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갈등대처전략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베이비부머의 가족갈등대처전략이 가정폭력에 미치는 영향 : 문제음주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of Family Conflict on Family Violence among the Baby Boomer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blem-drinking and Self-esteem)

  • 김지훈;김경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448-461
    • /
    • 2016
  • 본 연구는 9차년도 한국복지패널에서 추출한 가족갈등을 경험한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가족갈등대처전략이 문제음주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어떻게 가정폭력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AMOS 21.0 버전을 적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분석을 실시한 후,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Sobel(1982) 검증 중 Baron & Kenney(1996)에 의해 활용된 Aroian Test 검증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베이비부머의 가족갈등대처전략은 문제음주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베이비부머의 가족갈등대처전략은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베이비부머의 가족갈등대처전략은 가정폭력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중재된 문제음주는 가정폭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다섯째, 강화된 자아존중감은 가정폭력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를 근거로 베이비부머의 가족갈등을 극복하고 가정폭력을 축소 예방하기 위한 실천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 이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서 고려할 점을 논의하였다.

호텔 조리사들이 지각하는 일-가족.가족-일 갈등이 감정고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ork-Family.Family-Work Conflict on the Emotional Exhaustion of Hotel Culinary Employees)

  • 최동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13-227
    • /
    • 2012
  • 본 연구는 호텔 조리사에게 있어서의 일-가족 가족-일 갈등이 호텔 조리사의 감정고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알아보고 관련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요인 가운데 조절변수로써 대처전략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0년 호텔 매출과 개실수를 고려하여 서울소재 13개의 호텔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98부의 유효표본을 가지고 연구를 실시하였다. 일-가족 가족-일 갈등이 감정고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대처전략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가족 갈등만이 감정고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일-가족 가족-일 갈등과 감정고갈 사이에서 문제중심 대처전략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회사 업무의 양이나 지시 체계 등이 합리적으로 운영함으로서 좀 더 가정이나 집안일에 충실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하며, 혹여 갈등이 발생하더라도 원인이 무엇인지, 대안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합리적인 분석을 통해 갈등관리를 함으로써 감정고갈 증상을 다스릴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다문화가족의 부부갈등과 갈등대처전략 (The Marital Conflicts and Coping Strategies 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 홍성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1호
    • /
    • pp.149-17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arital conflicts and coping strategies among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Korean 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12 female immigrants and 5 Korean me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emale participants suffered from marital conflicts with their spouses, conflicts with mothers.in.law, stereotyped gender roles as a wife and a daughter.in.law, economic conflicts,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ir country. In addition, male participants reported conflicts from economic support for their wife's family, gender role differences, and cultural differences. Coping strategies used to deal with the conflicts, such as mutual dedication and understanding their spouse's stance, and developing a compromise for the family's happiness were mentioned. A personal positive nature and attitude helped them to meet the marital conflicts. Supports from their husband, parents.in.law, and society also helped female immigrants to adapt to cultural differences. However, some of them used negative coping strategies which did not reduce conflicts, and resulted in separation and divorce. The coping strategies to deal with the conflicts depended on the participants' personal ability. While female participants who had English language skills took advantage to adapt to Korean society, those who did not have any other natural abilities could develop a definite position in their family and society with their diligence and positive attitude.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participants who were supported by their family and society tended to cope successfully with conflicts and also showed that multicultural families' marital adjustment was maintained with their efforts as well as by relationships with their relatives and society.

  • PDF

가정폭력 피해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치료 사례연구: 단독으로 상담에 참여한 중국출신 여성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Family Therapy for Marriage Migrant Woman who Experienced Family Violence - Focusing on Chinese Woman Who Participated in Counseling alone -)

  • 문정화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5호
    • /
    • pp.91-128
    • /
    • 2017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가족치료에서의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하였다. 이를 위해 성공적으로 상담을 종결한 전문성 있는 상담자의 상담사례를 수집하여 치료 개입 전략과 효과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총 6회기가 진행된 상담 과정에서 행한이주여성의 진술에서 의미 단위를 구분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상담자는 다음과 같은 개입 전략을 시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미해결 정서문제 탐색을 통한 정서적 분화 돕기, 둘째 가족투사과정과 삼각관계로 인한 미분화 다루기, 셋째 원가족 관계 패턴 및 대처기제의다세대전수과정 다루기를 시도하였고, 넷째 MRI의 의사소통모델을 적용한 정서적 억압에 따른비일치적 의사소통방식의 비효과성 조명, 다섯째 재구성을 통한 내담자의 인식 전환하기, 여섯째 진짜 자기로 이끄는 의사소통방식 제안을 시도하였다. 상담자의 이와 같은 시도로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는데, 치료 효과로는 첫째, 인지적 통찰 및 변화 동기의 촉발, 둘째 의사소통능력의 향상, 셋째 불안감소와 자기분화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남편의 상담 참여거부로 보통 혼자서 상담에 참여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가족치료의 효과가 낮을 것으로 우려하는 경향이 있으나 상담자의 적절한 개입이 이루어지면 부인의 갈등해결능력을 향상시켜 가정폭력과 같은 문제 해결에 커다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는 그에 필요한 적절한 치료 개입 전략을 제공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다문화가족 결혼이주여성의 분쟁해결방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베트남·캄보디아 출신여성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Dispute Resolution Pattern of Vietnamese and Cambodian Marriage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y)

  • 정용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127-138
    • /
    • 2020
  • 본 연구는 강원지역에 거주하는 베트남과 캄보디아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분쟁해결 대처방식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두 번의 세부 연구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는 폐쇄형 설문지를 통하여 12명의 베트남과 캄보디아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두 번째 연구는 5명의 베트남과 캄보디아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에 대한 응답과 면접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상당수 결혼이주 여성들은 분쟁이 발생할 때 주로 모국인과 상담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주로 부부 자체적으로 분쟁을 해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캄보디아 결혼이주여성들은 분쟁이 발생할 때 주로 갈등회피 형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다문화가족지원 센터가 분쟁해결에 도움이 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후기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Suicide Attempt of the older Seneior citizen)

  • 이광숙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5-21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후기 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여 이들의 경험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bigcirc}{\bigcirc}$구에 거주하는 자살시도를 경험한 75세 이상 노인 6명을 연구참여자로 의도표집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Giorgi가 제시한 4단계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한 결과 6개의 구성요소와 20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를 통해 후기 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의 4가지 구성요소는 <모진 세월의 회한; 죽도록 고생한 모진 인생, 조실부모와 가난의 대물림, 도무지 잊을 수 없는 자식들의 외면, 가족갈등에서 온 깊은 원망>, <절망적이며 처량한 신세; 경제력을 상실과 절망, 마음대로 죽을 수 없는 처절함, 차라리 죽고 싶은 죄책감>, <쓸모없는 무가치한 삶; 아무 쓸모없는 사람, 자녀들 및 신세지기 싫은 강박관념에 괴로움, 자살충동이 일어남>, <참을 수 없는 신체의 고통과 무기력: 죽음과 삶의 두려움, 우울증, 정신병, 치매, 무기력>, <의지할 곳 없는 외로움; 하루 종일 고립됨, 숨쉬고 있지만 마지 못해 살아감, 죽은 것처럼 살고 있는 나, 하루가 지루함>,<마지막 선택; 세상이 싫어 떠날 것임, 먼저 간 배우자 따라.., 아무것도 바라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기 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에 대한 의미와 본질을 논의하고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실천 현장의 구체적 개입전략, 생명존중문화의 실질적인 대처 방안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

간호학과 남학생들의 학과 적응 경험 (Adaptation Experiences of Mal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 김성혁;김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13-126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남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과 적응 경험의 구성요소와 도움을 주는 요인을 밝혀냄으로써 지도적 중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남학생 7명이다. 심층면담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참여자의 학과 적응 경험의 핵심 구성요소는 '미래 진로에 대한 희망과 기대', '현실적 문제에 따른 갈등과 방황', '타협과 마음 다스림', '자기 성장을 위한 노력'으로 축약되었다. 이 구성요소들 간에는 인과적, 촉진적, 순환적 특성을 보여주었고, 학과 적응과정은 시간적 맥락에 따라 구조화 하고 있다. 이들이 원만한 학과 적응을 위해서는 자신의 의지력 강화, 확고한 진로의식 고취, 적응 전략의 채택 등 자신의 내적 통제가 중요하였으며, 가족과 친지, 선배 및 학과 교수의 지지가 학과 적응에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언하면, 간호학과 남학생들의 학과 생활 부적응으로 인한 탈락률을 파악하고 그 요인을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이들이 학과 생활 적응에 필요한 다양한 대처방식과 실천적 지지체계의 구축 및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