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문제

검색결과 923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 관련 요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Related Factors of Problem Behaviors among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 채명옥;김아린;전해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614-626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 관련요인을 분석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체계적 문헌고찰은 국내 데이터베이스인 한국연구정보서비스, 한국학술정보서비스와 국회전자도서관의 온라인 검색을 통해 2018년 7월 4일까지 검색된 국내문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검색어는 다문화와 문제행동 혹은 행동문제로 하였다. 그 결과, 총 2,084편이 검색되었고, 최종 21편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 관련 요인으로 개인적 요인(성별, 학업성적, 자아존중감 등), 가족적 요인(가족의 유형, 부모지지,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 등), 환경적 요인(친구지지, 교사지지, 사회적지지)의 변수들이 관련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한국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을 측정한 변수는 학교생활적응이 10편으로 가장 많았고, 심리적, 사회적 적응 또는 부적응이 4편, 문제행동 또는 위험행동과 정서적 행동문제가 각각 3편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개인적, 가족적, 환경적 요인에 대한 중재를 통해, 문제행동 발생을 줄일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사회적,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문제행동에 대해 보다 구체적이고 일관성 있는 이론적 정의를 근거로 도구를 개발하여, 문제행동을 정확히 측정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교육적, 사회적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보건의료정보 자료 세트의 비교 및 간호정보 표준화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Minimum Data Sets and Standardized Nursing Classifications)

  • 염영희;이지순;김희경;장혜경;오원옥;차보경;박창승;천숙희;이정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2-85
    • /
    • 1999
  • The paper presents a review of three data sets(Uniform Hospital Discharge Data Set, Nursing Minimum Data Set, and Nursing Management Minimum Data Set) and six major nursing classifications(the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es Association Taxonomy I, Omaha System,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ursing Intervention Lexicon and Taxonomy, Nursing Outcome Classification,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Patient Outcome). The reviewed data sets and nursing classification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urpose, structure, and user.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and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were linked to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but others not. The data set and nursing classifications need to be linked to other data sets and classifications.

  • PDF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과의 융복합적 관련성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최숙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257-266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간호대학생 311명을 대상으로 2017년 11월 20일부터 12월 5일까지 자료수집 하였으며, 분석은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특성 중 대학생활만족도에서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과의 차이가 있었다. 생활스트레스는 학업문제가 가장 높았으며, 우울수준은 16.52이었다. 상관분석결과, 생활스트레스의 모든 영역에서 우울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친구관계와 가치관 문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설명력은 36.2%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생활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과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로 작용될 수 있는 다양한 예측요인 규명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일 대학 간호학과 학생의 수면의 질과 우울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in Nursing Students)

  • 강지숙;황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810-81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과 학생의 수면의 질과 우울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1개 종합대학 간호학과 재학생 268명을 임의표집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cy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수면의 질 평균 점수는 6.65점이었고, 대상자의 86.6%가 수면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대상자의 우울 평균 점수는 16.89점이었고, 대상자의 25.4%는 경한 우울, 20.5%는 중증 우울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 차이는 없었고, 우울은 학년, 학과 만족도와 학교 만족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면의 질과 우울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두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상당수의 간호학과 학생들이 수면의 질과 우울의 문제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간호학과 학생의 신체적 및 심리적 건강 향상을 위한 중재 방안에 이러한 요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Effectiveness of an Emergent Care Management Simulation Education among Senior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Learning Styles)

  • 허혜경;신윤희;박소미;임영미;김기연;김기경;송희영;최향옥;최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14-327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된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4년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58명의 학생이었으며, 연구는 2013년 6월 24일부터 7월 12일까지 실시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학습유형과 교육효과(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협력, 실습만족도, 자신감)를 조사하였으며, 서술통계, t-test, ANOVA, Mann-Whitney U 검정, Kruskal-Wallis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학습유형은 수렴자 46.6%, 융합자 34.5%, 적응자 15.5%, 분산자 3.4%이었다.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은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협력, 자신감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학습유형에 따른 교육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기초로 학습유형과 시뮬레이션 교육효과 간의 관계에 대한 재고찰을 통해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문제해결식 간호상담과 강화된 걷기운동이 제2형 당뇨병 대상자의 자가간호, 대처기전 및 당대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oblem Solving Nursing Counseling and Intensified Walking Exercise on Diabetic Self-care, Coping Strategies, and Glycemic Control among Clients with DM Type II)

  • 이해정;박경연;박형숙;김인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1314-1324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oblem solving nursing counseling and intensified walking exercise on diabetic self-care, coping strategies, and glycemic control among older adults with DM type II. Method: Ninety nine DM patients who were older than 50 were recruited from DM clinics or public health centers and conveniently assigned into three groups: the Polar(n=41), counseling(n=30) and control groups (n=28). Participants in both Polar and counseling groups attended weekly problem solving nursing counseling for 12 weeks. Polar heart rate monitors were used in the Polar group to intensify walking exercise.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2003 to August 2004 and analyzed by ANOVA or ANCOVA using the SPSS WIN program. Result: After a 12 week intervention, participants in both the Polar and counseling groups reported increased diabetic self care behaviors and decreased blood glucose levels,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distinctively different program effects between the Polar and counseling group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we concluded that problem solving counseling alone c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diabetic self care and glycemic controls for older adults with DM.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long-term effects of the program.

간호학생이 인지하는 성(Sexuality)건강 간호 장애 요인 : 성 태도와 신념에 관한 연구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Barriers on Sexuality : Sexuality Attitudes and Beliefs Survey)

  • 장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355-363
    • /
    • 2014
  • 성 건강은 인간 삶의 핵심적인 영역으로 최근 간호 실무에서 성 건강 사정과 상담은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이 되었다. 본 연구는 성 건강 간호 수행과 연관되어 간호학생이 느끼는 성 건강 간호의 중요성과 어려움, 성 건강 간호에 대한 자신감의 정도를 나타내는 간호학생의 성 태도와 신념을 조사하고 연령, 성별, 교육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성 태도와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4년제 간호학과 3학년 이상 학생으로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21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성 태도와 신념은 평균 44.9점으로 성 건강 관련 간호 수행에 상당히 어려움을 있으며, 성 건강 간호에 필요한 시간을 만들지 않으며(86.9%), 환자의 성 문제를 다루는 자신의 능력을 확신하지 못한다고 인지하는 것(76.2%)이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간호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p=0.03)과 종교(p=0.02)에 따라 성 태도와 신념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학생들에게 성 건강 간호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성 건강 간호 관련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간호학의 기본 지식 구조 (Fundamental Structure of Knowledge in Nursing)

  • Lee, Kwang-Ja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27-144
    • /
    • 1983
  • 오늘날은 과학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기존지식의 수명이 점차 짧아져 가고있는 것이 특징이다. 지식의 증가는 단순히 지식의 양을 증가시키는 역할뿐 아니라 많은 기존지식을 불충분하고 쓸모 없는 것으로 바꿔버리게 한다. 그러므로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어떤 특정지식의 축척보다는 그 학문에 내재해 있는 기본적인 지식의 구조를 학습하게 하여 여러 가지 개념을 관련시키는 논리적 방법을 학습하게 하고 합리적인 탐구방법을 구사할 수 있도록 하여 변화하는 미지의 세계에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간호학의 기본 지식구조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하게 된 동기는 간호업무의 근거로 활용도리 지식체계는 교육과정의 조직원리로 작용될 유형이나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이런 유형이나 구조를 중심으로 간호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간호교육에 필수적이라는 문제에서 비롯되었다. 연구방법은 1982년 9월부터 1983년 5월에 걸쳐 간호학 문헌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간호학의 개념적 지식구조와 구문적 지식구조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간호학의 개념적 구조: 모든 학문에는 탐구의 대상인 특수현상을 설명하고 서술하는데 활용되는 일련의 실질적, 개념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학문의 중요한 부분 또는 중심을 포함하고 있는 개념들이 그 분야 또는 학문의 개략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연구결과 간호학에서 가장 높은 순위의 대표적 특질을 지닌 개념은 인간, 건강, 환자/대상자, 간호, 행동으로 분석되었다. 2. 간호학의 구문적 지식구조 : 지식구조의 두 번째 요소인 학문의 구문(syntax)은 간호학에서의 특징적인 탐구방법과 관련되나 개념적 구조와 마찬가지로 탐구방법은 학문에 따라 다르며 그 분야의 주요양상을 나타낸다. 연구결과 간호학에서의 특징적인 탐구방법은 공동적으로 간호과정(nursing process)임이 나타났으며 그 요인으로는 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의 다섯 단계로 분석되었다.

  • PDF

간호학 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에서 튜터의 내용전문성과 튜터경험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Tutors' Content Expertise and Experience on Student Satisfaction in Problem-Based Learning Nursing Curriculum)

  • 김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551-55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튜터의 내용전문성과 튜터경험에 따른 학습자의 만족도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인 간호학과는 전체 학년을 대상으로 간호학 전공교과목을 통합한 hybrid PBL curriculum을 운영하고 있다. 튜터의 내용전문성은 최종 학위논문과 근무했던 임상분야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PBL 튜터경험은 초보자는 1년 이하, 경력자는 10년 이상인 경우이다. 3학년을 대상으로 6주 동안 PBL 수업 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튜터의 내용전문성에 따라 학습자 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튜터경험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와 튜터의 내용전문성과 튜터경험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PBL에서 내용전문가로서의 튜터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환기시켰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다양한 학과와 전공분야를 가진 더 많은 튜터를 대상으로 한 추후연구가 반복되어야 하며 학습자 만족도 외의 다양한 변인과의 차이를 측정해봐야 할 것이다.

일 대학 간호학생의 학습유형별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 (Effects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Training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Styles)

  • 김순옥;박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1046-105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대학 간호과 3학년 학생 145명을 대상으로 학습유형별 시뮬레이션 교육 전 후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 임상수행능력 차이를 파악하여 학습유형별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교육 후 학습유형별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간호학생의 학습유형은 적응자가 가장 많았으며, 시뮬레이션 교육 후 문제해결능력(F=5.015, p=.02)과 임상수행능력(F=3.288, p=.02)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문제해결능력은 융합자와 분사자가 적응자보다, 임상수행능력은 융합자가 적응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학습유형별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유형별로 시뮬레이션교육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