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流出量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5초

탱크 모델에 의한 홍수(洪水) 유출량(流出量) 해석(解析)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flood runoff analysis with TANK MODEL)

  • 홍창선;최한규
    • 산업기술연구
    • /
    • 제3권
    • /
    • pp.95-101
    • /
    • 1983
  • This study aims at the determination of the coefficienties of runoff and infiltration affecting runoff. The rating curve is more available than the peak flood runoff to determine flood control plan of flood control reservoir and the volume of hydroelectric power plant, or to make multipurpose dam. In hydrologic analysis and design,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lations between precipitation and runoff, possible using some of the factors affecting runoff as parameters. In order to calculate the runoff discharge, the runoff process constituting elements are divided to the surface runoff, the subsurface runoff and the groundwater runoff. By comparing the computed hydrograph with the measured hydrograph, determinned the watershed TANK Model constant Varying the tank model constant for approximating the computed hydrograph to the measured hydrograph.

  • PDF

推計學的 特性을 考慮한 實時間流出 豫測 (Real-Time Forecasting for Runoff Considering Stochastic Component)

  • 정하우;이남호;한병근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0-106
    • /
    • 199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al-time runoff forecasting model considering stochastic component. The model is composed of deterministic and stochastic components. Simplified tank model was selected as a deterministic runoff forecasting model. The time series of estimation residual resulting from the tank model simulation was analyzed and was best suited to the second-order autoregressive model. ARTANK model which combined the tank model with the autoregressive process was developed. And it was applied to a BANWEOL basin for valida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field data.

  • PDF

선형회귀모형(線型回歸模型)에 의한 하천(河川) 월(月) 유출량(流出量) 추정(推定)의 일반화(一般化)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Generalization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for Monthly-runoff Estimation)

  • 김태철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131-144
    • /
    • 1980
  • 수자원개발(水資源開發)의 계획(計劃) 및 설계(設計)를 위한 하천(河川)의 월유출량(月流出量) 추정방법(推定方法)인 전월단위(全月單位)의 사변수(四變數) 선형회귀모형(線型回歸模型)을 일반화(一般化)하여 유출량(流出量) 기록(記錄)의 Extension, 무계기(無計器) 하천(河川)의 유출량(流出量) 추정(推定) 등(等)에 이용(利用)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금강(錦江) 수계(水系)에 적용(適用)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선형회귀모형(線型回歸模型)은 물수지방정식(收支方程式)을 중첩(重疊)의 원리(原理)가 적용(適用)되는 선형(線型)(linear)으로 취급(取扱)하여 통계적(統計的)으로 모형(模型)을 설정(設定)하고 유역(流域) Response의 물리적(物理的) System 및 그 변화(變化)를 연역적(演譯的)으로 정성적(定性的)(qualitatively), 개략적(槪略的)(lumped)인 해석(解析)을 하려는 것이다. 각(各) 회귀계수(回歸係數)들이 각(各) parameter들의 phisical properties의 의미(意味)를 내포(內包)하는 일종(一種)의 grey box로 해석(解析)하려는 statistically deterministic model이다. 2. 금강(錦江) 수계(水系)의 4개(個) 수문지점(水文地點)의 선형회귀모형(線型回歸模型)의 방정식(方程式)은 다음과 같다. 통계적(統計的) 기준(基準)에 따라 판정(判定)한 결과(結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있는 모형(模型)으로 판정(判定)되었으며 특(特)히 유출량(流出量) 기록(記錄)이 짧은 경우에도 이용(利用)할 수 있다. 각(各) parameter들의 회귀계수(回歸係數)는 유역면적(流域面積)에 따라 질서(秩序)있게 변화(變化)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卽) 강우량(降雨量)(Pn)의 경우 유역(流域)이 커질수록 interception, detention storage에 의(依)한 손실(損失)도 커지며, 토양수분변화량(土壤水分變化量) (Qn-1)의 경우 유역(流域)이 커질수록 유역(流域)의 저류능(貯溜能)이 커지므로 기저유출(基底流出)도 커지며, 증발산량(蒸發散量)(En)의 경우 유역이 커질수록 Coverage의 나지화(裸地化) 면적(面積)이 커지므로 증발산량(蒸發散量) 손실(損失)도 커진다. 3. 선형회귀모형(線型回歸模型)의 정성적(定性的)인 phisical properties가 유역면적(流域面積)에 따라 변화(變化)하는데 착안(着眼)하여 모형(模型)을 일반화(一般化)하여 수계별(水系別) 유역면적별(流域面積別)로 회귀계수(回歸係數)를 구(求)하여 무계기(無計器) 하천(河川)에서도 월유출량(月流出量) 추정(推定) 모형(模型)을 설정(設定)할 수 있게 하였다. 금강수계(錦江水系)의 선형회귀모형(線型回歸模型)의 일반화도표(一般化圖表)는 다음 Fig.10과 같다.

  • PDF

삼림환경(森林環境)이 수자원(水資源) 함양(涵養)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Influences of Forest Environment on the Water Yield in Small Forested Watersheds)

  • 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283-291
    • /
    • 1993
  • 이 연구는 삼림(森林)의 이수기능(理水機能) 및 환경보전(環境保全) 영향효과(影響效果)를 수량적(數量的)으로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농생대 부속 남부연습림(전남 광양군 옥룡면 추산리)내 북문골소유역(小流域)과 바람골소유역(小流域)의 2개 삼림소유역(森林小流域)에 자기우량계(自記雨量計), 직사각형 웨어 및 자기수위계(自記水位計)등의 삼림수문관측시설(森林水文觀測施設)을 설치하여 1991년 5월 11일부터 1992년 12월 31일까지 각 유역(流域)의 유출량(流出量), 유출유형(流出類型) 등의 개별(個別) 수문인자(水文因子)를 측정(測定) 분석(分析)하였다. 또한 1991년 5월부터 10월까지 수관차단(樹冠遮斷) 손실량(損失量), 수간유하우량(樹幹流下雨量) 및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 등 개별 수문현상을 정량적(定量的)으로 측정(測定) 분석(分析)하여 삼림(森林)의 이수기능(理水機能)을 수량화(數量化)하여 기초수문자료를 제공하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기간동안 추산지역의 강우량은 1991년 5월부터 12월까지는 1,306.6mm, 1992년 1월부터 12월까지는 1,143.4mm이었다. 총강우량에 대한 수관차단율(樹冠遮斷率)은 소나무림에서 27.0%, 테다소나무림에서 24.3%였다. 삼림소유역(森林小流域)의 유출율(流出率)은 북문골소유역에서는 48.87, 바람골소유역에서는 41.19%이었다.

  • PDF

혼효림(混淆林)에서 강우량(降雨量)이 유출량(流出量) 및 수관차단률(樹冠遮斷率)에 미치는 영향 (Relation of Run- off and Canopy Interception to Rainfall in a Mixed Forest)

  • 이상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6-38
    • /
    • 1977
  • 물오리나무와 소나무의 혼효림으로 구성된 혼효림(混淆林)에서 1975면(年) 1년간(年間) 강우량(降雨量)에서 수관차단(樹冠遮斷)과 유출특성(流出特性)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강우량(降雨量) 1072.7mm에 대해 수관차단율(樹冠遮斷率)은 192.3%이고 그 량(量)은 년강우량(年降雨量) 1072.7mm 중(中) 20.7mm이었다. 2. 강우량(降雨量)이 적은 봄과 초여름에는 수관(樹冠)에 의한 차단율(遮斷率)추은 20~50%이고 강우기(降雨期)인 여름에는 15% 이내(以內)로 되었다. 3. 매(每) 강우량(降雨量)이 10mm 전후(前後)일 경우에는 강우량(降雨量)이 약 50%가 수관(樹冠)에 의해 차단(遮斷)되고 20mm가 넘을 경우는 약 20% 정도가 차단되는 경향이 있었다. 4. 년간(年間) 평균(平均) 유출율(流出率)은 24.9%이고 유출량(流出量)은 $1000m^2$당 2,666.4l이었으며 강우량(降雨量)과 유출량(流出量)과의 관계(關係)는 그림 1과 같았다.

  • PDF

3차원 점성토(粘性土) 운송(運送) 모델의 개발(開發)과 수영만(水營灣)의 부유물질 확산 (Development of Three-Dimensional Cohesive Sediment Transport Model and Diffusion of Suspended Sediment at Suyoung Bay)

  • 김차겸;이종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79-192
    • /
    • 1993
  • 유한차분법으로 3차원 점성토 수송 모델 COSETM-3을 개발하여 개수로의 중층에서 시간에 따른 부유니의 상대농도에 관한 실험결과(實驗結果)와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잘 일치하였다. 모델의 현지(現地) 적용성(適用性)과 수영만(水營灣)의 SS(Suspended Solids) 확산을 조사하기 위해 대조기(大潮期) 수평시(平水時)와 홍수시(洪水時)에 모델을 수영만에 적용하여 수영강(水營江)에서 유출되는 SS의 거동(擧動)을 해석하였으며, 그 결과 현지의 SS 거동을 정성적으로 잘 예측하였다. 침강속도가 SS의 농도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침강(沈降)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SS 농도는 표층이 저층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침강(沈降)을 고려했을 경우에는 저층이 표층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표층에서는 활발한 해수교환으로 인해 SS의 변동폭이 크게 나타났으나, 저층에서는 해수교환(海水交換)이 약하기 때문에 SS의 변동폭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홍수시(洪水時) SS 확산패턴은 평수시(平水時)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SS 농도는 평수시(平水時)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첨두유량이 발생할 때까지 SS 농도는 점차 증가하였으나, 첨두유량이 발생한 이 후부터 SS 농도는 유출량(流出量)의 감소로 인해 점차 감소하였다.

  • PDF

충남지방(忠南地方)의 강우특성(降雨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I) 대전지역(大田地域)의 단시간(短時間) 확률강우강도(確率降雨强度) (Studies on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in Chungnam Region(I) Probable Rainfall Intensity in Short Duration in Daejeon Area)

  • 안병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82-89
    • /
    • 1981
  • 대전지역(大田地域)에 있어서 재현기간별(再現期間別)에 따른 단시간(短時間) (2시간이내(時間以內)) 강우강도특성(降雨强度特性)을 분석고찰(分析考察)하여, 확률(確率) 강우강도(降雨强度)의 최적식(最適式)을 유도(誘導)해 내므로서 소구역(小區域)의 배수공(排水工)과 도시하수도(都市下水道) 및 하천(河川)의 치수(治水) 이수(利水) 공사(工事)를 위한 신빙성(信憑性) 있는 유출량산정(流出量算定)에 기여코저 본연구(本硏究)를 시도(試圖)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단시간(短時間)의 확률강우강도계산(確率降雨强度計算)은 재현기간별(再現期間別)로 거의 평균치(平均値)가 되는 Gumbel-Chow법(法)에 의(依)한 계산치(計算値)를 대표치(代表値)로 채택(採擇)하였다. 2. 강우강도식형별(降雨强度式型別)로 적합도(適合度)를 검정(檢定)하였던바 각(各) 재현기간별(再現期間別) 공(共)히 Japanese type(석흑(石黑)의 엄밀법(嚴密法))인 $I={\frac{a}{\sqrt{t}+b}}$(Table-6 참조)가 최적식(最適式)으로 나타났다. 또한 박교수(朴敎授)가 발표(發表)한 $I=({\frac{R_{24}}{24}})({\frac{T}{t}})^{0.5486}$은 신빙성(信憑性)이 매우 높았으나 반대(反對)로 사용(使用)하고 있는 물부(物部)의 강우강도식(降雨强度式)에서 $n={\frac{2}{3}}$를 사용(使用)함은 매우 불합리(不合理)함을 확인(確認)하였다. (표(表)-7 참조) 3. 2항(項)의 확률강우강도식(確率强雨强度式) 정립(定立)으로 대전지역(大田地域)에 있어서 단시간(短時間) 강우강도(降雨强度)로 합리식(合理式)에 의(依)한 보다 신빙성(信憑性)있는 유출량(流出量) 산정(算定)을 기대(期待)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임도개설(林道開設)이 산지급류소하천(山地急流小河川)의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와 이온농도(濃度)에 미치는 영향 - 임도개설지(林道開設地)와 미개설지(未開設地) 비교(比較) - (Effects of Forest Road Construction on Electronic Conductivity and Ion Concentrations of Torrential Stream - Comparison of Forest Road Construction and Control Watersheds -)

  • 김민식;전근우;에자키 츠기오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90-95
    • /
    • 1997
  • 강원대학교(江原大學校) 산림과학대학(山林科學大學) 부속연습림내(附屬演習林內)의 임도밀도가 상이한 세 유역(유역 A: 8.82m/ha, B: 2.32m/ha 및 C: 미개설(未開設))의 산지급류소하천(山地急流小河川)을 대상으로 1995년, 1996년의 강우량(降雨量) 및 유출량(流出量)에 따른 전기전도도와 이온농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기전도도는 강우량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대체로 전강우(前降雨)와 간격이 긴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임도개설유역이 미개설유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2. 이온성분별 농도는 음이온이 양이온보다 약 2배이상 유출되었다. 이온별 평균농도는 양이온의 경우 $Na^+$$Ca^{2+}$이 각각 최대 및 최소로 나타났으며, 음이온의 경우는 $SO_4{^{2-}}$$Cl^-$보다 3.7배 이상 높게 나타냈다. 3. 총이온농도는 강우량과 유출량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는 않았으나 양이온의 경우 임도개설지가 미개설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放射線을 照射한 흰쥐의 여러 가지 組織내의 DNA의 合成과 分解 (Postirradiation Synthesis and Degradation of DNA in Various Tissues of Rats)

  • Kang, Man-Sik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99-204
    • /
    • 1971
  • 放射線照射에 의해서 尿 및 血液內에 다량의 deoxycytidine (CdR)이 流出하는 것을 볼수가 있는데, 이것이 DNA의 合成이나 分解와 어떤 관련성이 있으며, 아울러 어느 臟器의 DNA가 放射線感受性이 큰지의 여부를 밝히기 위해서 400R의 X 線을 흰쥐에 全身照射시켜, 간, 지라 및 흉선을 切除하여 均質化시킨 후, CdR-2-$^14 C$을 써서 DNA의 合成率 및 分解率을 測定하였다. DNA의 合成率은 흉선의 경우, 照射후 1 $\\sim$ 3日에 가장 심한 抑制現象이 나타났으며 5日후 부터는 점차 回復됨을 볼 수 있었고, 한편 간과 지라의 경우는 抑制의 정도가 흉선에 비해서 적었으며 回復도 훨씬 빨리 이루어졌다. DNA의 分解率은 지라와 흉선의 경우 비슷하여서 照射후 1日에 영향이 極大로 나타냈으며 回復도 아주 늦게 일어남을 볼 수 있었는데 반해서, 간의 경우는 分解도 덜 일어났으며 回復도 아주 빨리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각종 臟器의 放射線感受性의 차와 再生能의 차에 의해서 나타나는 현상임을 알 수 있고 CdR의 流出量의 增加는 放射線에 의한 DNA合成의 抑制와 DNA分解의 促進의 두가지 요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전자의 경우는 흉선이, 후자의 경우는 지라와 흉선이 같은 정도의 重要性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유역(流域) 물 수지(收支)의 회귀모형화(回歸模型化) (Regression Modeling of Water-balance in Watershed)

  • 김태철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324-333
    • /
    • 1983
  • 장기유출해석(長期流出解析) 모형(模型)은 물수지(收支)에 그 기반(基盤)을 두고 있다. 하천(河川) 유출량(流出量)의 물수지(收支)를 강우량(降雨量), 증발산량(蒸發散量), 토양수분변화량(土壤水分變化量)으로 단순화(單純化)하여, 이를 강우량(降雨量)pan증발량(蒸發量), 전기유출량(前期流出量)의 변수(變數)로 회귀모형화(回歸模型化)하여 회귀계수(回歸係數)로 부터 다음과 같은 유역(流域) 수문반응(水文反應)의 일반화(一般化) 경향(傾向)을 모색하였다. 이들 회귀계수(回歸係數), $b_1$, $b_2$, $b_3$로부터 개괄적(槪括的), 정성적(定性的), 연역적(演譯的)으로 유역(流域)의 수문반응(水文反應)을 해석(解析)할 수 있었다. 물수지(收支) 회귀모형(回歸模型)의 특성(特性)은 다음과 같다. 1. 회귀계수(回歸係數) $b_1$은 강우중(降雨中)에서 차단(遮斷), 지표저류량(地表貯溜量) 및 하도손실(河道損失)을 뺀 직접유출성분(直接流出成分)으로, 수계별(水系別)로 하류지점(下流地點), 유역면적(流域面積)이 커짐에 따라 $b_1$값은 작아진다. 2. 회귀계수(回歸係數) $b_2$는 토양수분변화에 따른 유출 체(滯)를 나타내는 기저유출(基底流出)의 Index로 유역면적(流域面積)이 커지고 유역평균경사(流域平均傾斜)가 완만할수록 유역(流域)의 저류능(貯溜能)이 커지므로 $b_2$값도 커진다. 3. 회귀계수(回歸係數) $b_3$는 토양수분과 토양피복상태에 따른 유역증발산(流域蒸發散)에 의(依)한 손실(損失)을 나타내어 부치(負値)를 가지며 하류지점(下流地點), 유역면적(流域面積)이 커짐에 따라 지표(地表), 지하저류능(地下貯溜能)이 커지므로 $b_3$값도 커진다. 4. 강우일수(降雨日數)가 많은 달은 대체로 Pan증발량(蒸發量)이 적으므로 큰 유출(流出)이 발생(發生)하여 전(前)달의 유출(流出)이 많았으면 그 달에 강우(降雨)가 없어도 기저유출(基底流出)이 나타내는 등(等) 유출(流出)의 계절적변화를 해석(解析)할 수 있다. 5. 월(月) 유출(流出)에 대한 강우량(降雨量), 증발산량(蒸發散量) 토양수분변화(土壤水分變化)의 상대적(相對的) 기여도(寄與度)는 ${\beta}$ Coeff.의 백분율(百分率)로 나타내면 각각(各各) 80%, 11%, 9%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