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현실콘텐츠

Search Result 85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Immersion and Presence of VR Karaoke Room Implementations in Mobile HMD Environments (HMD 모바일 환경에서 가상현실 기반 노래방 구현물의 실재감과 몰입감 연구)

  • Kim, Ki-Hong;Seo, Beomjoo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7 no.6
    • /
    • pp.19-28
    • /
    • 2017
  • There exist a variety of VR(Virtual Reality) contents that have been developed by the use of the latest VR technologies. Unlike the rapid advances in the recent VR devices however, the development of VR based game contents that fully utilize such cutting-edge devices has been lackluster. Using more accessible form of smartphone-based HMDs(Head-Mounted Displays), we compare two popular VR presentation methods(a realistic 3D VR karaoke room and a 360 degree video karaoke room) and analyze their users' immersion and realistic perception. We expect that our study can be utilized as a supporting guideline for future smartphone-based VR content developments.

Image Recognition and Clustering for Virtual Reality based on Cognitive Rehabilitation Contents (가상현실 기반 인지재활 콘텐츠를 위한 영상 인식 및 군집화)

  • Choi, KwonTae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8 no.7
    • /
    • pp.1249-1257
    • /
    • 2017
  •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n aged society,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apply virtual reality to medical field. Research on dementia is especially active. This paper proposes virtual reality based on cognitive rehabilitation contents using image recognition and clustering method to improve cognitive and physical disabilities caused by dementia. Unlike the existing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this paper uses travel photos that reflect the memories of the subjects to be treated. In order to generate automated cognitive rehabilitation contents, we extract face information, food pictures, place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from photographs, and normalization is performed for clustering. And we present scenarios that can be used as cognitive rehabilitation contents using travel photos in virtual reality space.

Analysis of Edu-Tech Trends Using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가상·증강현실을 활용한 에듀테크 동향 분석)

  • Hwang, Eui-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115-116
    • /
    • 2021
  • 5세대(5G) 이동통신망의 보급과 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 시대가 열리면서 가상 증강현실(VR·AR)을 기반으로 한 '실감(XR·Extended Reality)경제가 본격화 되었다. 가상증강현실의 적용분야로는 게임·영화 등 엔터테인먼트, 제조업, 쇼핑 및 전자상거래, 병원·의료기기, 고객서비스, 지식서비스교육 분야 등이 있다. 본 논문은 VR·AR&교육콘텐츠를 키워드로 최근 3년(2018.1.1.~2020.12.31.)간 중앙지, 경제지 등 54개 언론사 기사를 빅카인즈와 데이터랩을 이용하여 관계도 분석, 월간 키워드 트렌드, 연관어 분석을 하였다. 'VR, AR, 에듀테크'를 키워드로 뉴스 검색결과 63,959건 중 '에듀테크' 검색결과 2018년 632건, 2019년 1043건, 2020년 2389건으로 해마다 급 상승하였다. '(AR+VR)AND 교육콘텐츠'에 대한 검색 결과 연관성(키워드 빈도수)이 높은 키워드로는 증강현실(120), 가상현실(116), 인공지능(114), 에듀테크(100), 코로나19(66), 실감형(65), 아이들(61), VR·AR(56), ICT(35), 빅데이터(25) 순으로 가상·증강현실 기술 발전, 코로나19의 장기화, 교육의 효율성으로 에듀테크 분야의 활용도가 급격히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n FPS Gun Controller Handling method in Virtual Reality (가상현실 1인칭 슈팅게임의 총기형 컨트롤러 조작 방법에 대한 고찰)

  • Jeong, Seung-Woo;Kim, Ki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105-1107
    • /
    • 2017
  • 가상현실 관련 기술의 발전과 게임 엔진의 발달로 앞으로는 많은 사람들이 체험해보거나 혹은 직접 콘텐츠와 관련 부속 부품들을 제작할 수 있는 시대가 왔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1인칭 체험 콘텐츠를 만들고, 컨트롤러에 장착 가능한 장비를 만들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제시하며, 해결할 수 있는 문제 방안을 제시하며 향후 콘텐츠 제작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고찰하였다.

The Study of the Analysis of a User's Perception of Screen Component for Inducing Emotion in the 3D Virtual Reality Environment (3차원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감성 유발 화면 구성 요소에 대한 사용자 인식 분석 연구)

  • Han, Hyeong-J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7
    • /
    • pp.165-176
    • /
    • 2018
  •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3D virtual reality in education has been sought. Especially, the screen composition in the virtual reality has the possibility of inducing the emotion of the user which may affect the learning.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what aspects of the screen can cause emo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er's perception of screen components inducing emotion in virtual reality learning environment. Using Multi Dimensional Scaling (MDS), the user's perception of the main screen in a representative virtual reality learning environment platform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dimension of depth on the screen and the dynamics of the avatar related to the movement were confirmed. This study is meaningful to explore technical variables that can induce emotions among screen elements in virtual reality contents.

Development of a Virtual Reality Glove Improvement Algorithm for Immersive Virtual Reality contents (몰입형 가상현실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글러브 개선 알고리즘 개발)

  • Song, Eun-J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6
    • /
    • pp.807-812
    • /
    • 2021
  • In order to be able to interact with the user to experience it as if it were real in virtual reality contents, input/output devices that make them feel the five senses of humans are required . In virtual reality (VR), devices that stimulate sight and hearing are the most representative. For a more realistic experience, suits and gloves that stimulate the sense of touch have recently been released, but there are not many cases applied to actual contents due to the limitation of device . In this paper, we analyze a virtual reality glove that can detect hand movement and touch in a virtual world. Based on the analysis,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can sense the intensity of collision with a VR object by tactile sense by improving the UI/UX using the vibration of the feedback method used in the existing virtual reality glove. In addition, the system implemented by the algorithm is applied to an actual cas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running game using motion recognition of two legs with trackers (트래커를 이용한 가상현실 러닝 게임 개발)

  • Ok, Ung-Seok;Kim, Min;Lee, Sang-Kyu;Min, Dong-Hyun;Yun, Ta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703-70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화두인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현대인들의 단조로운 생활패턴과 운동부족을 보완하기 위해 두다리에 착용한 트래커들을 이용하여 다리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가상현실에 적용한 러닝 게임을 설계하게 하였고, 이를 구현하여 1인칭 시점 가상현실 게임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게임 콘텐츠는 가상현실 HMD장비와 연동되는 트래커를 착용하여 진행하며 트래커 장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두 다리의 움직임을 더욱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게임 안에서의 최고기록 갱신을 통해 사용자는 더욱 게임에 몰입감을 가지고 갱신을 위하여 플레이 하다 보면 활동량의 증가로 칼로리 소모와 근육을 증가 시킬 수 있다.

  • PDF

The VR Digital Storytelling Design for Users (일반 사용자를 위한 VR 디지털 스토리텔링)

  • Kim, Da-Hee;Woo, Woon-Tac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530-53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기반 스토리텔링 시스템을 제작할 때 고려될 일반 사용자를 위한 디자인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실감성 높은 콘텐츠를 제작하는 연구에 많은 시도와 진척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시각적 콘텐츠 이상의 의미를 전달하는 방법이나 이를 위한 개인화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콘텐츠의 개인화된 체험과 그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스토리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첫째, 문화재(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고려해 인터랙션(혹은 이벤트) 스토리라인을 구성한다. 둘째, 가상현실기반 프로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도를 고려하여 개인화된 인터페이스를 구축한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가상현실기반 스토리텔링을 경험할 때 관심도와 경험도에 맞는 개인별 맞춤 스토리를 경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제안된 스토리텔링 기법은 디지털 에듀테인먼트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History Education Contents Using VR (가상현실을 활용한 역사 교육 콘텐츠 개발)

  • Jang Sangmin;Cho Jae-cheon;Moon Tae-woong;Kwang-Hyuk Im;Seok-H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4.01a
    • /
    • pp.225-226
    • /
    • 2024
  •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역사 교육 콘텐츠 개발은 미래 교육 환경에 적응하고 학습 경험을 혁신하기 위한 중요한 도전이다. 이를 통해 시각적·체험적 학습을 강화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도를 높일 수 있으며, 다양한 교육 자료를 가상 현실에서 체험하면서 깊은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메타버스 기술은 역사적 사건들을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넘어 재현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며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다. 따라서 이 콘텐츠의 개발은 교육의 미래를 모색하고, 새로운 학습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개발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Learning Effects MRI Education Content based on Virtual Reality (가상현실 기반 MRI 교육 콘텐츠 학습효과 분석)

  • Jung-Hun Lee;Jae-Goo Sh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7 no.5
    • /
    • pp.775-782
    • /
    • 2023
  • In order to overcome practical limitations in installing, managing and operating MRI machines with expensive equipment, this study developed and utilized virtual reality (VR) experience education by combining virtual reality (VR)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devices.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al systems were surveyed to identify possible side effects during the exper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survey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impact of virtual reality-based practice on learning. In the analysi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urve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verage between the student group who experienced education and the student group who did no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for each group. Virtual Reality-based practical education is expected to provide an efficient practice system by providing new learning methods and opportunities for education that can be repeated anytime, anywhere regardless of time and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