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Linalool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고구마 재배지에서 성페로몬에 의한 큰검정풍뎅이 ((Holotrichia parallela (Motschulasky) (Coleoptera: Scarabaeidae)) 유인 효과 (Attractiveness of Sex Pheromone of the Large Black Chaefer, Holotrichia parallela (Motschulasky) (Coleoptera : Scarabaeidae), in Potato Field)

  • 최만영;백채훈;서홍렬;이건휘;김재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69-172
    • /
    • 2006
  • 고구마 큰검정풍뎅이 성페로몬 주성분인 L-isoleucine methyl ester (LIME)와 부성분인 (R)-(-)-linalool의 함량비가 2.5:1일 때 가장 큰 유인효과를 나타냈으며, 유인효과가 미치는 거리는 14 m와 21 m의 중간이었다. 한국에 발생하는 큰검정풍뎅이의 성페로몬에 대한 반응은 일본에 발생하는 큰검정풍뎅이와 마찬가지로 48시간 주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와 분홍아까시나무(R. margarettae 'Pink Cascade') 향기성분 조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f Floral Volatile Components in the Different Species of Robinia spp.)

  • 이수진;김영기;노광래;이현숙;김문섭;김세현;권형욱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89-195
    • /
    • 2019
  • 본 연구는 아까시나무 꽃으로부터 발산되는 휘발성 성분을 SPME법으로 추출하여 GC/MS를 통해 분석을 시도하여, 서로 다른 수종 별로 발산하는 FVCs의 성분과 그 구성비율이 확연하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까시나무, 4배체 아까시나무, 분홍아까시나무에서 FVCs 분석결과를 비교해 볼 때 차이를 보이는 주요 FVCs는 각각 Linalool (35.47%), α-Farnesene (33.94%), (E)-4,8-Dimethylnona-1,3,7-triene (37.23%)으로 나타났으며, 공통적으로 (Z)-β-ocimene이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수종 간 FVCs 조성비의 차이가 꿀벌의 방화 행동 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측되며, 아까시나무의 FVCs에 대한 꿀벌의 선호도 및 방화 행동의 연관성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녹차엽의 채취 시기와 재배지역에 따른 휘발성 향기 성분의 변화 (Changes in Volatile Compounds of Green Tea during Growing Season at Different Culture Areas)

  • 이주연;왕려비;백주현;박승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6-25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녹차엽의 채취 시기와 재배지역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의 종류, 차이, 그리고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제주와 전남지역에서 재배한 차의 생엽을 시기별로 채취하였다. 녹차엽의 휘발성 향기 성분은 SPME를 사용하여 포집, 흡착하여 GC, GC-MS, GC-O, 그리고 retention time을 이용하여 분리된 성분을 분석, 동정하였다. 녹차엽의 휘발성분의 양은 수분함량을 고려한 건조함량을 기준으로 정량하였다. 수분함량은 생엽이 78-80%, 건조엽이 3.20-4.98% 정도였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흡착에 사용되는 SPME 방법은 이전의 여러 방법에 비해 분석시간이 짧고 본래의 향이 아닌 방해성분의 생성이 적은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SPME fiber는 7.4%의 높은 재현성을 가졌으며 표준물질(ethyl n-heptanoate)의 내부표준법에 의한 재현성 결과에서는 불안정한 peak area값(RSD 30.5-98.7%)을 가져 3.47%의 재현성 결과를 가진 외부표준법을 사용하였다. 시기에 따른 휘발성 향기 성분을 비교한 결과, 5월에 채취한 생엽의 휘발량이 가장 많았으며, Group I과 Group II 향기특성의 함량비율이 균형적이었다. 휘발량이 가장 많았던 5월에 채취한 생엽을 제주와 전남의 재배지역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주 성분은 Z-3-hexenal, linalool, E-2-hexenol, n-hexanal, Z-linalool oxide, myrcene, benzyl alcohol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채엽 시기가 녹차의 향기 특성에 영향을 주며, 채엽 시기가 같더라도 지역에 따라 향기가 다른 녹차가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녹차를 지역에 따라 구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녹차음료 PET제품의 고온저장중의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Beverage PET during High Temperature Storage)

  • 이경훤;라임정;조혁준;여명재;김승배;박지용;김성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8-104
    • /
    • 2009
  • 본 연구는 $60^{\circ}C$ 고온저장 조건에서 4주 동안 PET 포장된 녹차음료의 품질 변화 특성과 품질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포장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PET 포장용기의 산소투과성 및 cap의 밀봉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고온저장 조건에서 MXD6 blend PET는 가스 차단성이 우수하였으며 4주 동안 TEN cap의 removal torque 변화도 적게 나타났다. 4주 동안 고온저장 중 녹차음료의 pH, 색도 및 비타민 C 및 카테킨 함량은 유의적으로 변화하였고 카페인과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고온저장 중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Hexanol, linalool, menthol 및 ${\alpha}$-terpineol 4종의 alcohol류 향기성분은 고온저장 3주차까지 급격한 함량 증가를 보였고 d-limonene은 큰 변화가 없었다. 관능평가 결과는 떫은맛과 향, 전체적인 맛은 기호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수확시기가 늦은 시판녹차의 향기성분 (The Aroma Components of Commercial Green Tea Picked in August)

  • 최성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0-20
    • /
    • 1995
  • The aroma components of commercial green teas picked inAugust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The extract of aroma compounds in green tea were accoimplished by a modified rotary evaporation. The concentrated wxtracts were analyzed and identified by GC and GC-MS. In GC analysis, T$_{R}$ value of GC represented bt KI value which standardized. The most abundant components of green teas picked in August were 1-Penten-3-ol, trans, trans-2, 4-heptadienal, linalool, $\beta$-ionone and nerolidol.

수확시기가 늦은 시판녹차의 향기성분 (The Aroma Components of Commercial Green Tea Picked in August)

  • 최성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6-80
    • /
    • 1995
  • The aroma components of commercial green teas picked inAugust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The extract of aroma compounds in green tea were accoimplished by a modified rotary evaporation. The concentrated wxtracts were analyzed and identified by GC and GC-MS. In GC analysis, T$_{R}$ value of GC represented bt KI value which standardized. The most abundant components of green teas picked in August were 1-Penten-3-ol, trans, trans-2, 4-heptadienal, linalool, $\beta$-ionone and nerolidol.

  • PDF

건생강에 함유된 키랄성 향기성분의 이성질체 조성 분석 (Analysis of Enantiomeric Composition of Chiral Flavor Components from Dried Ginger (Zingiber afficinale Roscoe))

  • 서혜영;노기미;심성례;류근영;한규재;라젠드라 게왈리;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874-880
    • /
    • 2006
  • 건생강 제품의 진위판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건조된 생강으로부터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여 향기특성을 분석하고, MDGC/MS에 의해 키랄성 휘발성분의 enantiomeric composition을 분석하였다. 건생강에서 총 57종을 동정하였으며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은 zingiberene, ${\beta}-sesquiphellandrene$, ${\beta}-bisabolene$, (E,E)-${\alpha}-farnesene$${\alpha}-curcumene$이었다. 건생강에 함유된 키랄성 향기성분 중에서 enaniomeric composition을 측정하기 위해 선택된 키랄화합물 중 ${\alpha}-pinene$ 및 nerolidol은 높은 enantiomeric purity(>96%)로 검출되었으며, ${\beta}-pinene$은 (R)-enantiomer만이 검출되어 특이적이었다. ${\alpha}-Terpineol$은 (R)-enantiomer가 72%로 높게 나타났으며 linalool과 4-terpineol은 두 이성질체가 혼합된 것으로 나타났다. Limonene의 enantiomeric excess(ee, %)는 17.2%로 (S)-enantiomer가 주요 이성질체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키랄성 향기성분의 enantiomeric composition은 건생강의 진위평가를 위한 변수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ntibacterial Activity of Pinus densiflora Leaf-Derived Components Toward Human Intestinal Bacteria

  • Hwang, Young-Hee;Lee, Hoi-S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610-616
    • /
    • 2002
  • The growth-inhibiting effects of Pinus densiflpora leaf-derived materials on nine human intestinal bacteria were investigated using the impregnated paper disk method, and their activiti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13 commercially available terpenes. The biologically active constituent of the extract of P densiflora leaf was characterized as the monoterpene (1R)-(+)-$\alpha$-pinene by various spectroscopic analyses. Responses varied according to bacterial strain, chemicals, and dose. At 10 mg/disk, limonene and (1R)-(+)-$\alpha$-pinene strongly inhibited the growth of Clostridium perfringens,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without adverse effects on the growth of five lactic acid-bacteria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B. bifidum, B. longum,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L. casei). Little or no inhibition against seven bacteria was observed with anethole, borneol, camphor, caryophyllene, 1,8-cineole, estragole, linalool, and $\alpha$-terpineol.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revealed that (1R)-(+)-$\alpha$-pinene had more growth-inhibiting activity against C. perfringens than (1R)-(+)-$\beta$-, (1S-(-)-$\alpha$-, and (1S-(-)-$\beta$-pinenes. Furthermore, the growth-inhibition against L. casei was much more pronounced in (1R)-(+)-$\beta$- and (In-(-)-$\beta$-pinenes than (1R)-(+)-$\alpha$- and (1S)-(-)-$\alpha$-pinen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lpha$ form seems to be required against C. perfringens and $\beta$ form against L. casei for growth-inhibiting activity. Morphologically, most strains of C. perfringens were damaged and disappeared at 5 and 2 mg/disk of (1R)-(+)-$\alpha$-pinene. Morphological study revealed that (1R)-(+)-$\alpha$-pinene had more growth-inhibiting activity against C. perfringens than (1R)-(+)-$\beta$-, (1S)-(-)-$\alpha$-, and (1S)-(-)-$\beta$-pinenes. As naturally occurring growth-inhibiting agents, the Pinus leaf-derived materials described above could be useful preventive agents against diseases caused by harmful intestinal bacteria such as clostridia.

Inhibitory effect of Plant Essential Oils on Malassezia pachydermatis

  • Lee, Jeong-Hyun;Lee, Jae-Su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3호
    • /
    • pp.184-188
    • /
    • 2010
  • Effect of the plant essential oils on the growth of Malassezia pachydermatis was evaluated and the essential oils of Ocimum basilicum L., Melaleuca alternifolia (Maid. & Bet.) Cheel, and Rosa damascene Mill. were the most active against M. pachydermatis and their activity were high than that of itraconazole at 2 mg/mL. The major constituents of the three oils by GC-MS analysis were linalool (21.83%) and estragole (74.29%) for O. basilicum, a-terpinolene (17.96%) and terpinen-4-01 (45.54%) for M. alternifolia, and a-citronellol (59.98%) and geraniol (27.58%) for R. damascene. Results showed that these selected three oils could be effective toward controlling M. pachydermatis opportunistic inf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