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창 음악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4초

초등학교 음악과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CAI 설계 및 구현 -초등학교 음악과 5학년 1학기를 중심으로-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CAI for Self Directed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Music Teaching)

  • 강병권;설문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B)
    • /
    • pp.711-713
    • /
    • 2000
  • 본 논문은 멀티미디어의 특성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의 음악과 전 영역을 멀티미디어 CAI로 설계하고 구현함으로써 음악에 대한 기초개념과 악곡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높이고 학습자에 대한 개별학습과 교수-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CAI에 관한 이론을 탐색하고 CAI의 설계원리 및 교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Hannafin와 Peck이 제안한 코스웨어 설계모형을 모델로 하였다. 설계모델에 따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멀티미디어 적용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저작환경에 적합한 스토리보드 형식을 작성하였다. CAI 코스웨어 설계모형에 준거하여 객체지향적이고 상호대화적인 접근을 가능하도록 멀티미디어 디렉터를 도구로 사용하였다. 본 CAI 프로그램은 멀티미디어(Text, Image, Graphic, animation, sound)를 활용하여 주의집중과 동기유발을 높혔고 특히 가창, 기악, 창작, 감상, 이론적 내용, 형성평가의 모든 음악적 영역을 교육과정의 내용에 일치시켜 충실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게 하여 모든 교사의 현장수업에 대한 부담감을 감소시켰다.

  • PDF

보컬 음역대와 음악 조성에 따른 감상자의 정서반응 (Affective responses to singing voice in different vocal registers and modes)

  • ;정현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5-8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 음역대의 목소리로 노래한 음악(고음역대, 저음역대)과 불려진 음악이 조성적으로 다른 경우(장조/단조) 감상자가 경험하는 정서적 반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음악은 첫째 옥타브 차이를 두고 높은 음역대와 낮은 음역대의 가창 영역과 둘째, 조성적 변인을 통제하기 위해 장조와 단조를 사용한 총 네 가지 음원을 사용하였다. 총 188명의 여성 대학생들이 온라인 설문으로 참여하였으며 시각아날로그척도(Visual Analogue Scale)을 사용하여 지각한 정서가와 각성 수준을 기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wo-way analysis of variance(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음역대 간의 유의미한 정서 반응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정서가(valence)보다는 각성 수준(arousal level)에 더 많은 차이를 보여주었다. 둘째, 조성 또한 정서가와 각성 수준에 영향을 미쳤으나 두 정서 변인 중에서는 정서가에 더욱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교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음역대와 조성의 상호작용이 정서가에게는 큰 영향을 미치지만 각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더 나아가 감상자들이 단조 음악의 높은 음역대 조건에서 가장 부정적인 정서가를 보여주였고 단조 음악의 낮은 음역대 조건에서는 가장 낮은 각성 반응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 감상시 그 음악의 음역대와 조성을 고려해서 선곡해야 함을 암시한다.

Articulation과 Syllables를 이용한 보컬즉흥연주 표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Expressive Methods for Vocal Improvistion using Articulation and Syllables)

  • 방현승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694-697
    • /
    • 2011
  • 재즈음악의 즉흥연주(Improvisation)는, 재즈음악의 발생과 함께 발전되어 온 연주 형태의 하나이며, 재즈음악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즉흥연주는 재즈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써 여겨지고 있다. 재즈 음악인들은 종종 '재즈'와 '즉흥연주'를 같은 의미를 가진 동일 어처럼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재즈보컬리스트들은 기악연주자와는 달리, 즉흥연주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인식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 중요성에 차이가 있을 뿐, 보컬즉흥연주 역시 재즈보컬들의 특성을 다른 장르의 보컬들과 구분하는 상징적이고 핵심적인 요소임에는 틀림없다. 컬리스트의 경우, 음악이론 외에, 즉흥연주의 선율을 가창하기 위하여 필요한 또 하나의 요소가 있는데, 이는 즉흥연주의 악구를 표현하는 수단인 스캣음절이다. 본 논문에서는 즉흥연주 선율표현에 많이 사용되는 음표들과 연주기법들을 중심으로 스캣음절사용에 대하여 연구해 보고자 한다.

  • PDF

'강원상강례(講院上講禮)'의 음악적 연구 - 조계종을 중심으로 - (A musical study on Kangwon Sangkangrye - Focusing on the perfoming style of Chogye Order -)

  • 차형석
    • 공연문화연구
    • /
    • 제37호
    • /
    • pp.391-435
    • /
    • 2018
  • 이 글은 아직 음악학계에서 다루어진 바 없는 '강원상강례'를 음악학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석문의범"의 강원상강례와 현행 강원상강례 사이의 유사성과 차별성에 대해 비교 검토하였고, 사료의 지문에서 발견된 소종 연주 방식에 대한 의미를 해석하여 현행 의식과는 어떤 음악적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또한 현장 채록의 음원자료를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강원상강례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석문의범"의 강원상강례와 현행 의식을 비교 검토한 결과, 사료와 근접한 유사성을 보이는 강원상강례는 제2유형이며, 사료의 지문에서 발견된 소종 연주 방식은 운문사와 청암사 상강례에 일부 전승되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강원상강례의 음악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제1유형과 제2유형의 음역은 완전8도를 벗어나지 않았다. 제1유형의 선율구조는 내드름을 들어내고, 종지선율은 do'에서 순차 하행하여 mi에서 la로 종지하였으며, 악조는 대부분 메나리토리였으나 일부 강원에서는 sol에서 la로 상행하는 선율이 종종 발견되어 전형적인 민요의 메나리토리와는 달랐다. 가창방식은 주로 전통예불에서 볼 수 있는 선 후창방식이었고, 대부분 일자일이음형과 일자수음형이며, 음악적 형식은 악곡별로 다양하게 짜여 있다. 다만 해인사 상강례는 의식절차와 가창방식에서 다른 여느 강원과 차이를 보였는데, 가창방식은 다른 사례와 같이 전통적인 선 후창방식이었으나 선창자가 첫 구(句)를 생략하여 부르는 특징이 있었다. 또한 추가된 한글<반야심경>은 내드름을 숙여내고, 독송은 3음 위주의 일자일음형으로 제창했다. 제2유형의 선율구조는 내드름을 들어내고, 종지선율은 제1유형과 다르지 않았다. <심향일주~>의 악조는 전형적인 메나리토리는 아니었으나 정례와 발원은 민요의 메나리토리와 같았다. 가창방식은 독창과 제창으로 이루어졌으며, 게송의 가사붙임새는 일자일이음형이고, 정례와 발원은 일자일이음형+일자수음형이다. 정례의 음악적 형식은 A-B-C와 A-C이고, 발원은 일정한 주기성을 갖추지 않았으나 종지선율을 동일하게 반복함으로서 통일감과 형식감을 느끼게 한다.

가창의 지역적 및 문화적 차이 - 한국 판소리의 가창적 특징 (GEOGRAPHIC AND CULTURAL DIFFERENCES IN SINGING - Singing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ansori)

  • 김기령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14
    • /
    • 1986
  • 태초부터 인간은 말(언어)과 소리 (창) 가운데서 살아왔으며 인간의 윤택한 정서생활의 조화 속에서 각기 서로 다른 나름대로의 가락(소리의 장단과 높낮이)이 이룩되어 왔다. 우리의 얼굴이나 행동이 서로 다르고 나라와 지역마다 말과 생각과 표현이 다르듯이 마음으로부터의 정서를 표현한 음악에 있어서도 서로 다른 개성과 특성을 지녀 온 것이 사실이다. (중략)

  • PDF

신라 향가의 스토리텔링과 음악적 가창성 연구 -모죽지랑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Storytelling and Musical Composition of the Sillian Song -Focusing on the 'mojookjirangga'-)

  • 이창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63-176
    • /
    • 2015
  • 본 연구는 한자로 기록된 신라 향가 중에 모죽지랑가를 기존의 해독들을 바탕으로 그것들을 보다 높은 관점에서 보다 깊이 있게 해독하고 나아가 그 노래를 현대에 어떻게 가창할 수 있는지 그 음악적 가창성을 논의하였다. 말하자면 신라 향가 모죽지랑가에서 '회(廻)'를 '돌-'로 읽지 않고 '감-'으로 읽었을 때 '눈- 감다'라는 연어관계는 '죽음'이라는 의미적 인식을 환기시킴으로써 작품의 주제인 추모의 정을 보다 절실하게 극대화시킴을 논증하고 이 노래가사를 국악의 특징에 따라 노래불러 보았다. 국악노래의 특징은 1) 한 구 정도의 길이가 한 장단을 이루며 2) 첫 박을 강박으로 시작하여 차츰 하행하는 식으로 진행하며 3) 요성이 있고 발음의 변화가 있으며 4) 깊고 멋스런 기품이 있는 것인데, 이런 특징을 오늘날 전하는 시조창은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사실 향가가 신라시대에 대중성을 가진 것이었다면 조선시대의 시조도 그런 대중성을 띤 것이었다. 그러므로 오늘날 전해 오는 시조창법을 고려하고 앞서의 국악의 특징을 따라 모죽지랑가를 노래 불러 보고자 하는 것이다. 오늘날 이 같은 시도는 우리 문화를 더욱 풍성히 만들고 세계화시대에 한류의 물결을 보다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실용음악의 기식성발성으로 인한 목소리 손상 최소화 연습방법 (Vocal Exercises for Reducing Vocal Damages Caused by Breathy Phonation in Pop Singing)

  • 유미란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16
    • /
    • 2017
  • Pop singers frequently use breathy voice to express diverse emotion. Such method is the major factor that divides vocalization in pop and classical music. Using breathy voice too much for a long time could make singer short-winded, which might cause the voice injured.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singers need to find resonance balance between high notes and low notes and among vowels. Moreover, they should take more attention when producing resonance in consonants with much air flow. Along with finding resonance balance, if skilled at controlling the volume of voice, singers can use the breathy voice selectively at the desired part, adjusting close quotient freely. Through this kind of approach, pop singers can develope their unique style of vocalization and avoid the vocal damage.

  • PDF

복식호흡법을 응용한 보컬 호흡법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Vocal Breathing Method Applied by Abdominal Breathing)

  • 조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04-207
    • /
    • 2009
  • 일반적으로 가창을 위한 호흡법으로는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가슴의 횡격막 부분을 사용하는 복식호흡법과 배꼽 밑 부분의 아랫배를 활용한 단전호흡법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윗배를 사용하는 복식 호흡법의 경우 주로 성악 발성에서 사용 하였으며, 아랫배를 활용한 단전호흡법의 경우 창이나 판소리 등의 국악 창법에 많이 사용되었다.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은 대중음악의 경우는 특정한 호흡법이 없고 누구에게 배웠느냐에 따라 호흡하는 방법이 결정되었다. 그러나 매스미디어가 발전함에 따라 대중음악 분야도 발전하게 되었고, 대중가요 가수들을 위한 독창적인 호흡법도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창력을 증진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호흡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전래동요에 기초한 음악놀이활동이 유아의 국악능력과 국악흥미도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sical Play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upon Young Children's Musical Ability and Interest in Korean Music and Their Playfulness)

  • 변순녀;박형신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23-140
    • /
    • 2018
  • 본 연구는 전래동요에 기초한 음악놀이활동이 유아의 국악능력과 국악흥미도,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W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의 만 5세 두 학급의 유아 28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전래동요에 기초한 음악놀이활동을 적용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가창 중심의 전래동요 지도와 누리과정에 기초한 주제 중심의 음악활동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두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전래동요에 기초한 음악놀이활동이 유아의 국악능력과 국악흥미도, 놀이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음악놀이가 전래동요에 내재한 놀이성과 연계되어 국악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건강한 노화를 위한 음악활용 : 국내·외 연구 고찰 (The Use of Music for Healthy Elderly : Literature Review)

  • 이예빛나;김수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335-346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외 노인 대상 음악 활용 연구 내 음악 적용 방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자 데이터베이스 검색 및 수기 검색을 통해 선정 기준에 부합한 국내 연구 19편, 국외 연구 21편의 총 40편이 선정되었다. 분석 결과, 국내외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 활용(중재) 연구 시작 시기가 1990년대 말로 유사하며 게재 논문 수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문헌 모두에서 노인의 정서, 특히 우울에 개입한 음악 활용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음악 적용 방법에 있어 국내에서는 민요와 대중가요를 활용한 가창 활동, 국외에서는 클래식 및 명상음악의 감상이 주요한 활동으로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외 연구 모두 기존 음악의 사용이 두드러졌으며, 국내 연구에서는 라이브 음악의 사용 비중이 국외 연구에 비해 높고 대상자의 선호가 반영된 음악을 선정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 인구 증가와 함께 성공적 노화에 대한 노인 대상군의 높은 요구가 국내외 연구에서 성공적으로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반면, 구체적으로 음악을 적용하는 데 있어 문화적 요인으로 인해 국내외 연구에 서로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문화적, 사회적 요구가 반영된 다차원적인 접근의 활용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