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사 성향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5초

임상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감사성향, 희망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Grateful Disposition, Hope on Nursing Performance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 김영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257-266
    • /
    • 2023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감사성향, 희망 및 간호업무성과에 대하여 조사하고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K시, P시 및 S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총 323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2년 7월부터 2022년 8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해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간호업무성과는 4점 만점에 평균이 3.01점, 간호일터영성은 7점 만점에 4.48점, 감사성향은 7점 만점에 4.23점, 희망은 4점 만점에 2.77점으로 나타났다. 간호업무성과는 간호일터영성(r=.58, p<.001), 감사성향(r=.41, p<.001), 희망(r=.47,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보였다. 간호업무성과에 감사성향(β=.417 p<.001), 희망(β=.357 p<.001), 간호일터영성(β=.235 p<.001)은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설명력은 30.1%이었다. 따라서 간호업무성과 향상을 위해서 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감사성향, 희망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인력관리 제도가 요구된다.

중고등학생의 마음챙김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의 이중 매개효과 (The effect of mindfulness on happines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gratitude and self-esteem)

  • 김덕형;신은미;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59-67
    • /
    • 2024
  • 본 연구는 중고생의 마음챙김과 행복의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의 이중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충남의 S시에 재학중인 중고등학생을 유의표집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는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이중 매개효과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마음챙김, 감사성향, 자아존중감 및 행복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 간에는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은 중고등학생의 마음챙김과 행복의 관계에서 이중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마음챙김, 감사성향 및 자아존중감 등 심리적 변인을 활용하여 행복 증진을 위한 새로운 실천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신입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감사성향, 자아존중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pathy Ability, Gratitude Disposition, Self-Esteem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 New Nursing Students)

  • 이주영;이도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51-360
    • /
    • 2021
  • 본 연구는 신입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감사성향, 자아존중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S시에 위치한 신입 간호대학생 225 명이다. 자가 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Win 24.0 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신입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사성향(��=.32, p<.001), 공감능력(��=.32, p<.001)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변인들은 신입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총 34.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감사성향이 포함된 간호전문직관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기여되길 기대한다.

중년 직장인의 퇴직 불안이 중년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감사성향의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retirement anxiety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on the midlife crisis: The mediating effect of gratitude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우창미;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153-162
    • /
    • 2024
  • 본 연구는 중년 직장인의 퇴직 불안이 감사성향을 경유하여 중년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조절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여 중년 직장인의 중년위기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40~65세 중년층 직장인 313명이며, 자료는 SPSS Win. 25와 SPSS PROCESS macro 4.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이 적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퇴직 불안은 감사성향, 자아존중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중년위기감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아존중감은 퇴직 불안이 감사성향을 경유하여 중년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시키는 조절된 매개역할을 하였다. 중년 직장인의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은 퇴직 불안이 중년위기감을 증가시킬 때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edictors of Subjective Happiness for Nursing Students)

  • 조금이;박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60-169
    • /
    • 201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 정도를 알아보고, 아울러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중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자는 385명의 간호대학생이었고, 자료는 일반적 특성과 긍정적 정서, 감사 성향, 몰입,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행복감으로 구성된 자가보고 질문지로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사 성향, 자아존중감, 몰입, 신체적 건강상태, 긍정적 정서 및 경제상태 순이었으며, 이들 요인들은 주관적 행복감을 49.4% 설명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사성향, 자아존중감 및 몰입의 순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 증진을 위해서는 감사성향, 자아존중감 및 몰입을 높일 수 있는 중재 방안을 개발하고 적용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간호사의 희망, 감사성향, 일터영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pe, Grateful Disposition, Workplace Spirituality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mong Nurses)

  • 임소희;최은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77-286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사의 희망과 감사성향, 일터영성이 조직시민행동정도를 파악하고,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간호조직문화를 형성 및 증진시켜 간호조직의 효율적이고 경쟁력 있는 인적자원관리방안을 제시하고,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종합병원 이상의 4개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희망(${\gamma}=.22{\sim}.36$, p<.001), 감사성향(${\gamma}=.38$, p<.001), 일터영성(${\gamma}=.38{\sim}.54$, p<.001), 조직시민행동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일터영성(${\beta}=.54$, p<.001), 이직희망(${\beta}=.12$, p<.001), 희망(${\beta}=.09$, p<.001), 감사성향(${\beta}=.08$, p<.001)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설명력은 41.6%이었다. 본 연구는 간호조직에서 아직 초기단계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일터영성에 대한 기초이론을 체계화하였고,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을 유발시키기 위해 간호사의 희망, 감사성향, 일터영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지원 제도가 요구된다.

디자인씽킹 기반 단계별 메타버스, 생성형 AI, 스크래치를 활용한 기독교 에듀테크 프로그램에서 학습자의 감사 성향이 컴퓨터 사고력과 디지털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learners' gratitude disposition on computer thinking ability and digital efficacy in a Christian edu-tech program utilizing metaverse, generative AI, and Scratch based on a design thinking-based step-by-step process)

  • 김수연;고봉익;서응교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8권
    • /
    • pp.231-262
    • /
    • 2024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 기반 단계별 메타버스, 생성형 AI, 스크래치를 활용한 기독교 에듀테크 프로그램에서 학습자의 감사 성향이 컴퓨터 사고력과 디지털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I장). 연구 내용 및 방법 : 연구 대상은 2024년 1월 20일, 27일 2주 동안 청소년 기독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명의 중·고등학생의 학습자이다. 프로그램 사후 설문지 검사를 통한 감사성향, 컴퓨터 사고력, 디지털 효능감을 측정하여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 학습자 인식 분석을 위해서 개방형 문항의 설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II장). 결론 및 제언 : 연구 결과 첫째, 학습자의 감사 성향이 컴퓨터 사고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감사 성향이 디지털 효능감 하위 구인 중 자신감, 친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디지털 효능감 하위 구인 중 유용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독교 교육에서 디자인씽킹 기반 에듀테크 프로그램에서 메타버스, 생성형 AI, 스크래치 활용을 통한 학습자의 경험 인식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언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추후 디자인씽킹 기반 기독교 교육 프로그램 진행 시 교수자에게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제공되기를 바란다(III장, IV장).

간호대학생의 희망, 감사성향이 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pe and Gratitude on Spirituality among Nursing Students)

  • 조명주;전원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69-576
    • /
    • 2014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affecting spirituality in nursing students. Method: A total of 247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t-tests,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via SPSS WIN 18.0. Results: The mean scores for hope, gratitude, and spirituality were above-average.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spirituality according to religion, religious activity, voluntary service,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field, and motivation for entering a college of nursing. Spirituality positively correlated with hope and gratitude. Significant predictors of spirituality included hope, gratitude, voluntary service and religious activity.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51.3% of perceived spirituality. Conclusion: To improve spirituality among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ors should develop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to promote hope and gratitude, and support participation in voluntary service and religious activity.

알코올의존자의 변화동기 설명 요인 (The Study on Predictors of Motivation to Change in People with an Alcohol Dependence)

  • 조금이;박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762-5770
    • /
    • 2013
  • 본 연구는 알코올의존자의 변화동기를 설명할 수 있는 개인 음주관련 특성과 심리사회적 및 영적 변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횡단적 조사연구이며, 대상자는 2개의 도시에 소재한 5개 병원에 알코올의존으로 진단을 받고 입원 중인 알코올의존자 209명이었다. 측정은 개인 음주관련 특성과 심리사회적 및 영적 변인을 포함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알코올의존자의 변화동기를 설명할 수 있는 주요 변인은 감사성향, 전문가 지지 및 최초 입원시기 연령이었고, 이들 변인은 변화동기를 22.7% 설명하였다. 변화동기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은 변인은 감사성향이었고 다음은 전문가 지지였다. 결론적으로 알코올의존자의 변화동기 향상을 위해서는 감사성향과 전문가 지지와 같은 강점과 자원의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행복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ppiness of Nursing Students)

  • 김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385-395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이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3개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1월 1일부터 11월 20일까지였으며, 최종 21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행복감은 $27.77{\pm}.2.99$점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행복감은 스트레스(r=-.889, p<.001)에서 역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감사성향(r=.335, p<.001), 사회적지지(r=.334, p<.001)에서 정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스트레스(${\beta}=-.848$, p<.001), 감사성향(${\beta}=.126$, p<.001), 전 학기 평점(${\beta}=-.083$, p=.003), 사회적지지(${\beta}=.090$, p=.005) 순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행복감에 대한 설명력은 84.0%였다. 본 연구를 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