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실무

검색결과 452건 처리시간 0.029초

실무교육 실태조사 -서울시내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A Survey on the In-Service Education Program of General Hospital in Seoul)

  • 대한간호협회 서울시지부 학술위원회
    • 대한간호
    • /
    • 제20권5호통권113호
    • /
    • pp.60-69
    • /
    • 1981
  •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offer basic information to help put into practice an organized and systematized program of continuing education for nurses of in-service education in each hospital,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of the Seoul distr

  • PDF

일 종합병원 신규간호사의 실무적응 경험 유형 (A Study on Type of Clinical Experience of Adaptation of New Nursing Staffs in a General Hospital)

  • 김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443-45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신규간호사의 실무적응에 대한 주관성을 유형을 파악하고자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종합병원 신규간호사 40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고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진술문은 자신의 의견에 따라 +4점(가장 긍정하는 진술문)에서부터 0(중립) -4(가장 부정하는 진술문)을 선택하여 9점 척도상에 강제 분포하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은 PC QUANL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 eigenvalue 1.0이상을 가진 값을 가지고 5가지 유형이 나타났으며 변량은 62.38%이었다. : (1) 새로운 업무 부담형, (2) 흥미, 책임감형, (3) 상황개선형, (4) 지식, 기술 부족형, 그리고 (5) 과도한 업무 부담형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 차이점으로 보았을 때 종합병원 신규간호사의 실무적응유형을 볼 수 있었으며, 이 연구 결과 효과적인 교육과 개별화된 임상실무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교대근무 남자간호사의 실무 적응 경험 (Adaptation Experience of Male Nurses on Shift work)

  • 오화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1호
    • /
    • pp.185-19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근무 남자간호사의 실무 적응 경험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해석하는 데 있으며,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09월부터 2022년 11월까지였으며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전문병원,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남자간호사 9명을 대상으로 내용의 포화가 될 때까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따라 적용하였고 연구 결과 4개의 범주와 11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4개의 범주는 '교대근무로 인한 변화', '성별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 '업무수행을 위한 적응', '미래를 위한 성장과 방향성'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대근무 남자간호사의 실무 적응 경험에 대한 의미를 탐색할 수 있었으며, 간호업무 수행을 위한 근무환경 개선 방안과 남자간호사의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 대학병원 간호사의 실무능력과 실무교육 요구도 (A Study on Clinical Competence and Education Needs of Hospital Nurses)

  • 한수정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2-310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clinical competence and education needs of hospital nurses. Method: A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which was done form July 1 to July 30, 2005. The respondents were 165 staff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The study instrument were clinical education need scale and Lee(2002)'s clinical competence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rcentages, means, t-test, ANOVA with SPSS-WIN 10.0 program.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otal mean score for clinical competence was 2.57 and education need was 3.30 on a 4 point sca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individual factors of age, marital status, preceptorship experience, present ward, job satisfaction, and total clinical experience.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needs according to preceptorship experience and present ward. Conclusions: Conducting a education needs and clinical competence assessment can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hat will plan education program and improve staff competence.

  • PDF

국내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특이적 효능감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he Studies on Specific Efficacy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in Korea)

  • 김민아;최소은;문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259-27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발표된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특이적 효능감 관련 간호연구를 분석하여 최근까지 이루어진 연구동향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고, 앞으로 나아갈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간호사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1985년부터 2018년 사이에 '간호' AND '효능감' 등을 주제어로 검색된 432편 중 특이적 자기효능감(specific self-efficacy)관련 국내 간호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하였다. 효능감은 간호학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속성으로 여겨져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특이적 효능감 관련 간호연구는 2014년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간호 실무에서 특이적 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간호대학에서 교과 및 비교과과정을 운영하고,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실무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PC와 스마트 폰 기반 임상간호분류체계 교육 코스웨어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 Courseware for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PC and Smartphone)

  • 홍해숙;이인근;조훈;김화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9-56
    • /
    • 2011
  •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컴퓨터 또는 스마트 폰을 활용하여 간호사나 간호학생들의 평생교육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분류체계를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간호학생의 임상실무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북 가이드라인과 개발된 PC 기반 가이드라인의 검색 시간을 비교한 결과 3.5배 이상 빠른 결과를 획득하였다. 오류율도 4배 이상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 실무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중재 및 평가 가이드라인에 접근하므로 환자에게 정확한 중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웹기반 체온 관리 근거중심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이 위절제술 환자의 체온, 전율, 체온 불편감, 체온 관리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Use of Web-Based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Patients following Gastrectomy: Effects on Body Temperature, Shivering, Perceived Thermal Comfort, and Satisfaction with Temperature Management)

  • 홍성정;이은주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2-122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body temperature, shivering, and perceived thermal comfort of web-based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 for patients undergoing gastrectomy. Methods: Eighty patients scheduled for gastrectomy were recruited and assigned to the control or experimental group by sequential order. Before collecting data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on evidence-based guidelines was provided to the nurses as well anesthesiologist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repeated measured ANOVA.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body temperature from the induction of anesthesia until four hours after surger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levels of thermal comfort as well as satisfaction with thermal managem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 group. Conclusion: Use of evidence-based guidelines was effective in maintaining body temperature, lowering sensitivity to shivering, and promoting perceived thermal comfort. Therefore, adoption of evidence-based interventions in nursing practice is recommended.

지역사회 방문간호사의 가정방문 안전관리를 위한 실무교육 요구 분석 (Needs assessment of a home-visit safety management training program for visiting nurses)

  • 김은주;김효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8-147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ncrete educational needs of visiting nurses working in a community health setting in Korea. Methods: We conducted four focus group interviews from October 7 to October 18, 2021. Twenty-five visiting nurses who worked in public health centers were recrui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interview data. Results: The demands of educational contents for visiting nurse safety management practical training were: (1) coping with physical and verbal violence, (2) coping with sexual violence, (3) infection control for infectious diseases with a high prevalence in the community, and (4) preventing and coping with animal bites during home visits. In addition, visiting nurses suggested training programs that comprised: (1) case-based learning, (2) short video clips, and (3) recurrent integrated education. Conclusion: Safety management training programs for visiting nurses should be implemented to the extent that they add no burden on their workload and are easily accessible at any time. In addition, training programs should be based on actual cases and be focused on contents that can be applied in home visit situations. A practical safety management train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educational needs of visiting nurses, a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