풍각) 채약오(採藥塢) 조오정(釣鰲亭) 홍교가 건립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연못 밖에는 환선정(喚仙亭)과 방장대(方丈臺)가 건립되어 있었다. 후원 전각의 조성경위와 명칭을 살펴보면 모두 신선과 관련되어 있다. 연못 안에는 전설의 신선세계인 삼신산(三神山)을 의미하는 삼도(三島)를 만들고, 그 위에 전각을 지었다. 봉래각을 시작으로 후원에 건립되는 전각들에 영주 방장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나머지 전각들에도 선가(仙家)의 이름을 부여했다. 후원뿐 아니라 그 주변의 전각들에도 신선과 관련된 이름을 붙였다. '봉래산'인 금강산을 관할했던 강원감영 후원에 이와 걸맞는 신선세계를 조영하였던 것이다. 강원도관찰사들은 여가에 수시로 후원에 나가 신선이 되어 탈속하는 풍류를 즐겼고, '봉래주인', 즉 신선세계의 주인이라 자처하였다. 강원감영은 금강산이 소재해 있던 강원도의 특징이 잘 반영된 신선세계가 구현되어 있었다는 매우 독특한 역사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19세기 원주감영, 함흥감영, 해주감영 측우기 강우량 복원 (Restoration of 19th-century Chugugi Rainfall Data for Wonju, Hamheung and Haeju, Korea)

  • 김상원;박준상;김진아;홍윤
    • 대기
    • /
    • 제22권1호
    • /
    • pp.129-135
    • /
    • 2012
  • This study restores rainfall measurements taken with the Chugugi (rain gauge) at Wonju, Hamheung, and Haeju from the Deungnok (government records from the Joseon Dynasty). We restored rainfall data corresponding to a total of 9, 13, and 18 years for Wonju, Hamheung, and Haeju,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tored data, we reconstructed monthly rainfall data. Restoration was most successful for the rainy season months of June, July and August. The restored rainfall data were compared with the summer rainfall data for Seoul as recorded by the Seungjeongwon (Royal Secretariat). In June, the variation in the restored rainfall data was similar to that of the Seungjeongwon data for Seoul. In July and August, however, the variations in the reconstructed data were marked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Seoul data (Seungjeongwon). In the case of the worst drought in the summer of 1888, a substantial shortage of rainfall was found in both the Seungjeongwon data for Seoul and the restored data for the three regional lo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