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갈등해결 성향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SNS 사용자 유형 및 이용방식과 갈등유형에 따른 갈등해결 성향 분석 (Analysis of Propensity for Conflict Resolu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SNS Users, Usages and Conflicts)

  • 이은주;박대하
    • 서비스연구
    • /
    • 제5권2호
    • /
    • pp.149-159
    • /
    • 2015
  • 논문에서는 SNS 사용자들이 SNS를 통하여 자신의 갈등을 해결하려는 성향을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아젠(Ajzen)의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근거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여 SNS 사용자 유형, 서비스 이용방식, 갈등유형이 SNS 사용자의 갈등해결 의도와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SNS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사용자일수록, 개인과 개인 간의 갈등이 높은 사용자일수록 SNS를 통하여 자신의 갈등을 해결하려는 성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편의점 가맹본부와 가맹점주의 갈등형성요인이 갈등해결성향과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Conflict Resolution Type and Relationship Performance by Conflict Formation Factors between Convenience Store Franchise Headquarters and Franchise Stores)

  • 이재학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7권1호
    • /
    • pp.161-18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conflict formation, conflict resolution type, and relationship performance between convenience store franchise headquarters and franchise stores operated by the franchise system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conclusion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e factor of conflict between convenience store headquarters and franchisee was tied to three factors such as goal disagreement, doctrinal discrepancy, and interdependence, whereas conflict resolution type was linked to three factors such as cooperation type, attack type, and avoidance type. Finally, the relationship performance is tied to three factors: financial performance, long-term cooperation,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Second, as a result of Hypothesis 1, the interdepend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hen the cooperative type w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target discrepancy was significantly positive(+) when the aggressive type w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interdependence was significantly negative(-) when the avoidance type was the dependent variable. There also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in the target disagreement. Third, for Hypothesis 2, it is shown that target inconsistency is negative(-) for all cases where financial performance, long-term cooperation,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re dependent variables. Fourth, for Hypothesis 3, when the financial performance is the dependent variable, only the cooperative type shows a positive(+)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ng-term cooperation and the non-financial aptitude are the dependent variables, the cooperative type h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A Structural Analysis of News Narratives on Labor Movements in Korea

  • 전범수;장원용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16권
    • /
    • pp.136-167
    • /
    • 2001
  • 본 논문은 1996년 노동법 개정을 둘러싼 노동계의 총파업에 대해 보수적 성향을 갖는 조선일보와 진보적 성향을 갖고 있던 한겨레가 어떠한 방식으로 이러한 쟁점을 재현하고 해석하는 지를 분석했다. 당시의 노동계 총파업은 내부적으로는 민주화에 따른 시민사회의 성숙과 외부적으로는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따른 국가 간 경쟁의 가속화라는 두 가지 정치경제학적 요인이 교차하는 공간에서 일어났으며, 동시에 광범위한 국민적 지지를 확보한 파업으로 그 상징적 의미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주요 사회적 쟁점에 대한 두 신문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질적 분석 방법인 서사분석(Narrative Analysis)과 양적 분석 방법인 조응분석(Correspondence Analysis)을 사용했다. 서사분석은 사건의 발생과 진행 그리고 결말 과정에서 대립되는 행위자의 상징적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쟁점에 대한 신문사간의 뉴스보도의 차이점 또는 유사성을 구분할 수 있으며, 조응분석은 주요 쟁점에 대해 행위자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서로 연계되는 지를 파악함으로써 역동적으로 총파업에 대한 행위자들의 관계의 변화를 공간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서사분석 결과, 두 신문은 각각 서로 다른 서사구조를 기반으로 주요 행위자의 담론적 기호를 정반대로 구성하고 있었다. 사건 발생 단계에서는, 두 신문이 각각 국가 경쟁력 강화와 노동전 보호를 중심적인 서사구조로 설정해 차이를 보였으며, 대통령 및 여당과 민주노총이 대립적인 행위자로 설정되었다. 사건의 발전 단계에서는, 총파업의 불법성과 적법성 문제에 대한 갈등을 기본 서사구조로 제시한 채, 노동계를 포함한 시민사회와 정부기관이 대립적인 행위자로 등장했다. 사건의 갈등 해소 단계에서는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두 신문이 대통령과 야당 지도자간의 정치적 해결과 노동법 통과에 대한 위헌론 제기를 중심으로 한 노동단체들의 지속적인 연대를 중심 서사구조로 각각 제시했다. 이 시기에서 주요 행위자들의 대립관계는 종료되었다. 조응분석 결과, 사건 발생과 위기 고조 단계, 그리고 갈등 해소 단계등 모든 시기에서 두 신문의 주요 행위자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났다. 다시 말해, 조선일보는 기본적으로 총파업을 둘러싼 문제의 구성과 발전, 해소 과정에서 정당이나 대통령, 야당 지도자 등과 같은 정치관련 행위자를 강조하고 있었다. 반면에, 한겨레는 대체로 로든 사건진행 단계에서 노동 관련 단체들과 시민단체의 역동적인 연대와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중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부모양육태도 및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to Parenting Attitude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 이희영;오현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301-309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to parenting attitude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9(male 171; female 178) 8th graders. Participants completed 1) a brief demographic data questionnaire, b) the Parenting Attitude Inventory, 3)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and 4)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total sample and by 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perfectionism.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erfectionism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for counseling practice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초등학생의 성별, 문화성향과 친구간 갈등해결전략 (Gender, Cultural Disposition and Pee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은진;이희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181-191
    • /
    • 2013
  •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cultural disposition and pee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dispositions and pee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dispositions that children have?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at children use? Third,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dispositions and pee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64(283 male and 281 female) 5th and 6th graders. Research instruments used to collect data were INDCOL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s,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Cross-tabs and Two-way ANOVA. As a whole, children strongly showed collectivistic pattern and there were no sex differences in terms of cultural dispositions. The distributions of styles were in the order of HC>VI>VC>HI. The distribution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generally were in the order of integrating and compromising>Avoiding>Dominating>Obliging for total sample and there were significant sex differences in the styles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ultural disposition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tegrating/compromising and dominating styl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cultural dispositions but there were no interactive effect of sex and cultural dispositions i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on theor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made.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충동심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uicide Prevention Program to the Impulsive Psycholog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 강수진;강호정;조원철;이태식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65-7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자살 문제를 조기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학생에 적용하고 프로그램 전과 후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학생들의 감정 상태와 자살에 대한 충동 등, 심리상태 변화를 확인하였고,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청소년기는 인지적으로 미성숙하며 정서적으로 충동적인 시기이므로 발달 과정상 매우 불안한 시기이다. 사소한 자극이나 갈등상황에 대해 자살이라는 극단적 현실 도피, 충동적 문제해결 등의 방법으로 자살을 선택할 만큼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시기이다. 최근 핵가족화와 부모들의 자식에 대한 기대감과 교육문제, 사회 환경적요인, 개인 심리적 요인 등의 많은 스트레스는 학생들을 자살이라는 극단적 행동까지 이르게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초등학생 때부터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영역과 자살생각과 충동의 정도를 파악하고, 명상교육, 호흡법 등의 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분노조절, 감정정화, 자기극복 체험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정체성 확립과 자기조절 능력, 자존감과 생명의 소중함을 깨닫게 함으로 자살예방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고양시 관내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51명을 한 달 동안 매일 아침 30분씩 뇌과학 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체험 및 활동 중심으로 진행 하였고, 수업활동지 및 생활 실천교육으로 내면화하여 학습효과를 높이도록 하였다. 자료 수집은 4주간 20회 차 아침수업 실시 전과 후에 자살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도록 개발한 Suicide Probability Scale(이하 SPS-A), 자살위험성 예측척도를 활용하여, 긍정적 전망, 가족 내 친밀감, 충동성, 대인 적대감, 절망감 징후, 절망감 증후군, 자살사고 등 7가지 영역으로 조사 실시 하였다. 분석 방법 및 검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한 Wilcoxon's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였다. 짧은 기간 동안의 프로그램 진행이었지만 평균 비교 분석 시 7가지 영역에서 효과적이고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t-test 결과에서는 또 다른 결과가 나왔다. SPS-A 31개 문항 중 3개 문항(7번, 14번, 19번)에서만 변화가 있고, 나머지 문항에서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반 학생들에 비해 A반 학생들이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A반 학생들의 경우 7가지 영역 중 자살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절망감증후군과 자살사고 영역에서 프로그램 진행 후 심리적 변화가 있는 것으로 검증 됐다. 학생의 성향에 따라 또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전문가(담임교사, 진행강사)에 따라 다른 결과가 도출된다는 것도 본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자살예방 프로그램은 지속적인 프로그램으로 제도화, 활성화 하여 정서적인 스트레스 해소 및 긍정적인 자아정체성 회복, 뇌파 안정을 통한 감정 및 충동 조절을 함으로 학습효과와 자살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며, 짧은 시간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사장되지 않고, 아동기 부터 청소년기까지 연계하여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주변 환경을 조성함으로 사회적 문제인 자살 예방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