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후지' 사과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31초

모용(毛茸)이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 발생(發生)과 병원균(病原菌)의 감염(感染)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pple Leaf Hair Density on the Occurrence and Infection of Alternaria Leaf Spot Caused by Alternaria mali Roberts)

  • 윤재탁;이준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5-249
    • /
    • 1987
  • 사과품종별(品種別)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발병(發病)과 잎의 모용(毛茸) 발생정도(發生程度)를 조사(調査)하고 사과나무 잎의 부위별(部位別) A. mali의 침입정도(浸入程度)와 모용(毛茸)이 병원균(病原菌)의 침입(浸入)과 감염(感染)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 mali의 이병정도(罹病程度)에 따른 사과나무 품종(品種)의 분포(分布)는 이병엽율(罹病葉率)이 50.1% 이상(以上)되는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을 조사(調査)한 82품종(品種) 중(中) 15개품종(個品種)(18.3%) 이었으며 주요(主要) 품종(品種)은 나리탄, 인도(印度), 왕령(王令), 스라크림숀, 스카이스파, 아오리 3호 등(等)이었고 이병엽율(罹病葉率)이 50% 이하(以下)되는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이 51개품종(個品種)(62.2%)이었는데 주요품종(主要品種)은 홍옥(紅玉), 무쓰, 모리쓰, 조나골드, 쓰가루, 가라, 골덴, 후지, 스파어리브레이즈 등(等)이었으며, 주요품종(主要品種)들의 엽당병반수(葉當病斑數)도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보다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에서 많았다. 이병성품종군중(罹病性品種群中)에서 이병엽율(罹病葉率)이 6월(月)에 20%, 이상(以上)되어 8월(月)에 70% 이상(以上)되는 품종(品種)이 와인삽, 아오리 3호, 스카이스파, 왕령(王令) 등(等)과 6월(月)에는 5% 이상(以上) 되었다가 8월(月)에 70% 이상(以上)되는 품종(品種)이 라리단, 스타크림숀, 인도(印度) 등(等)으로 구분(區分)되었다. 품종별(品種別) 잎에 모용발생정도(毛茸發生程度)는 이병성(罹病性) 품종군(品種群)에서 보다 저항성품종군(抵抗性品種群)에서 대체(大體)로 많았고 동일(同一) 품종(品種)잎에서 모용무제거부위(毛茸無除去部位)보다 모용제거부위(毛茸除去部位)에서 감염율(感染率)이 높은 것으로 보아 잎의 모용(毛茸)은 품종(品種) 저항성(抵抗性) 요인(要因)으로 추정(推定)되었으며 A. mali의 침입(浸入)과 감염(感染)은 잎의 표면(表面)보다 이면(裏面)에서 용이(容易)하였다.

  • PDF

고농도 $CO_2$와 Ascorbic acid 처리가 신선절단 사과의 갈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with High $CO_2$ Concentration and Ascorbic acid on Browning of Fresh-cut 'Fuji' Apples)

  • 김선영;조정석;정문철;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75-480
    • /
    • 2011
  • 신선절단 '후지' 사과의 고품질 유지를 위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고농도 $CO_2$와 ascorbic acid 처리가 저장 중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사과(대조구)와 고농도 $CO_2$를 처리한 사과를 8조각으로 절단하여($CO_2$ 단일처리구) 1% ascorbic acid에 1분 동안 침지($CO_2$와 ascorbic acid 병용처리구), $CO_2$ 처리 없이 ascorbic acid에 침지(ascorbic acid 단일처리구)를 0.03 mm polypropylene 필름에 밀봉 포장하여 $10^{\circ}C$에 저장하면서 품질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CO_2$ 단일처리구와 $CO_2$와 ascorbic acid 병용 처리구에서 갈변도의 변화율이 가장 낮았다. $CO_2$를 처리하지 않은 구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조직이 무르거나 갈색반점이 발생하는데 반해 $CO_2$ 처리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나 pH, 포장 내 기제 조성 등에서는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총균수는 $CO_2$ 단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총균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저장 7일차부터 모든 처리구에서 급격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고농도 $CO_2$ 처리는 단일처리거나 ascorbic acid와의 병용처리는 신선절단 사과의 갈변과 연화 저해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M.7 사과 대목이 고밀식 '후지' , '홍로' , '산사' 사과나무의 생산량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7 Apple Rootstock on Productivity and Fruit Quality of High Density 'Fuji', 'Hongro' and 'Sansa' Apple Trees)

  • 권영순;김정희;사공동훈;박종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9-252
    • /
    • 2023
  • Most apple trees in South Korea are grafted on M.9 and M.26 rootstocks; however, these rootstocks are susceptible to fire blight. Although M.7 rootstocks are moderately resistant to fire blight, they tend to exhibit excessive vigor, which is unsuitable for high-density planting, unless weak cultivars are us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egetative growth, yield, and fruit quality of apple trees grafted onto M.7, M.9, or M.26 rootstocks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high-density apple orchards domestically using the M.7 rootstock a period of seven years (1-7 years after planting). Rootstocks were tested using three cultivars with contrasting induced vigor and harvesting times: vigorous and late-maturing 'Fuji,' moderate vigor and middle-maturing 'Hongro,' and low vigor and early-maturing 'Sansa.' The planting density was maintained constant, with 190 trees per 10 a. Primary thinning (leaving only the king fruit on clusters) was performed, whereas secondary thinning (controlling crop load) was not. Vegetative growth, accumulated yield per 10 a, and yield efficiency varied depending on cultivars and rootstocks; however, the cultivars had a more notable effect on fruit quality than the rootstocks. Biennial bearing often occurred in the M.26 rootstock. 'Fuji'/M.7 was overly vigorous for high-density planting. The fruit quality and accumulated yield per 10 a of M.7 were similar to those of M.9 with the 'Hongro' and 'Sansa' cultivars. In particular, 'Hongro'/M.7 did not show tree vigor reduction due to heavy crop load, and the degree of biennial bearing in 'Sansa'/M.7 was not particularly high.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high-density apple planting using the M.7 rootstock was achievable using the 'Hongro' and 'Sansa' cultivars.

근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후지사과의 결점 검출에 관한 연구 (I) -결점의 광학적 특성 구명 및 유의파장 선정- (Defect Detection of ‘Fuji’ Apple using NIR Imaging(I) -Optical characteristics of defects and selection of significant wavelelength-)

  • 이수희;노상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6권2호
    • /
    • pp.169-176
    • /
    • 2001
  • Defect of apple was depreciated the product value and causes storage disease seriously. To detect the defect of ‘Fuji’apple with machine vision system,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defect should be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absorbance spectra of defect were acquired by spectrophotometer in the range of visible and NIR region(400∼1,100nm) and L*a*b* color values were also acquired by colorimeter. NIR machine vision system was constructed with B&W camera, frame grabber, 16 tungsten-halogen lamps, variable focal length lens and NIR bandpass filter which was mounted to lens outward. Average gray values of defect at 15 NIR wavelength were acquired and the significant NIR wavelength was selected by comparing Mahalanobis distance between sound and defective apple. As the result of Mahalanobis distance analysis, the significant wavelength to discriminate the defectives in ‘Fuji’apple were found to be 720nm for scab and 970nm for bruise and cuts and 920nm was also effective regardless of defective types.

  • PDF

대구시(大邱市) 인근 3지역(地域) 사과 '후지'의 과실품질(果實品質) 비교(比較) (Comparison of Fruit Quality of Apple 'Fuji' Produced in Different Three Areas in Taegu)

  • 신영범;차은경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5권
    • /
    • pp.33-38
    • /
    • 1997
  • 산지(영천군 청통면 신원리), 평지(영천군 신령면 연정리) 강변지(영천군 금호읍 냉천동)의 과수원에서 각각 '후지'과실을 채취하여 대구시 인근의 과실품질을 조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지역 공히 품질이 평균적인 과실을 채취하였고 강변지 과실 중량이 40g정도 작았고, 과실종경 최소치가 다른 지역에 비해 작았다. 평지 과실의 횡경은 최대치, 최소치 모두 산간지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과형지수는 강변지 과실이 다른 지역에 비해 편원형이었다. 이러한 과형의 차이는 온도, 토양수분함량 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과실 착즙률은 각 지역간 유의한 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2. 각 지역 공히 후지과실 전당의 50%정도가 프락토즈인 것으로 나타났고, 산지의 슈크로즈, 프락토즈, 솔비톨 함량이 다른지역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글루코즈는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당도는 전당함량과 거의 같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3. 각 지역 공히 후지과실 전산의 98% 정도가 능금산이었고 시트르산이 2%를 차지하였다. 산지과실의 능금산 함량이 다른지역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적정산은 전산함량과 거의 같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 PDF

비천공 Breathable필름이 몇 가지 저장온도에서 '후지' 사과의 MA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on-Perforated Breathable Films on the Storability of 'Fuji' Apples in Modified Atmosphere Condition in the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

  • 최인이;홍성미;정민재;백준필;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0-64
    • /
    • 2014
  • '후지' 사과의 MA 저장성 향상을 위해 저장 온도별로 적합한 비천공 breathable 필름 종류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장중 생체중 감소율은 모든 저장온도의 비천공 breathable 필름 처리구에서 저장 최종일까지 약 2.0% 이하를 나타냈다. 포장내 대기조성으로 볼 때 $1^{\circ}C$에서 1,300cc 필름, $8^{\circ}C$에서 5,000cc 필름, 그리고 $20^{\circ}C$에서 10,000cc 필름이 최적 MA 조건에 가장 근접하였다. 저장 중 포장내 에틸렌 농도는 모든 저장온도에서 산소 투과도가 가장 높았던 40,000cc 필름 처리구가 낮게 유지되었다. 저장 최종일의 $1^{\circ}C$ 1,300cc 필름이 당도, 비타민 C 함량, 그리고 외관 품질이 우수하였고, $8^{\circ}C$ 5,000cc 필름이 당도와 이취 정도가 양호하였으며, 그리고 $20^{\circ}C$ 10,000cc 필름이 경도와 외관상 품질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포장내 대기조성과 과실의 내외적 품질을 비교한 결과 '후지' 사과의 MA 저장시 $1^{\circ}C$는 1,300cc 필름, $8^{\circ}C$는 5,000cc 필름, 그리고 $20^{\circ}C$에서는 10,000cc 필름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수확 전·후 1-MCP처리가 '후지' 사과의 저온저장 중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harvest and Postharvest 1-Methylcyclopropene (1-MCP) Treatments on Fruit Quality Attributes in Cold-stored 'Fuji' Apples)

  • 유진기;강봉국;이진욱;김대현;이동훈;정희영;최동근;정명근;최인명;강인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4호
    • /
    • pp.542-549
    • /
    • 2015
  • 본 연구는 수확 전 수체살포용 1-MCP($Harvista^{TM}$)와 수확 후 훈증용 1-MCP($SmartFresh^{TM}$) 처리가 '후지' 사과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Harvista^{TM}$ 처리는 수확 1, 2, 3주전 0, 95, 125, $250mg{\cdot}L^{-1}$ 농도로 각각 처리하였으며, $SmartFresh^{TM}$ 처리는 수확 1일 후 밀폐된 공간에서 $1{\mu}L{\cdot}L^{-1}$의 농도로 18시간동안 처리하였다. 과실저장은 $0{\pm}1^{\circ}C$ 조건에서 180일간 저장하였다. $Harvista^{TM}$ 처리에 따른 수확 시 과실품질을 보면 과중, 과피 적색도, 내생에틸렌 발생량, 경도, 산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다. 저온저장동안 '후지' 사과의 품질변화를 보면 $Harvista^{TM}$$250mg{\cdot}L^{-1}$의 농도로 2, 3주전에 처리한 과실이 무처리구에 비하여 과실 경도 및 산 함량이 더 높게 유지되었으며, 내생에틸렌 발생량도 무처리구에 비하여 5.5-10.0% 수준으로 현저히 낮았다. 그리고 저장기간 중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Harvista^{TM}$ 단독처리와 $Harvista^{TM}+SmartFresh^{TM}$ 혼용처리구는 경도, 산 함량, 내생에틸렌 발생량 모두 저장 180일 후에도 수확 시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과실품질이 유지되었다. 요인간 상관분석은 $Harvista^{TM}$ 처리시 처리농도와 무관하게 내생에틸렌 발생량이 경도 또는 산 함량과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Harvista^{TM}+SmartFresh^{TM}$ 혼용처리 시 $Harvista^{TM}$ $250mg{\cdot}L^{-1}$$SmartFresh^{TM}$ 처리가 변수간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수확 후 $SmartFresh^{TM}$처리에 의한 과실품질유지 효과와 함께, 고 농도의 $Harvista^{TM}$처리 또한 저온저장 중 과실품질 유지에도 큰 효과를 보였다.

'후지' 사과의 우량 측지묘/M.9 EMLA를 이용한 밀식재배원의 조기 생산성 평가 (Evaluation of Early Productivity of High Density 'Fuji' Apple Orchards by Planting Well-feathered Trees/M.9 EMLA)

  • 양상진;박무용;송양익;사공동훈;윤태명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374-380
    • /
    • 2010
  • '후지'/M.26 회초리묘(직경 10mm)는 $4.0{\times}2.0$m, '후지'/M.9 EMLA 우량 측지묘(측지 수 5.2, 직경 13mm)는 $4.0{\tiems}1.5$m로 심어 세장방추형으로 키우면서 재식 6년 차까지의 생산성 및 수량효율을 비교하였다. M.9 EMLA 우량 측지묘 재식의 경우 재식 2년차에 이미 주당 수관용적이 $2.07m^3$에 달하였고 4년차에 $2.9m^3$의 성목 수관에 도달하였으나 M.26 회초리묘목 재식의 경우 초기 1-2년은 생육속도가 느리다가 3년차부터 수관용적이 빠르게 증가하여 5년차에야 주어진 공간을 채우는 수관용적 $5.6m^3$에 도달하였다. 10a당 수량에 있어 M.9 EMLA는 재식 2년차에 0.3톤의 사과 수확을 시작으로 5년차 4.6톤으로 성과기에 도달하였으나, M.26의 경우 3년차에 처음으로 0.5톤의 사과를 수확하기 시작하여 6년차에도 수확량이 3.8톤에 그쳤다. 재식 6년차까지의 누적생산량은 M.9 EMLA 측지묘목 재식은 13.9톤인 반면에 M.26 회초리 묘목 재식은 9.8톤에 불과하였다. 6년간 평균과중은 M.9 EMLA 308g으로 M.26의 295g에 비해 무거웠다. 결론적으로 M.9 EMLA와 같은 왜화도가 높은 대목을 이용하고 우량 측지묘를 심어 고밀식으로 재배하는 것이 M.26 대목의 회초리 묘목을 넓게 심어 재배하는 관행재배보다 2년차부터 수확이 가능하여 5년차에는 성과기에 도달하는 조기 다수확이 실현되고, 수량효율성도 높아 우월한 재배체계로 판단되었다.

특 등급 품질 후지사과 선도유지를 위한 플라스틱 용기 포장 효과 연구 (Applications of Functional Tray Form Packaging to Extend the Freshness of High-Quality 'Fuji' Apples)

  • 정대성;이윤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17-823
    • /
    • 2009
  • 특 등급 품질 후지사과의 상온 저장에서의 호흡율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형적인 climacteric형 패턴을 보여 주었으며 저장 유통 중 선도유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LDPE 필름을 밀봉한 난좌형태의 포장 구조를 설계하여 저장 온도에 따른 품질 변화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본 실험 연구 결과 필름 밀봉 용기 포장 적용이 관행 난좌보다 신선도 유지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LDPE 필름 덮개로 밀봉한 난좌형태의 용기 포장은 낱개의 난좌컵 형태에 과실을 적용함으로써 포장된 과실의 호흡작용과 증산억제를 유도하여 신선도를 유지하는 MA 조건을 가졌음을 나타낸다. 우수 품질 과실에 대한 차별화된 포장재 용기 적용 연구는 기존 과실 포장재로 닥터의 품질 개선 및 상품성 효과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