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기능 검사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4초

소아에서 담췌관 질환에 대한 자기공명 담췌관조영술의 진단적 유용성 (The Usefulness of MRCP in the Evaluation of Pancreaticobiliary Diseases in Children)

  • 엄지현;이승연;정기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1호
    • /
    • pp.1381-1388
    • /
    • 2002
  • 목 적: MRCP는 간담도췌장 질환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매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간담도췌장 질환이 의심되는 소아에서 MRCP의 진단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1996년 10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간담도췌장 질환으로 입원하여 복부 초음파 및 MRCP를 시행한 환아 7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아의 최종 진단은 수술, 조직검사 소견, 임상 소견, 기타 검사 등을 토대로 하였다. 결 과 : 1) 대상 환아는 총 70례로 남녀비는 1 : 1.2였으며 평균 연령은 $2.6{\pm}3.3$세였다. 2) 간기능 검사상 혈청 AST, ALT 치는 각각 $192.7{\pm}139.6IU/L$, $182.7{\pm}143.8IU/L$이었고, 총 빌리루빈치, 직접 빌리루빈치는 각각 $6.9{\pm}3.7mg/dll$, $4.8{\pm}2.4mg/dll$이었다. 3) 간담도 췌장질환의 원인은 담도폐쇄증 25례(35.7%), 신생아 간염 18례(25.7%), 담관낭종 16례(23%)로 이 중 APBDU를 동반한 경우가 7례(10.0%), APBDU를 동반하지 않은 경우가 6례(12.9%)였으며, 전염성 단핵구증, 전격성 간염, 콕시엘라증(coxiellosis) 등으로 인한 담즙 정체성 간염이 5례(7.1%), 경화성 담도염이 2례(2.8%), 이차성 담도 경화증은 1례(1.4%), 만성 재발성 췌장염 환아가 3례(4.3%)였다. 4) 수술 소견과 병리 조직학적 소견을 기준으로 할 때 간담도췌장질환에 대한 복부 초음파의 진단의 정확도 75.7%에 비해 MRCP는 97.1%로 높았다. MRCP의 예민도와 특이도는 담도폐쇄증의 경우 각각 100%, 98%였고, APBDU가 동반된 담관낭종의 경우 87.5%, 100%였으며, APBDU가 동반되지 않은 담관낭종, 경화성 담도염, 만성 반복성췌장염은 양자 모두 100%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MRCP는 간담도췌장 질환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편리하고 안전하며 비침습적인 방법으로서 그 진단율 또한 다른 검사에 비해 뛰어나 소아에서 간담도췌장질환이 의심될 때 우선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검사임을 알 수 있었다.

당뇨 쥐에서 상엽추출물을 첨가한 보리면의 혈당조절효과 (Effects of Barley Noodles Contained Mulberry Leave Extracts on Blood Glucose Regulation in Diabetic Mice)

  • 박충무;윤현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01-108
    • /
    • 2018
  • 본 연구는 상엽추출물이 포함된 보리면의 혈당조절능력을 입증하기 위하여 4주간 고지방/고탄수화물 식이 후 streptozotocin과 nicotinamide로 당뇨를 유발하고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보리면대조군, 상엽대조군, 보리면+상엽추출물 2.5%군, 보리면+상엽추출물 5%군의 6군으로 나누었다. 그 후 2주간 식이를 진행하며 체중, 혈당, 간 기능 및 혈액 내 지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보리면과 상엽 단독 섭취군보다 혼합섭취군에서 체중 감소가 적었고 혈당조절효과도 뛰어났으며 이는 경구 당 부하검사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간기능, 혈중 지질 개선 효과도 혼합 섭취군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보리면과 상엽추출물을 함유한 식이는 복합식이에서 단독식이보다 강한 혈당조절효과와 간 기능 개선, 지질 강하효과도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상엽을 포함하는 보리면은 혈당을 조절하고, 간 기능, 지질 강하 기능을 보여 만성질환 관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두충잎 물추출물이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흰쥐의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ucommia ulmoides Leaf Water Extract on Hepatotoxicity of Carbon Tetrachloride-Induced Rats)

  • 전정례;박정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4-130
    • /
    • 2002
  • 두충잎의 생약 및 식품 자원으로서의 이용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두충잎의 물추출물을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흰쥐의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정상군, 사염화탄소군, 두충잎 물추출액 투여군, 사염화탄소 처리 후 두충잎 물추출액을 투여한 군의 4개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혈청 중의 AST, ALT, LDH 활성은 사염화탄소 투여에 의해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두충잎 물추출물을 함께 투여함으로 정상군과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한편 사염화탄소에 의해 증가된 혈청중의 ALP 활성은 두충잎 투여에 의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지 않았다. 혈청 중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함량과 LDL콜레스테롤의 함량은 사염화탄소군에서만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을 뿐 나머지 각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한편 혈청 중의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은 두충 단독 투여군 및 사염화탄소 투여 후 두충잎 투여군이 정상군 및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들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간조직 중의 총콜레스테롤, 총지질, 중성 지질의 함량은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두충잎 물추출액의 투여로 인해 이들의 함량이 유의성 있는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광학현미경에 의한 간소직 세포의 병리학적인 검사에서는 사염화탄소군에서 간손상시 나타나는 간조직의 지방변화, 풍선양 변성, 호산성 변성, 국소성 괴사, 부위별 괴사가 관찰되었으나 그후 두충잎 투여에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간 손상이 회복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두충잎 열수 추출물은 $CCl_4$에 의해 손상된 간기능을 회복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혈청지질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근로자 건강진단시 간기능 이상자의 정밀검사항목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A Baseline Study on the Choice of Optimal Screening Test Items among Workers with Abnormal Liver Function Tests on Workers' Periodic Health Examination)

  • 정해관;임현술;김규회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7권4호
    • /
    • pp.747-761
    • /
    • 1994
  • Workers' periodic health examination is the main tools used to manage the health problems of most workers in Korea. The most common health problem found in workers' periodic health examination is liver disorder. Liver disorder is also one of the most common health problems in general population and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mortality in adult population. Regulation proposed by government (No. 207, Ministry of Labor, 1992) defines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workers with the liver dysfunction for further evaluative examination and the examination items used for diagnosis of the workers with liver dysfunc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proficiency of each examination items presently defined in Regulation and propose the optimal examination items for detection of the liver disorders found by workers' periodic health examination. Study subjects are 186 workers with abnormal liver function tests in screening examination of workers' periodic health examination. Questionnaire survey including past history of liver disorder, drinking history, height and weight was done. Physical examination by physician, routine test items defined by Regulation (SGOT, SGPT, $\gamma$-GTP, protein, albumin, total and direct bilirubin, alkaline phosphatase, $\alpha$-feto protein, HBsAg and anti-HBs), anti-HCV antibody test and liver ultrasonography were done. Results are as follows; 1. Result of evaluative examination utilizing only the items defined in Regulation was; There were 75 workers with suspected live. disorder(40.3%), 63 with no liver dysfunction (33.9%), 13 with suspected hepatitis B(7.0%), 10 workers with hepatitis B(5.4%), 10 workers with hepatitis B carrier state(5.4%), 10 with alcoholic liver disorders(5.4%), 5 with fatty liver(2.7%). When alternative diagnostic criteria applying additional examination items (drinking history, body mass index, anti-HCV antibody and ultrasonography) diagnosability of liver disorder was increased. When all four items were included, final results were; 23 workers (17.8%) with hepatitis B (10 carriers, 13 suspects and 10 hepatitis B), 10 (5.4%) with hepatitis C(4 carriers, 5 suspects and 1 hepatitis C), 13(7.0%) with alcoholic liver disorder, 45(24.2%) with fatty liver (40 suspects, 5 fatty liver), 410%) with suspected liver disorders and 44 (23.7%) with normal liver. 2. Of examination items defined by Regulation, only SGOT, SGPT, $\gamma$-GTP and HBsA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bnormal rate and mean value, and all other laboratory findings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Drinking history, body mass index and anti-HCV antibody test which are the items that authors included in this study,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Utilization of body mass index (BMI) for abnormal liver function group in diagnosis of fatty liver had high specificity (97.6%) but sensitivity (22.3%) was low. Therefore we suggest that SGOT, SGPT, $\gamma$-GTP, HBsAg, alcohol drinking history, BMI and anti-HCV Ab were useful for diagnosis of liver disorders among worker's periodic health examination.

  • PDF

Balb/c 마우스에서 초과 추출물의 3주간 반복 경구투여 독성평가 (Evaluation of 3-week Repeated Dose Oral Toxicity on Amomum tsao-ko Extract in Balb/c Mice)

  • 박주형;조영락;고혜진;정원식;안은경;오준호;오좌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2호
    • /
    • pp.139-143
    • /
    • 2015
  • 본 연구는 다양한 효능을 지닌 초과(Amomum tsao-ko Crevost et Lemaire)의 안전한 이용을 위한 독성평가로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4-6호 '의약품등의 독성시험기준'에 맞는 독성시험법에 따라 Balb/c mouse를 이용하여 3주간 반복경구투여를 통해 초과의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3주간 반복 경구투여 후 체중, 장기중량 측정, 혈액분석 및 혈액생화학 검사를 실시하여 안전성을 확인 한 결과, 초과에 의한 특별한 증상이나 체중, 장기중량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복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한 혈액을 통한 혈구분석결과에서도 대조군과 초과 추출물 투여군 간의 통계적인 유의성을 관찰 할 수 없었다. 또한 혈청을 이용하여 간기능(GOT, GPT, LDH, ALB, TP-S, T-BIL, D-BIL), 신장기능(BUN, CRE), 지질영양 관련(TG), 전해질 관련(I.P) 지표들의 생화학분석을 수행한 결과, 대조군과 유사하게 모두 정상 범위 내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초과 추출물의 최대무독성용량은 최고 투여량인 2000 mg/kg 이상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결과는 초과의 기능성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소재로서의 활용에 안전성 관련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랫트의 간 손상에 대한 녹차카테킨의 보호 및 치료효과 (Effect of Green Tea Catechin on Acute Hepatotoxicity in Rats)

  • 육동연;이미애;윤여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05-111
    • /
    • 2004
  • 녹차카테킨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사염화탄소와 갈락토사민으로 유발된 간독성에 대한 녹차카테킨의 간기증보호효과가 연구되었다. 녹차 카테킨(50 mg/kg와 100 mg/kg)은 사염화탄소 (0.5 ml/kg)와 갈락토사민(400 mg/kg)이 투여되기 전 그리고 투여후 3일동안 흰쥐에 경구투여되었고, 간기능지표로 AST와 ALT를 측정하였다. 녹차카테킨(50 mg/kg)은 사염화탄소 처리된 랫드에서 상승된 혈중 AST와 ALT 확성을 전투여군(262${\pm}$11, 80${\pm}$19에서 153${\pm}$22, 55${\pm}$25로)과 후투여군(156${\pm}$40, 105${\pm}$3 에서 106${\pm}$22, 55${\pm}$9로) 모두 감소시켰다. 또한 갈락토사민으로 유도한 경우에도 AST와 ALT 수치는 전투여군(576${\pm}$24, 276${\pm}$68 에서 236${\pm}$13, 115${\pm}$13로)과 후투여군(233${\pm}$54, 137${\pm}$11 에서 119${\pm}$23, 44${\pm}$17로)에서 모두 유의성있게 감소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간 조직학적 검사에서도 사염화탄소와 갈락토사민으로 유도된 간경변을 유의성있게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녹차카테킨은 간독성에 의한 병변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신약후보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간 효소(AST, ALT)와 전체원인사망 위험의 관련성: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 자료 활용 (Association Between Liver Enzyme and Risk of All-Cause Mortality: Use of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Data)

  • 이태용;류효선;박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94-103
    • /
    • 2016
  • 간 효소(ALT와 AST)는 주로 간기능을 검사하는데 활용되지만, 간 효소와 심혈관질환 사망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간 효소와 전체사망원인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2005년 8월과 2006년 12월에 한국농촌코호트(5개 지역) 연구에 참여한 40세 이상의 성인 10,110명의 건강검진 및 설문조사 자료와 2012년 12월 통계청의 사망자료를 병합하여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5개 범주로 구분한 간 효소에 의한 사망위험비는 Cox의 비례위험모델을 이용하여 다른 위험요인들을 보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금까지 사망의 중요 위험요인들의 사망위험비는 65세 이상이 3.5배, 남자가 3.8배, 흡연 3.2배, WHR이 높을수록, 운동 안함 1.6배, 지질성분 및 PP2가 높을수록 높았으며, 이런 변수들을 보정한 상태에서 AST가 50 IU/L 이상일 때 사망위험비가 2.198배(95% CI: 1.217-3.971)였고, ALT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런 결과는 높은 값의 AST는 사망 위험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며, ALT도 사망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음양곽의 항산화작용에 의한 간 보호 효과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Epimedii Herba through the Antioxidation)

  • 하배진;김희진;이상헌;하종명;이상현;이재화;이동근;박은경;남천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72-577
    • /
    • 2005
  • 음양곽의 항산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흰쥐(Sprague-Dawley계)를 사용하여 음양곽 추출물을 2주간 복강내로 투여하고 $CCl_4$에 의한 간독성 경감기전을 혈액 및 간 조직에서의 효소 변동과 간 조직을 병리학적으로 관찰하였다. $CCl_4$의 투여로 AST, ALT, MDA가 증가하였으나 음양곽을 전처리하고 $CCl_4$를 후 투여한 경우에는 AST, ALT, MDA가 감소하였다. $CCl_4$의 투여로 SOD, catalase, GPx가 감소하였으나 음양 곽 전처리 한 후 $CCl_4$를 투여 한 경우에는 SOD, catalase, GPx가 증가하였다. 음양곽은 $CCl_4$로 유도된 free radicals를 scavenging함으로써 간독성을 경감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위의 생리활성과 항산화계 변화 지표에서 나타난 음양곽의 간기능 보호효과를 형태학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조직병리학적 검사결과 음양곽이 세포막의 소기관들을 과산화로부터 보호함으로써 효소활성의 최적구조를 유지시켜 간 손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HPV감염질환으로 6개월 이상 한약을 복용한 환자 121명의 간기능검사(AST/ALT)에 대한 후향적 고찰 (Clinical Study of Liver Function Tests (AST/ALT) of 121 HPV Disease Patients taking Herbal Medicine over 6 Months)

  • 이은;이경엽;유병국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47-353
    • /
    • 2018
  • There are some controversies about the safety of herbal medicine. In order to examine the safety of herbal medicin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vel of liver function test(AST/ALT) in patients taking herbal medicine for more than 6 months We checked liver function in 121 patients who took herbal medicine for more than 6 months. AST/ALT were measured before treatment and every 3 months (from 3 month to 9 month). In 121 patients taking herbal medicine for more than 6 months, mean AST level after 6 months was lower than before treatment and mean ALT level after 6 months was lower than before treatment. In 20 patients with abnormal AST/ALT before herbal treatment, 18 patients's AST/ALT changed to normal after 6 month herbal treatment. 2 patients's AST/ALT was slightly higher than normal. One woman patient met the criteria for herb-induced liver injury(HILI) with RUCAM scores 4 after taking herbal medicine for 6 months. Although her RUCAM score decreased to zero after taking herbal medicine for 9 months. This study suggests that long-term herbal medicine for 6 months or longer is very unlikely to injury liver function. Individual-specific liver damage may occur, it can be recovered.

급상승된 혈청 ALT치를 나타낸 만성 B형 간염 환자에 대한 ${\alpha}$-Interferon 2b의 치료 효과 (Effect of ${\alpha}$-Interferon 2b o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with High Serum ALT)

  • 이헌주;송영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237-245
    • /
    • 1998
  •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Interferon (IFN) 치료 후 혈청 HBeAg 소실 및 anti-HBe의 양전율을 높이고 효율적인 치료의 근거를 알기 위하여 치료 전 간기능검사상 갑자기 상승한 혈청 ALT치를 나타낸 환자군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여 IFN을 투여한 군과 IFN 치료없이 정상 HBeAg의 자연 소실을 보인 환자군을 임상적으로 장기간 관찰하고 조사하였다. ALT치가 정상 상한치의 4배 이상 높이 증가되어 3개월 이상 왕복을 보인 40명의 환자(A군)와 ALT치가 정상 상한치의 3배 이하로 증가된 10명(B군)에게 ${\alpha}$-IFN 2b를 매일 300만 단위 피하주사로 3~12개월 주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ALT치가 A군처럼 장승한 45명 (C군)이었으며, IFN 치료없이 평균 2.9년을 관찰하였다. HBeAg/anti-HBe 혈청 양전율은 A군 68%, B군 20%, C군 13%이었으며 IFN 치료 중단 후 1년까지의 HBeAg 재양성율은 A군에서 29%였고 HBeAg이 소실된 A와 B군의 38명중에서 6명에서 HBV DNA가 양성이었다. 6명중 4명은 HBeAg/anti-HBe 양전을 보였으나 HBV DNA 양성이었고 나머지 2명은 HBeAg, anti-HBe 및 HBV DNA (hybridization) 모두 음성이었으나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상 HBV DNA 양성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비록 IFN 치료 후에 HBeAg이 소실되었다가 다시 양성화되더라도 IFN은 단기간내에 혈중 HBeAg이나 DNA가 자연적으로 감소가 될 환자나 그렇지 않은 환자에게도 HBV의 비증식화를 유발하여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IFN 투여 후에도 혈중 HBeAg과 DNA 소실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환자 및 HBV 증식 억제효과가 기대되는 HBV 간질환 환자의 조건, IFN 투여량, 기간 등에 대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로 더 나은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