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Pre-service Teachers' Self Images as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의미 변별법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상 분석

  • Lee, Seung Eu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ongshin University) ;
  • Park, Young Mi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ongshin University)
  • 이승은 (동신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박영미 (동신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Received : 2018.07.30
  • Accepted : 2018.09.06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their self-image as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ir grad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67 university students in early childhood department in Jeonnam province. Methods: In order to examine self-image as early childhood teachers, semantic differential meaning scale that was consist of 40 bipolar adjective items was administrated. Data were analysed by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Results: First, pre-service teachers had positive self image as early childhood teacher. Second, according to grades the appreciation self image as early childhood teach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o be more specific and are revealed significantly distinctness. But, score was not distinct by grade, and mean score of was lower than mean score of other area scores. Third, self image as early childhood teacher displayed the positively developing, that is to say, the im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efinitely changed by grade in teacher training course. Conclusion/Implications: The effect brought about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need of support socio-political concer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ry to form positive teachers' image through organized in-service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변별법을 사용하여, 예비유아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유아교사로서의 자아상이 어떠한지 학년에 따른 자아상에 변화가 있는지를 탐색하여 교사양성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남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학과 1~4학년 재학생 167명이었다. 분석결과, 예비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아상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다변량분석 결과, 학년에 따라 유아교사상의 하위요인 중 <교사태도>, <교사자질>의 조합된 평균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사양성과정을 통해 유아교사상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사회적 평가>요인은 다른 요인에 비해 일관되게 상대적으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학년에 따른 변화도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의 이미지 제고를 위해 전문가들의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나림, 곽경화(2013).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에 대한 이미지와 갈등의 변화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3(4), 277-304.
  2. 김대욱 유아교육과 (2014). 남자 신입생이 인식하는 유아교사 이미지 변화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8(2), 313-337.
  3. 김병성(1996). 교육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4. 김병숙, 장부경(2007). 희망직업이미지와 자기이미지 일치성이 대학생의 진로경로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0(1), 27-44.
  5. 김정숙, 이종향, 박영숙, 조현정(2011). 유치원 교사, 학부모, 일반인이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직업 이미지. 유아교육학논집, 15(3), 459-484.
  6. 김정원, 조혜선(2012). 보육실습 전.후 예비보육교사의 교사 이미지 변화: 교사-자화상 그리기와 심층면담을 통한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2), 1-19.
  7. 김현령, 임부연, 김성숙(2015). 유아교사교육연구 수강을 통한 교육대학원생의 유아교사 이미지 변화에 관한 연구. 교원교육, 31(3), 193-218.
  8. 김혜린(1993). 유치원 교사들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류칠선(1996). 유치원 교사의 교사 이미지 연구: Q-방법론적 접근. 유아교육연구, 16(2), 125-141.
  10. 류칠선, 이성희(2005). 한국과 독일 유아교사의 교사이미지 평가 비교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1(2), 137-155.
  11. 류현수, 이정숙(2006). 유머활동을 통한 유아의 자아개념 및 만족지연 증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6(5), 235-259.
  12. 박경숙(1974). 의미변별법에 의한 선생의 이미지 측정. 한국교육, 1(2), 61-73.
  13. 박은혜, 조운주(2007). 예비교사가 인식한 유아교사 이미지의 변화 탐색. 유아교육논집, 11(4), 225-246.
  14. 서현, 이승은(2013).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유아교사 이미지. 한국보육학회지, 13(3), 223-240.
  15. 성원경, 김진영(2011).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비학문적 자아 개념과 교육신념과의 관계 및 교사 이미지 조사. 직업교육연구, 30(3), 197-216.
  16. 손원경, 김미진(2016). 일반인이 인식하는 어린이집 교사의 이미지. 한국영유아보육학, 98(5), 89-112.
  17. 송기호(2016). 의미변별법을 활용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자아상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3), 53-69. https://doi.org/10.4275/KSLIS.2016.50.3.053
  18. 신건호(2007). 유아교사와 예비교사의 유아교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16(3), 35-46.
  19. 신세니, 오정희(2016). 신입생 예비보육교사들이 인식한 보육교사와 원장의 이미지. 교육혁신연구, 26(2), 109-131.
  20. 안진희(2010).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따른 소진과 자아탄력성과의 차이.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양병화(2013). 심리 및 사회과학을 위한 조사와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22. 양혜영(2018).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 이미지에 대한 인식과 자아이미지 탐색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8(2), 147-165.
  23. 오선영, 이옥임(2006). 예비보육교사의 현장적응과 변화과정 연구: 사전실습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6(2), 139-156.
  24. 윤종건(2002). 교사, 학생, 여선생에 대한 이미지분석: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19(1), 175-189.
  25. 윤희경(2013). 좋은 교사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신념 변화. 한국보육학회지, 13(2), 103-122.
  26. 이금란(2000).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승은(2016). 사전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기대와 실제 그리고 인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6(4), 149-175.
  28. 이은진, 권민균(2017).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교사이미지 분석. 아동교육, 26(4), 351-373.
  29. 이정림(2009). 학부모와 대학생의 교사이미지 연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정희, 조성연(2012). 교사 이미지와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50(8), 113-123. https://doi.org/10.6115/khea.2012.50.8.113
  31. 이춘식(1996). 의미변별법에 의한 중학생들의 기술 및 기술교과서에 대한 태도.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1(2), 41-55.
  32. 이춘자(2008).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 교사에 대한 이미지 변화, 교원교육, 26(1), 1-19.
  33. 이학주(2000). 의미변별법으로 측정한 교사의 자아상. 한국교사교육, 17(1), 183-205.
  34. 이현중(2003). 유아교육 예비교사가 교육실습과정에서 느끼는 갈등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 5, 259-286.
  35. 임경원, 박은영, 김하종, 강영애, 김삼섭(2006). 특수학교 교사의 자아상: 의미변별척도의 적용. 정서.행동장애연구, 22(3), 213-233.
  36. 임승렬(2003). 유치원교사의 자아상(self-image) 검사도구 개발과 자아상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8(8), 315-332.
  37. 전선희(1998). 특수교사에 대한 일반 교사의 지각.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정명숙, 황해익(2010). 학부모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 아동학회지, 31(3), 67-82.
  39. 정진, 성원경, 이춘자, 조인경(2007).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유아에 대한 이미지. 아동교육, 16(4), 261-270.
  40. 정현숙, 이지현, 임승렬(2002). 유아교사의 자아상 유형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2(4), 201-227.
  41. 정혜영(2004).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기대와 평가: 교육실습을 통한 인식변화에 관한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1(2), 209-230.
  42. 조운주(2007). 유아교사와 유아가 인식한 유아교사 이미지 이해. 유아교육연구, 27(3), 315-335.
  43. 조형숙, 김정숙(2011). 유치원 교사 이미지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6(4), 407-428.
  44. 좌승화, 조채영, 정명화(2013). 유아교육과 신입생이 인식한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이미지 차이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2(1), 159-179.
  45. 최남정, 오정희(2013). 예비유교사의 유머감각과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 지원학회지, 9(6), 417-438.
  46. 최애경(2007). 예비유아교사의 보육실습 전․후에 따른 교사 이미지 변화.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19-42.
  47. 최은정, 곽은순(2017). 신문과 TV뉴스에 나타난 보육교사의 신뢰이미지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2(6), 95-117.
  48. 하은옥(2007). 교육실습 전․후에 따른 교사 이미지 변화.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19-42.
  49. 하지영, 김영은(2016). 보육실습 경험을 통한 보육교사직에 대한 인식변화. 한국보육학회지, 16(3), 1-26.
  50. 한국교육심리학회(2000). 교육심리학용어사전. 서울: 학지사.
  51. 한석실, 강성숙(2007).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7(2), 43-54.
  52. 허영주(2010). 예비교사의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교사 교육에 요구하는 변화. 교육방법연구, 22(2), 19-49.
  53. 홍미정(2009). 유치원 교사의 유머감각과 사회적지지 및 정서 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황해익, 김미진, 김병만(2012).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의 이미지 연구. 아동학회지, 33(5), 201-219. https://doi.org/10.5723/KJCS.2012.33.5.201
  55. Bullough, R. V., & Knowls, J. G. (1991). Becoming a teacher: Struggles of a second career becoming teacher. Qualitative Studies in Education, 32(2), 101-112.
  56. Bulough, R. V., & Stokes, D. K. (1994) Analysing personal teaching metaphors in service teacher education as a means for encourag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1), 197-224. https://doi.org/10.3102/00028312031001197
  57. Caderhead, J., & Robson, M. (1991). Image of teaching: Student teachers’ early conceptions of classroom practic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7(1), 1-8. https://doi.org/10.1016/0742-051X(91)90053-R
  58. Day, C. (2007). 열정으로 가르치기 [A Passion for teaching](박은혜, 이진화, 위수경, 조혜선 역). 서울: 파란마음(원전은 2004년에 출판).
  59. Hawkey, K. (1996). Image and the pressure to conform in learning to teaching to teach.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2(1), 99-108. https://doi.org/10.1016/0742-051X(95)00023-D
  60. Hollingsworth, S. (1989). Prior beliefs and cognitive change in learning to teach.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6(2), 160-189. https://doi.org/10.3102/00028312026002160
  61. Johnston, S. (1992). Images: Away of understanding the practical knowledge of student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8(2), 123-136. https://doi.org/10.1016/0742-051X(92)90003-L
  62. Judge, H. (1995). The image of teacher. Oxford Review of Education, 21(3), 253-265. https://doi.org/10.1080/0305498950210301
  63. Lin. Y., & Spodeck, B. (1994). Early childhood teachers' images and their classroom practice (ERIC ED 370976).
  64. Reyes, X. A., & Rios, D. A. (2003). Imaging teachers: In fact and in the mass media. Journal of Latinos and Education, 2(1), 3-11. https://doi.org/10.1207/S1532771XJLE0201_2
  65. Sanderfur, S. J., & Moore, L. (2004). The "nuts and dots" of teacher images in children's picture story books: A content analysis. Education, 125(1), 41-55.
  66. Simpson, I. H., Black, K. W., & McKinney, J. C. (1996). Work and retirement. In I. Simpson & J. McKinney (Eds), Social aspects of aging (pp 122-123). Durham, N.C.: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