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

Search Result 45,380, Processing Time 0.061 seconds

Multi-kW Fiber Laser (고출력 Fiber Laser)

  • 한유희;전창수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4.05a
    • /
    • pp.95-96
    • /
    • 2004
  • 그동안 고출력 레이저에는 CO2 Laser, LPSSL, DPSSL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Fiber Laser가 좋은 빔특성을 가지면서 10㎾이상의 고출력이 가능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고출력 레이저는 매질의 냉각문제가 가장 큰 관건인데, Fiber Laser는 수백 $\mu\textrm{m}$의 지름을 가진 수십m 길이의 공진기 형태를 띠어 부피 대비 냉각면적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EDFA 등 광통신을 위해 개발되었던 다이오드 레이저들이 Fiber Laser쪽으로 전용되고, Side Cladding pumping 방법의 실용화, 다이오드 페이저 펌핑 광과 광섬유사이의 커플링 방법이 개발되면서 고출력 Fiber Laser 개발이 급속히 이루어졌다. (중략)

  • PDF

특집 : 올바른 신장합병증 관리를 위해 - 신증의 위험인자 '고혈압' 혈압 조절 안하면 신장 망가져

  •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 The Monthly Diabetes
    • /
    • s.261
    • /
    • pp.14-15
    • /
    • 2011
  • 고혈압이 있으면 신장병 발생률이 높아지고, 만성신장병으로 진행될수록 고혈압의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신장학회 조사에 의하면 건강한 사람의 경우 만성신장병의 발생률이 9.3%인 반면 고혈압환자에서는 21.6%가 신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고혈압이 심할수록 만성신장병의 발생가능성이 급격히 증가했다. 수축기 혈압이 120mmHg 미만인 정상인은 8.2%에서 만성신장병이 나타났으나 140mmHg(수축기혈압) 이상인 고혈압환자들은 23.1%가 만성신장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PDF

최근 연삭기술의 발전 동향

  • 이종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Engineers
    • /
    • v.10 no.1
    • /
    • pp.11-11
    • /
    • 2001
  • 최근의 기계가공품의 고정밀화 추세에 따라 연삭가동 기술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절삭가공기계들이 고속화, 고정밀화 되어가면서 과거의 연삭가공을 대체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제품의 고정밀화 요구에 따라 연삭가공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높은 생산성과 고정밀, 고품위 연삭표면을 동시에 요구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최근 연삭기술 발전동향을 연삭기, 연삭휠, 연삭기술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긴급진단 - 국내 HPAI 발생현황과 대처방안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6 no.2
    • /
    • pp.81-85
    • /
    • 2014
  • 국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이하 고병원성 AI)는 '03/'04년을 시작으로 '06/'07년과 '08년, '10/'11년 이후 그해 9월 고병원성 AI 청정국 지위를 회복했지만, 금년 1월 16일 종오리농장에서 또 다시 발생되면서 국내 5차례가 발생되었다. 정부의 발 빠른 방역활동으로 '11.5.16일을 끝으로 고병원성 AI가 종식되면서 정부는 연중 상시방역체계로 방역활동을 강화하고 AI 청정국가를 유지해 왔지만 금년 1월 16일 전북 고창 지역의 2만수 규모 종오리농장에서 고병원성 AI 발생으로 전국 단위로 이동제한 조치가 이뤄졌다. 다음은 과거 AI 발생현황 및 농가 대처방안에 대해 정리(2014.1.22일 기준)한 내용이다.

고확장성과 고가용성을 지원하는 Transport SDN 기술 동향

  • Yun, Bin-Yeong;Kim, Tae-Hong;Kim, Yeong-Hwa;Yang, Seon-Hu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7
    • /
    • pp.9-16
    • /
    • 2015
  • 본고에서는 Transport SDN의 고확장성과 네트워크 장애를 신속하게 복구하기 위한 고가용성을 제공하는 SDN 컨트롤러 구조와 데이터 플레인 장애 복구 기술 동향을 소개한다. SDN 컨트롤러 기술에 대해서는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 기반의 SDN 컨트롤러를 중심으로 확장성 및 고가용성 기술 동향을 살펴본다. 그리고 데이터 플레인에서 노드 및 경로 장애 발생 시 신속하게 경로를 복구하기 위한 보호기술과 복구기술 동향을 소개한다.

2.4W CW High-Power diffraction-limited tapered laser (2.4W CW 고출력 테이퍼드형 반도체 레이저)

  • 허두창;배형철;최상현;최원준;박용주;조운조;이정일;정지채;한일기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7a
    • /
    • pp.66-67
    • /
    • 2003
  • 고출력 반도체 레이저는 EDFA의 펌핑소스, frequency-doubling 또는 tripling을 통한 자외선 혹은 가시광선의 생성, 의료 등 많은 응용분야를 가지고 있다. 특히 테이퍼드형 반도체 레이저는 대면적 레이저 다이오드와는 달리 단일모드를 만들어내는 리지영역과 이 빔이 회절없이 전파하며 고출력을 만들어내는 이득영역으로 되어 있어 고출력의 빔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출력 발진시에도 횡적 안정성을 가지는 빔을 얻을 수가 있다. (중략)

  • PDF

저화질 방송미디어의 고품질 변환 기술 개발 현황

  • Jo, Suk-Hui;Ra, Sang-Jung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7 no.4
    • /
    • pp.23-34
    • /
    • 2022
  • 과거에 제작된 SD/HD급 미디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영상처리 기술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적용이 확산되면서 딥러닝 기반 저화질 미디어의 고품질 변환 기술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SD/HD급으로 기제작된 저화질 미디어를 FHD(Full HD)나 4K-UHD(Ultra HD) 등 고품질 시청 환경에 적합하도록 화질을 개선하여 고품질 미디어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주요 요소 기술 및 이를 적용한 고품질 변환 시스템의 개발 현황에 대하여 살펴본다.

긴급진단 - HPAI 발생에 따른 농가 당부사항(6)

  • Choe, In-Hwan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7 no.4
    • /
    • pp.107-109
    • /
    • 2015
  • 지난해 9월 4일 이동제한 조치 해제 후 9월 24일 전남 영암 육용오리 농가에서 고병원성 AI가 재 발생하였다. 최근에는 충남북에서 고병원성 AI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어 전국적으로 다시 확산되지 않도록 철저한 방역이 절실히 요구되는 때이다. 또한, 미국, 인도, 베트남 등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했다는 OIE의 긴급보고가 있었다. 고병원성 AI 발생에 따른 농가 지침사항을 알아보자.

고출력 전력 증폭기의 선형화 기술

  • 하성재;홍의석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29 no.4
    • /
    • pp.39-47
    • /
    • 2002
  • 기존의 아날로그 통신 방법이 디지털 통신 시스템으로 바뀌면서 신호 전송방법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기기 중에서 통신 품질과 장비의 효율을 결정하는 고출력 전력증폭기는 기존의 전력증폭기에 비하여 더욱더 많은 기술들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고출력 증폭기의 고유한 특성들과 이를 보상할 수 있는 선형화기술들에 관하여 고찰하고 이러한 기술의 동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 PDF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Related Risk Factors of the Older Residents in Andong Rural Area (안동 농촌지역 중년 및 노인 주민의 고혈압 유병율과 위험요인 분석)

  • Lee, Hye-Sang;Kwun, In-Sook;Kwon, Ch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8 no.7
    • /
    • pp.852-861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from Jan/2003 to Feb/2003. The subjects were 1,296 people (496 males, 800 females) aged 40 years and over living in Andong rural area. The hypertensive group was composed of 602 people (272 males, 330 females), who were diagnosed as hypertension ($SBP{\geq}140\;mmHg$ or $DBP{\geq}90\;mmHg$) for the first time at this health examination. The mean anthropometric values of body weight, body fat (%), body mass index (BMI)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ypertensive group than those in normal group. However, the biochemical measurements such as total-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HDL-C, LDL-C and fasting blood glucose (FBG) level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except TG in female. The risk factors of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were analyzed using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d expressed as odds ratio (OR) and 95% confidential interval (CI). The results showed that age, sex, obesity, waist circumference, alcohol drinking and meat intakes were risk factors for hypertension. In contrast, cigarette smoking, exercise and the increased fish, fruit and vegetable (except Kimchi) consumption, blood lipid levels and FBG were not linked with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Nutrient intakes were not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either. In conclusion, we cannot assert that this study established the existence of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 intakes and risk of hypertension in the subjects, but it does suggest that this is a question worth investigating further using a larger scale of case-control study to determine how the past exposure to some nutrient or dietary component rela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