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은영, 김은정, 신은수(2013). 리듬과 멜로디를 게임으로 적용한 음악적 놀이가 유아의 놀이성 및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3), 23-44.
- 교육과학기술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2012).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16호.보건복지부 고시 제 2012-82호.
- 국립국악원(2016). 전래동요: 이렇게 가르쳐 보세요(개정판). 서울: 국립국악원.
- 국립국악원(e-국악아카데미). 교육자료. http://academy.gugak.go.kr/에서 2017년 10월 28일 인출
- 권대원, 조진희(2014). 한국 전래동요의 분석 준거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10(1), 95-109.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1.095
- 권정해, 우채영(2015). 전래동요를 활용한 신체놀이가 유아의 음악적 태도변화와 음악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4(2), 251-274.
- 김민주, 김채연, 장슬하(2015). 전래동요와 연계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언어능력, 음악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3(1), 127-150.
- 김소정, 박형신(2016). 국악감상에 기초한 통합적 예술활동이 유아의 국악능력과 국악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1(2), 81-105.
- 김소향, 안경숙(2006). 학습주기와 놀이가 연계된 통합적 음악활동의 개발 및 유아의 음악적 개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37(3), 189-213.
- 김정주, 박형신(2017).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 몰입,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의 놀이 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7(3), 29-48.
- 김혜정(2010). 전래동요의 음악적 특성에 따른 교육 방향. 국악교육연구, 4(1), 55-79.
- 나은숙(2008). Gordon의 음악학습이론에 근거한 노래 지도가 유아의 음악적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8(2), 1-10.
- 박용미, 김경숙(2008). 전래동요를 활용한 국악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장단능력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연구, 35(1), 1-26.
- 박은영, 신은수, 김현진(2012). 유아의 사회적 놀이행동과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혼자놀이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2(4), 249-268.
- 박형신(2006). 유아국악능력 검사도구 개발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형신(2013). 국악감상을 토대로 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인성과 국악능력에 미치는 영향. 국악교육연구, 7(2), 29-52.
- 박형신(2014). 국악요소에 기초한 유아국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열린유아교육연구, 19(2), 1-25.
- 박형신, 김은정, 김금주(2014). 판소리 활용한 통합적 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와 국악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3), 361-380.
- 박형신, 신은수(2002). 놀이 중심 국악교육이 유아의 장단 이해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3), 19-38.
- 박형신, 조은정(2013). 민요 형식을 활용한 창의적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창의성과 국악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8(5), 109-131.
- 서화니, 박형신(2007). 음악극을 활용한 전래동요 지도방안. 국악교육연구, 1, 7-29.
- 안우환, 권민석, 신재한(2006). 전래동요와 놀이를 통한 경제 개념의 교수.학습 방법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9(1), 251-274.
- 안은정, 전유영(2015).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활동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4), 223-245.
- 안재신, 한애향(1999). 전래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수업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 연구, 18(1), 1-49.
- 양승희(2007). 유아의 사회적 놀이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7(3), 53-71.
- 양승희, 임명희(2011).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창작 음악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탐색. 한국보육학회지, 11(1), 19-39.
- 엄은나, 강정원, 박성희(2007). 전래동요를 활용한 말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아동과 권리, 11(2), 265-290.
- 유애열(1994). 유아의 상상놀이와 교사의 개입에 관한 관찰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윤수진, 한석실(2009). 음악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한국보육학회지, 9(3), 119-132.
- 윤은경, 이미나(2012).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노래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도덕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2(4), 229-247.
- 장훈, 전인옥(2016). 세계 전래동요를 활용한 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놀이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음악 교육연구, 45(1), 67-92.
- 정선아, 서화니(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전래동요" 분석. 음악교육연구, 42(4), 121-145.
- 정수지, 박형신(2016). 지역 전래동요에 기초한 문화체험 활동이 유아의 지역공동체의식과 국악능력 및 국악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강원도지역을 중심으로. 음악교육연구, 45(4), 137-164.
- 조은지, 김정숙(2013). 마당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과 국악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1(1), 141-164.
- 최미순, 배지희(2016). u-Learning을 활용한 가정 연계에 대한 실행연구: 전래동요놀이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6(3), 202-228.
- 홍성아, 박형신(2014). 음악놀이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음악 적성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악기활동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4), 223-243.
- Barnett, L. A. (1990). Playfulness: Definition, design and measurement. Play and Culture, 3(4), 322-324.
- Campbell, P. S., & Scott-Kassner, C. (2010). Music in childhood from preschool through elementary grades (3rd ed.). NY: Schirmer.
- Fox, D. B., & Liu, L. (2012). Building musical bridges: Early childhood learning and musical play. Israel Studies in Musicology Online, 10, 57-67.
- Frost, J. L., Wortham, S. C., & Reifel, R. S. (2012). Play and child development (4th ed.). Boston: Pearson.
- Johnson, J. E., Christie, J. E., & Yawkey, T. D. (1999.) Play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NY: Longman.
- Kemple, K. M., Batey, J. J., & Hartle, L. C. (2004). Music play: Creating centers for musical play and exploration. Young Children, 59(4), 30-36.
- Littleton, J. D. (1998). Music learning and child’s play. General Music Today, 12(1), 8-15. https://doi.org/10.1177/104837139801200104
- Miranda, M. L. (2004). The implication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for the kindergarten general music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52(1), 43-63. https://doi.org/10.2307/3345524
- Morin, F. (2001). Cultivating music play: The need for changed teaching practice. General Music Today, 14(2), 24-29. https://doi.org/10.1177/104837130101400204
- Music Educators National Conference (1994). Opportunity-to-learn standards for music instruction: Grades pre K-12. Retrieved March 2, 2018, from http://www.nafme.org
- Niland, A. (2009). The power of musical play: The value of play-beased, child-centered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General Music Today, 23(1), 17-21. https://doi.org/10.1177/1048371309335625
- Paige-Smith, A., & Craft, A. (2011). Developing reflective practice in the early years (2nd ed.). Berkshire: McGraw Hill, Open University.
- Peery, J. C., & Peery, I. W. (1986). Effects of exposure to classical music on the musical preference of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34(1), 24-33. https://doi.org/10.2307/3344795
- St. John, P. (2015). "Jamming together" as musical play. In J. E. Johnson, S. G. Eberle, T. S. Henricks, & D. Kuschner (Eds.), Handbook of the study of play Vol. 2 (pp. 333-348). NY: Rowman & Littlefield.
- Taggart, C. C. (2000). Developing musicianship through musical play. Reprint In Spotlight o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p. 23-26). Reston, VA: MENC.
- Van Hoorn, J., Monighan-Nourot, P., Scales, B., & Alward, K. R. (2003). Play at the center of the curriculum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Prentic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