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실재감

Search Result 7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 Experimental of the Effects of User Experience and Driving Attitude on Driving Simulation Game in Virtual Environment (가상현실 운전 시뮬레이션 게임의 사용자 경험과 운전 태도에 대한 실험연구)

  • Bae, Jae-Han;Kim, Jae-Jin;Noh, Ghee-You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5 no.3
    • /
    • pp.7-18
    • /
    • 2015
  •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s of user experience in driving simulation game between using general monitor and 3D virtual reality device, Oculus Rift DK2. We compared the difference of user experience such as presence, flow and arousal by gaming environment. We also tested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on driving attitude, emotional pleasure and satisfaction. 100 beginner drivers with a driver's licens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of two modes of gaming environment. As a result, all the three user experiences were prov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VR game play than general monitor game. Also driving attitude, emotional pleasure and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irtual reality. This study makes a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 to the application of the next virtual reality game with a special function.

The Influence of Service Characteristic Factors of Metaverse Platforms on Intention to Use the Metaverse (메타버스 플랫폼의 서비스 특성요인이 메타버스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Kim, Hyojin;An, Myounga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13 no.4
    • /
    • pp.173-190
    • /
    • 2023
  • In recent times, with the development of virtual convergence technologies, the market for the Metaverse, a digitally virtual space that combines virtuality and reality, is experiencing significant growth. These Metaverses are realizing new value in both reality and virtual spac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diverse services and content. However, existing research on the Metaverse mostly revolves around its conceptualization and categorization, with limited exploration of intentions to use the Metaverse. Consequently,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Metaverse service characteristic factors on trust and intention to use within the Metaver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ervice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 Metaverse, presence, interactivity, and playfulnes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Metaverse trust. On the other hand, informativeness was found not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rust in the Metaverse. Second, Metaverse trus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intention to use the Metavers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bove, this study aims to propose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activating the Metaverse and developing services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E-Learning Technology Trends (이러닝 신기술 동향)

  • Noh, J.A.;Lee, S.J.;Yun, J.H.;Cho, H.W.;Kang, S.B.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1
    • /
    • pp.41-49
    • /
    • 2014
  • 최근 산업 전반에 걸쳐 가상세계와 현실세계, 방송과 통신, IT 기술과 전통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융합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교육분야에서는 주입식 교육을 탈피하는 창의력 중심으로의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고려하고, 교육격차 해소와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새로운 교육서비스 제공이 요구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자기주도형 미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고품질의 인터랙티브 교육콘텐츠 기술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을 교육과 융합하여 학습자에게 실재감과 몰입감을 제공하고 학습자의 체험 기반 학습을 지향하는 이러닝 콘텐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증강현실 기반 실감형 학습기술, 가상현실 기반 체험형 학습기술, 인터랙티브 e-book 기술 관련 신기술 개발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Comparison of Haptic Interface Support between Computer Games and Simulation Systems (컴퓨터게임과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햅틱인터페이스 지원 방식 비교)

  • 손욱호;배희정;장병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530-534
    • /
    • 2002
  • 근래 들어. 컴퓨터게임을 통한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증대되고 있는 바, 사용자에게 몰입감 및 실재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체감효과를 사용하는 게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체감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기술인 햅틱인터페이스가 컴퓨터 게임에서 시도되고 있으며, PC게임 분야에서는 어느 정도의 표준화가 이루진 상태이다. 그 동안은. 가상현실 또는 시뮬레이션 환경에서의 촉각 인식을 위한 햅틱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 학계를 중심으로 많이 진행되고 왔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기술을 컴퓨터 게임 등의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접목 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게임과 가상 시뮬레이션 시스템 상에서의 햅틱인터페이스 지원 방식의 상호 비교를 통해, 햅틱인터페이스 기술 개발의 동향을 파악하며 향 후 기술 발전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The Effect of Virtual Fashion Influencers' Presence on Evaluation Attributes and Relationship Maintenance Behavior (가상 패션 인플루언서의 실재감이 평가속성과 관계유지행동에 미치는 영향)

  • Sera Lee;Juha Park;Taeyoen Kim;Jaehoon Ch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47 no.2
    • /
    • pp.295-310
    • /
    • 2023
  • The current virtual fashion influencers are a hyper-real prototype in that it has a higher presence than the virtual humans in the past. Also, they are leading fashion trend with more than tens of thousands of followers on social medi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al and social presence of virtual fashion influencer perceived by consumer and verified effects on evaluation attributes of influencers and the relationship maintenance behavior. A total of 321 Korean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Instagram account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MOS 23.0.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hysical pres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ttractiveness of virtual fashion influencers. In case of social pres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friendliness and reliability of virtual fashion influencers. In addition, evaluation attributes of virtual fashion influencers' friendliness, attractiveness and reliability in the order of influence on relationship maintenance behavior.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social presence of virtual fashion influencers with friendliness and attractiveness is more important than the physical presence that has already reached a high level.

The Effect of Logistics Education Using Metaverse on Learn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메타버스 활용 물류 교육이 학습 참여와 학습 만족에 미치는 영향)

  • Cho, Sang-Lee;Shin, Hak-Su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9 no.3
    • /
    • pp.61-73
    • /
    • 2023
  • When conducting metaverse-based logistics education, educational, entertainment, and sense of reality were presented as preceding factors as factors that content should have, and the effect on learner satisfaction by mediating learner participation was verified.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entertainment, and presence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that can improve learners' participation. Since it is a content provided as part of university education, it can be expected that the educational value will be the highest, but entertainment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herefore, in order for metaverse-based logistics education to induce learners' participation, it is necessary to plan contents that students can enjoy and enjoy. Second, it was found that learner particip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Although it is a virtual world, if it is real and you can interact with other learners, you will be satisfied with your l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s that can induce learners' participation in order to continuously provide learning satisfaction when providing metaverse-based logistics education.

Haptic Suit Interface for Haptic Game (체감형 게임을 위한 햅틱 수트 인터페이스)

  • 배희정;장병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499-502
    • /
    • 2003
  • VR(virtual reality, 가상 현실) 환경이 대중화 되면서, VR 환경 하에서 사용자가 반력(force feedback)을 느끼게 하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지고 있다. 이러한 반력의 사용에 있어, 반력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들이 필수적이고, 기존의 탁상형 고정식인 반력 게임컨트롤러 뿐만 아니라, 게임 플레이어가 보다 향상된 체감효과를 통해 현실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햅틱 장치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착용하여 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특별 제작된 (custom) 햅틱 수트 (haptic suit)를 다룬다. 이를 위한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시하여, 게임 컨텐츠에 실재감을 부여할 수 있는 반력을 편집하고, 재생할 수 있는 효과 생성기를 제시한다.

  • PDF

Interactive Mobile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a Vibro-Tactile Pad (진동-촉감 패드를 이용한 상호작용형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 Jin, Moon-Sub;Seo, Byung-Kuk;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285-287
    • /
    • 2011
  • 최근 증강현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같이 고성능 모바일 장치가 대중화됨에 따라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이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증강현실을 구현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증강된 가상 모델과의 촉각적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한 효과적인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모바일 환경을 고려하여 손 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 패드 형태의 진동-촉감 전달 장치를 비주얼 마커와 결합하고 마커를 이용해 증강된 가상의 모델의 움직임에 맞춰 촉감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증강된 가상 모델에 대한 사용자의 시각적 상호작용과 동시에 촉각적 상호작용을 통해 보다 실재감 있는 증강현실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에 이를 구현하고 그 유용함을 보인다.

  • PDF

Support of Haptic Interface for 3D Computer Games (컴퓨터 게임에서의 햅틱인터페이스 지원)

  • Son, Wook-Ho;Bae, Hee-Jung;Jang, Byu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c
    • /
    • pp.2305-2308
    • /
    • 2002
  • 최근, 컴퓨터게임은 기존의 2 차원 RPG게임 형태로부터, 보다 사실감을 전달할 수 있는 3 차원 RPG나 시뮬레이션 형태의 게임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에는 사용자에게 몰입감 및 실재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체감효과를 사용하는 게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 동안 가상현실 속에서의 촉각 인식을 위한 햅틱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 학계를 중심으로 많이 진행되여 왔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기술을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접목 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체감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기술인 햅틱인터페이스가 컴퓨터 게임에서 시도되고 있으며, PC게임 분야에서는 어느 정도의 표준화가 이루진 상태이다. 본 고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3차원 컴퓨터 게임에서의 햅틱인테페이스" 에 대한 연구과제의 개론적 도입을 통하여, 촉감을 3차원 컴퓨터 게임에서 실현할 수 있는 기술적 방법을 서술하고자 한다.

  • PDF

The Effect of Gesture Based Interface on Presence Perception and Performance in the Virtual Reality Learning Environment (가상현실 학습환경에서 동작기반 인터페이스가 실재감 지각 및 수행에 미치는 효과)

  • Ryu, Jeeheon;YU, SEUNGBEOM
    • (The)Korea Educational Review
    • /
    • v.23 no.1
    • /
    • pp.35-56
    • /
    • 2017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esture based interface and display methods to make an effective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The gesture based interface can provide interactive interface to make objects in the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by generating natural movement of users' gesture. This natural functionality leads users to apply natural movements as they do in real actions. Because of the natural user interface, the gesture based interface is expected to maximize learning outcome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gesture based interface can be used when a head mounted display is applied for a virtual reality learning environment. For this study 44 colleagues students were participated. Two display methods (head mounted display vs. monitor) and two interface (gesture based interface vs. joystick) were tested to identify which might be more effective. The study was applied to different learning tasks which require different levels of spatial perception. The dependent variables are three constructs of virtual presence (spatial perception, immersiveness, and realness) and task completion time and recall tests. This study discussed potential disadvantages of gesture based interface while it showed positive usages of gesture based inte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