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ild' project

검색결과 656건 처리시간 0.03초

A Study of Software Product Line Engineering application for Data Link Software

  • Kim, Jin-Woo;Lee, Woo-Sin;Kim, Hack-Joon;Jin, So-Yeon;Jo, Se-Hye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65-72
    • /
    • 2018
  •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how to reuse common data link software by applying software product line engineering. Existing common data link software performed different stages of design, implementation, and testing without sharing the accumulated knowledge of different developers. In this situation, developers agreed that sharing the assets of each project and reusing the previously developed software would save human and time costs. Even with the initial difficulties, the common Data Link is a continually proposed project in the defense industry, so we decided to build a product line. The common data link software can be divided into two domains. Among them, the initial feature model for the GUI software was constructed, and the following procedure was studied. Through this, we propose a plan to build a product line for core assets and reuse them in newly developed projects.

R&D 프로젝트관리시스템이 R&D 프로젝트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통합관리 실행 및 전주기관리 실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R&D Project Management System on R&D Project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grated Management and Life Cycle Management)

  • 원종호;최성용;김희경;박소현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65-83
    • /
    • 2023
  • Due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technology and the enlargement of industrial scale, the scale of many projects is expanding and the complexity is also increasing. Individual management of existing projects cannot effectively manage projects in this trend, and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entire process from initiation to completion. Accordingly, the need for integrated management and life cycle management that can efficiently manage the entire project is emerging, and for this, a systematic project management system is also required. PMS enables efficient project management by linking business processes such as resource, schedule, scope, and output management of a project with separately separated infrastructure accordingly. In this paper, a research model was proposed to manage the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implementing integrated management and life cycle management, especially during R&D project execution, and to prove the mediating role between PMS and R&D project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ill be able to help companies and organizations that feel the need to implement integrated management and life cycle management and are preparing to build a PMS-type system or that have already been established to efficiently perform project management.

FMEA 기법을 이용한 설계시공일괄방식 주요 클레임 요인 도출 (Identification of Claim Elements for Design Build Projects using FMEA Method)

  • 윤석민;현창택;한상원;차용운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26-33
    • /
    • 2015
  • Design-build projects were devised to enhance the design technologies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efficiency of public works, contributing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ies. However, as various stages of the process, such as formulation of basic plans and design documents, and deliberations proceed, claims, including changes in the requirements of clients, and design changes occur. These claims result in the delay in construction and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s.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main claims that delay construction and increase the costs of design-build projects, prevent claims in the future,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project implementation.

BTL(Build Transfer Lease) 사업의 재정관리 방향 -국가부채 여부에 대한 판단기준 및 재정 측면에서의 관리방안을 중심으로- (How to Fiscally Manage the BTL Type Project)

  • 최석준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29권1호
    • /
    • pp.137-175
    • /
    • 2007
  • 본 연구는 2005년부터 새롭게 도입된 임대형 민간투자사업(Build Transfer Lease: BTL)이 국가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하여 정부가 검토해야 될 정책대안을 모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BTL 사업의 국가부채 인정 문제 및 예산운영준칙의 수립방안 도출을 위해 주요 선진국 및 국제기구에서의 제도와 동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설계 $\cdot$ 시공일괄입찰제도의 수주현황 사례분석 (Case Study in Current State of Amount of Order for Turnkey Project)

  • 이양규;강인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97-202
    • /
    • 2004
  • 설계$\cdot$시공일괄입찰제도는 기술인력이 부족한 발주자를 대신해서 건설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도로서 공사기간의 단축이 가능하고, 건설공사의 품질향상, 설계와 시공의 통합에 의한 기술력제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계약자 측면에서는 책임 일원화에 따른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설계$\cdot$시공일괄입찰제도 발주현황과 낙찰률 현황, 공종별 시행규모, 발주처별 시행규모, 심의방식 등을 분석하여 동 제도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며, 기본적인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 PDF

민간투자사업의 위험가치 평가 - 임대형 민간투자사업(BTL)의 위험가치 평가 제도를 중심으로 - (The Evaluation of Value at Risk in Build Transfer Lease Project)

  • 최석준;김상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907-2916
    • /
    • 2009
  • 민간투자사업은 1990년대 이후 본격화되어 주요 교통시설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2005년 이후에는 장기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임대료 방식으로 사업자에게 대가를 지급하는 BTL 방식의 사업이 도입되어 학교, 군 주거시설, 하수관거 등 다양한 분야의 시설 및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정부 재정사업과 차별화되는 민자사업에 대해서 관련된 위험을 도출하고 그 가치를 평가, 위험 발생을 최소화하려는 제도적 노력은 부진한 편이며 특히 장기간 서비스 계약을 통해 이루어지는 BTL 사업의 경우 위험가치 평가 제도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민자사업 성공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영국 등의 민자사업 위험가치 평가제도를 비교 분석하고 국내 BTL 사업의 실제 사례에 대해 위험가치를 반영한 PSC(Public Sector Comparator)를 구축, 분석하였다.

하수처리시설 BTL사업의 합리적인 운영비 산정방안 (Efficient Evaluation Method of Operation Cost for Wastewater Treatment Plant by BTL Contract Type)

  • 강인석;윤선미;권중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D호
    • /
    • pp.627-634
    • /
    • 2009
  • 최근 국내에서 많이 시행되고 있는 BTL(Build Transfer Lease)사업은 수익성이 낮은 문화, 교육, 복지부문의 사회기반시설을 조기에 확충함으로써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BTL사업의 공사비는 초기공사비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운영비 산정에 대한 합리적 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아 비효율적인 낮은 운영비 관리체계가 되고 있다. 저가 운영비는 사업완공 후 시설 운영시 서비스의 질을 저하할 수 있고, 사업의 성과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하수처리시설의 운영부문에 대한 실적자료를 이용하여 사업계획 초기에 운영비와 운영인력을 산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BTL사업으로 시행되는 하수처리시설의 계획시 시설 규모에 따른 개략적인 운영비 산정에 활용성을 갖을 것으로 기대되며, 타 시설물의 BTL사업 운영비 산정체계 구축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

하수관거 정비사업의 타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easibility Analysis of Sewer Rehabilitation)

  • 한인섭;장대환;우병하;임철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9-96
    • /
    • 2009
  • Feasibility which is complimented before Social Overhead Capital Project and National Policy Project is analyzed by economic and political benefits. The projects will be performed if the benefits are bigger than the project cost. In this study, feasibility was examined at various viewpoints on sewer rehabilitation projects implemented with private capitals. To achieve the feasibility analysis, the B/C (Benefit/Cost Ratio), IRR (Internal Rate of Return) and the returns ratio of the Build Transfer Lease project implemented in 2007 at W city were estimated. At the same time, the correlation with B/C and benefit sensitivity of concessionary rate fluctuation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and feasibility of the seven sewer rehabilitation projects promoted by a local autonomous entity.

공공건설공사의 기술제안형 입찰 운영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n Operation Model for Technical Proposal-Based Tender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 유일한;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36-145
    • /
    • 2008
  • 공공건설사업의 발주방식을 다양화하려는 차원에서 재정경제부는 2007년 10월 $\ulcorner$국가계약법시행령$\lrcorner$ 개정을 통해 기술제안형 입찰인 '기술제안입찰', '설계공모 기술제안입찰'을 새로이 도입하였다. 이러한 입찰은 사업의 특성 및 목적에 맞게 입찰자들에게 기술제안서를 요구한 후 이를 평가하여 낙찰자를 선정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 처음 적용되는 기술제안형 입찰제도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문헌 및 사례를 분석하여 운영모델의 틀을 구축하였으며, 이후 수차례의 전문가 자문을 통해 표준적인 운영 프로세스, 기술제안서 작성기준, 기술제안서 평가기준, 그리고 낙찰자 결정방법을 개발하였다. 발주자의 중요한 의사결정 요소인 낙찰자 결정방법은 가상 사례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기준적합최저가', '가중치', '가격조정입찰', '기술조정점수'의 4가지 낙찰방식이 갖는 정량적 인 특성과 적용기준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대형 공공공사의 적정 발주방식 선정모델 (A Project Delivery System Selection Model for Large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 현창택;서용칠;이인근;유길상;이승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71-80
    • /
    • 2000
  • 발주방식은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관계, 역할, 의무 등을 정하는 것으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정 발주 방식을 선정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주로 설계시공분리방식에 의해 대형공공공사를 수행해 왔지만, 정부에서는 일괄입찰이나 대안입찰방식을 점차 확대하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발주방식은 정책에 의해 결정하기보다는 사업목적 당해 프로젝트의 물리적인 특성, 사업수행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적정 발주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객관적인 발주방식 선정기준과 더불어 정량적으로 발주방식별 성능을 비교ㆍ평가할 수 있는 적정 발주방식 선정절차모델을 제안하였다. 발주방식 선정기준은 프로젝트 특성, 발주자 특성, 사업수행환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주방식 선정모델은 발주방식 선정 체크리스트, 발주방식 선정 매트릭스, 발주방식의 적정성 판단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