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 전문직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21초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및 팀워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Teamwork on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 이정화;정희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149-155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근무 간호사 114명이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만족의 주요 영향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 및 팀워크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에 대한 두 변수의 설명력은 66.0%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직 자아개념과 간호 조직의 팀워크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및 간호전문직관과의 융복합적 관계 (A Study of Convergence Relationships among Nurses' Imag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 이은선;박명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311-320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사 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및 간호전문직관의 관계를 확인하고, 간호전문직관 정립을 위한 효율적인 간호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 일개 대학에 재학중인 292명의 간호 대학생이었으며, 2015년 11월 1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 이미지(r=.821, p<.001), 전문직 자아개념(r=.701,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간호사 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및 학년을 포함한 변수가 간호전문직관을 총 57.2% 설명하였다. 따라서, 긍정적인 전문직관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시,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겠다.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Professional Self-concept, Academic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 양경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445-453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문적 자아개념,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전공만족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도의 4년제 간호대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10월 19일부터 2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학업적 자기효능감(r=.598, p<.001) 및 전공만족도(r=.598,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전공만족도(r=.470,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beta}=.479$, p<.001)으로 36.0%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전공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므로 간호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내용을 잘 구성하는 교과목과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초보간호사의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go Resilience, Self Efficac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 in Early stage nurses)

  • 문덕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46-653
    • /
    • 2016
  • 본 연구는 초보간호사의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초보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대상자 자료 수집은2015년 6월 1일부터 7월 7일까지 일 광역시 소재 3개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경력 3년 이하의 초보간호사 14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 하도록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관계를 구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자아탄력성은 3.13점(${\pm}0.46$), 자기효능감은 3.64점(${\pm}0.64$),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은 2.95점(${\pm}0.50$)이었다. 초보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이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유무가 자아탄력성에, 임상경력이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그 외 항목은 유의하지 않았다. 자아탄력성과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은 정적인 상관관계 있었으며(r=.305, p<.001), 자기효능감과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r=.279, p=.001)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초보간호사의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병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하여 간호사의 직업 만족감을 높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도덕적 민감성이 노인간호실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Moral Sensitivity on Elderly Care Performance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 도영주;강영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28-136
    • /
    • 2019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도덕적 민감성, 노인간호실천의 정도를 파악하고, 전문직 자아개념과 도덕적 민감성이 노인간호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도에 소재한 6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경력 3개월 이상인 간호사 153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9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mean, t-test, ANOVA, Pearson's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4점 만점에 $2.87{\pm}0.35$점, 도덕적 민감성은 7점 만점에 $4.70{\pm}0.47$점, 노인간호실천은 4점 만점에 $3.51{\pm}0.41$점이었다. 노인간호실천은 전문직 자아개념(r=.48, p<.001), 도덕적 민감성(r=.31, p<.001)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노인간호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beta}=.32$, p=.001), 도덕적 민감성(${\beta}=.18$, p=.021), 노인간호교육 이수경험(${\beta}=.17$, p=.029)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수들은 노인간호실천을 31.6% 설명하였다(F=8.32, p<.001).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노인간호실천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직 자아개념과 도덕적 민감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더불어 요양병원 간호사에게 노인간호에 대한 보수교육을 의무화하는 제도가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과 전문직자아개념 (Self-Efficacy, Career Identit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Students)

  • 채명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147-156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전문직자아개념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간호대학생 3, 4학년 175명에게 설문조사 방법으로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고, 분석방법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자아개념은 성별, 건강상태, 대인관계, 대학생활 만족도, 전공에 대한 만족도, 학업성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문직자아개념에 대한 영향요인은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전공에 대한 만족도로 나타났고, 56.4%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신입생 때부터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단계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간호대학생의 전문직자아개념을 강화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간호전문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llege Life Adaptation Program on Nursing Students College Life Adaptation and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 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948-8956
    • /
    • 2015
  • 이 연구는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간호전문직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학생활적응프로그램은 전공별 이론 실습과 교양 인성함양 2개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대학입학 전 예비 신입생에게 2주 동안 주 5회 10회기동안 70시간 운영되었다. 자료분석은 paired t-test, ANOVA로 하였다. 연구결과로, 대학생활적응(t=11.42, p=<.000)과 간호전문직태도(t=12.45, p=<.000)는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과 간호전문직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학생이 지각한 전문직 사회화가 역할갈등 및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Professional Socialization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on Role Conflict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 하나선;박효미
    • 임상간호연구
    • /
    • 제15권2호
    • /
    • pp.47-56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s of professional socialization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on role conflict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Method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683 nursing student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SAS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f total professional socialization was 3.74 followed by the scores of 'independence', 3.98, 'commitment', 3.80, 'decision making', 3.60, and 'maturity', 3.53. The mean score of total role conflict was 3.72,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2.75. Total professional socialization, commitment, and independence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were positively related to role conflict. Also total professional socialization and total subcategories of professional socializa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professional self-concept. As a result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key determinants of role conflict were found to be 'independence', 'motivation with admission', 'sex', 'desire with working', 'grade' and 'decision making'. The key determinant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were 'decision making', 'commitment', 'satisfaction about nurs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nclusion: Through this resul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professional socialization in order to increase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nursing students.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수행능력, 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Stress, Performance Ability, Satisfaction, and Critical Thinking on Nursing Professional Self Concept)

  • 주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213-224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습 만족도, 임상 수행능력,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 22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습 만족도, 임상 수행능력,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직접 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수행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비판적 사고성향에 수행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직접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임상실습 만족도에 임상 수행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직접효과도 유의하였다. 이에 따라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의 영향 요인을 고려하여 근거중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결론에 도달하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 다양한 교수법 적용과 교육환경 등 다각적인 변화와 임상 수행능력과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임상실습 스트레스 줄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인식, 문화적 역량 및 전문직 자아개념의 경로분석 (The Path Analysis of Multicultural perception, Cultural competence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students)

  • 임정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393-402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인식, 문화적 역량과 전문직 자아개념 간의 인관관계와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대상은 일 대학 간호학과 학생 245명이었다.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PASW 18.0,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적합하였다($x^2/df=1.170$, GFI=.992, AGFI=.970, RMSEA=.027, CFI=.995, NFI=.967). 전문직 자아개념에 문화적 역량은 직접효과, 다문화 인식과 전공만족도, 대인관계는 간접효과를 나타내었고, 문화적 역량에 다문화 인식과 전공만족도는 직접효과, 대인관계는 간접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다문화인식에 전공만족도와 대인관계는 직접효과가 있었다. 즉,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면 다문화인식이 높아지고, 문화적 역량이 높아지며, 전문직 자아개념도 향상되므로, 전문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해서는 다문화인식, 문화적 역량을 높이는 교육프로그램이 선행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