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the Suicide Prevention Program to the Impulsive Psycholog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충동심리에 미치는 영향

  • 강수진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방재안전관리전공) ;
  • 강호정 (연세대학교) ;
  • 조원철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이태식 (연세대학교 방재안전관리연구센터)
  • Received : 2013.05.10
  • Accepted : 2013.06.03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early suicide preven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ompared the prior & post effect of the program, and verified the status of psychology change like emotional status, or temptation to take a suicide, and presented the possibility as a suicide prevention program. The period of adolescence is the very unstable period in the process of growth being cognitively immature, emotionally impulsive period. It is the period emotionally unstable and unpredictable possible to select the method of suicide as an extreme method to escape the reality, or impulsive problem solving against small conflict or dispute situation. Many stress of the student such as recent nuclear family, expectation of parents to their children, education problem, socio-environmental elements,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 lead students to the extreme activity of suicide in recent days. In this study, the scope of stress experienced in the elementary school as well as idea and degree of temptation regarding suicide by the suicide prevention program were identified, and through prevention program such as meditation training, breath training and through experience of anger control, emotion-expression, self overcome and establish positive self-identity and make understanding Self-control, Self-esteem & preciousness of life based on which the effect to suicide prevention was analyzed. The study was made targeting 51 students of 2 classes of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of Goyang-si and processed 30 minutes every morning focused on through experience & activity of the principle & method of brain science. The data was collected for 20 times before starting morning class by using Suicide Probability Scale(herein SPS-A) designed to predict effectively suicide Probability, suicide risk prediction scale, surveyed by 7 areas such as Positive outlook, Within the family closeness, Impulsivity, Interpersonal hostility, Hopelessness, Hopelessness syndrome, suicide accident. Analytical methods and validation was used the Wilcoxon's signed rank test using SPSS Program. Though the process of program in short period, but there was a effective and positive results in the 7 areas in the average comparison. But in the t-test result, there was a different outcome. It indicated changes in the 3 questionnaires (No.7, No.14, No.19) out of 31 SPS-A questionnaires, and there was a no change to the rest item. It also indicated more changes of the students in the class A than class B. And in case of the class A students, psychological changes were verified in the areas of Hopelessness syndrome, suicide accident among 7 areas after the program was processed. Through this study, it could be verified that different results could be derived depending on the Student tendency, program professional(teacher in charge, processing lecturer). The suicide prevention program presented in this article can be a help in learning and suicide prevention with consistent systematization, activation through emotion and impulse control based on emotional stress relief and positive self-identity recovery, stabilization of brain waves, and let the short period program not to be died out but to be continued connect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capable to make surrounding environment for spiritual, physical healthy growth for which this could be an effective program for suicide prevention of the social problem.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자살 문제를 조기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학생에 적용하고 프로그램 전과 후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학생들의 감정 상태와 자살에 대한 충동 등, 심리상태 변화를 확인하였고,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청소년기는 인지적으로 미성숙하며 정서적으로 충동적인 시기이므로 발달 과정상 매우 불안한 시기이다. 사소한 자극이나 갈등상황에 대해 자살이라는 극단적 현실 도피, 충동적 문제해결 등의 방법으로 자살을 선택할 만큼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시기이다. 최근 핵가족화와 부모들의 자식에 대한 기대감과 교육문제, 사회 환경적요인, 개인 심리적 요인 등의 많은 스트레스는 학생들을 자살이라는 극단적 행동까지 이르게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초등학생 때부터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영역과 자살생각과 충동의 정도를 파악하고, 명상교육, 호흡법 등의 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분노조절, 감정정화, 자기극복 체험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정체성 확립과 자기조절 능력, 자존감과 생명의 소중함을 깨닫게 함으로 자살예방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고양시 관내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51명을 한 달 동안 매일 아침 30분씩 뇌과학 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체험 및 활동 중심으로 진행 하였고, 수업활동지 및 생활 실천교육으로 내면화하여 학습효과를 높이도록 하였다. 자료 수집은 4주간 20회 차 아침수업 실시 전과 후에 자살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도록 개발한 Suicide Probability Scale(이하 SPS-A), 자살위험성 예측척도를 활용하여, 긍정적 전망, 가족 내 친밀감, 충동성, 대인 적대감, 절망감 징후, 절망감 증후군, 자살사고 등 7가지 영역으로 조사 실시 하였다. 분석 방법 및 검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한 Wilcoxon's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였다. 짧은 기간 동안의 프로그램 진행이었지만 평균 비교 분석 시 7가지 영역에서 효과적이고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t-test 결과에서는 또 다른 결과가 나왔다. SPS-A 31개 문항 중 3개 문항(7번, 14번, 19번)에서만 변화가 있고, 나머지 문항에서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반 학생들에 비해 A반 학생들이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A반 학생들의 경우 7가지 영역 중 자살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절망감증후군과 자살사고 영역에서 프로그램 진행 후 심리적 변화가 있는 것으로 검증 됐다. 학생의 성향에 따라 또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전문가(담임교사, 진행강사)에 따라 다른 결과가 도출된다는 것도 본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자살예방 프로그램은 지속적인 프로그램으로 제도화, 활성화 하여 정서적인 스트레스 해소 및 긍정적인 자아정체성 회복, 뇌파 안정을 통한 감정 및 충동 조절을 함으로 학습효과와 자살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며, 짧은 시간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사장되지 않고, 아동기 부터 청소년기까지 연계하여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주변 환경을 조성함으로 사회적 문제인 자살 예방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