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그리고'

Search Result 82,769, Processing Time 0.086 seconds

Implementation of Secure Role Based Access Control System on the WWW (WWW에서 안전한 역할 기반 접근 제어 시스템 구현)

  • 이희규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0 no.1
    • /
    • pp.65-75
    • /
    • 2000
  • 역할 기반 접근 제어(RBAC: Role Based Access Control)는 각 시스템 자원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접근 제어 기술이다. 거대한 네트워크에서 보안 관리의 복잡성과 비용을 줄여주는 기능 때문에, 특히 상업적인 분야에서 더욱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RBAC 역할 계층 구조 개념만을 사용할 경우의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연산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와 권한(pemission)을 간접적으로 연관시킴으로써, RBAC 관리자가 사용자마다 연산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하였고 직관적인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관리자가 쉽게 사용자 역할, 그리고 연산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RBAC 시스템을 설계하고 대학의 종합정보 시스템을 모델로 구현하였다.

NIST 암호 표준화 공모전 동향

  • Kim, Hyeon-Jun;Park, Jae-Hun;Gwon, Hyeok-Dong;Seo, Hwa-Jeong
    • Review of KIISC
    • /
    • v.30 no.6
    • /
    • pp.117-123
    • /
    • 2020
  • NIST에서는 앞으로 다가올 사물인터넷 환경과 양자 컴퓨터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2019년부터 경량암호 표준화 공모전을 그리고 2017년부터 양자내성암호 표준화 공모전을 각각 진행해 오고 있다. 경량암호 표준화 공모전은 경량 블록암호 운영 모드를 통해 저전력 사물인터넷 환경 상에서 높은 가용성을 만족하는 암호 개발을 그리고 양자내성암호 표준화 공모전은 양자컴퓨터 상에서의 양자알고리즘으로부터 안전한 공개키 암호 개발을 각각 목표로 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차세대 암호의 표준화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NIST 경량암호 그리고 양자내성암호 표준화 공모전 동향을 상세히 확인해 보도록 한다.

해외판매법인의 현지유통경로선택에 관한 연구 -삼성전자와 LG전자의 해외판매법인을 중심으로-

  • 이장로;박범수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 no.4
    • /
    • pp.152-17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의 해외 판매법인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현지유통경로선택시 시장요인과 제품요인 그리고 경쟁 포지셔닝에 따라 초래되는 특성들과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요인별 현지유통경로선택에서의 차이분석에서는 경쟁 포지셔닝에 따른 현지 유통경로 선택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시장요인과 제품요인, 그리고 제품 포지셔닝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두 기업이 아직 현지시장 적응정도가 낮고, 제품은 차별화 되지 않았음을 시사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기업수준에서의 요인별 분석에서는 삼성전자의 경우, 제품요인과 TV부문의 시장요인, 제품 포지셔닝에 따른 현지유통경로 선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전자레인지 부문에서는 요인별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LG전자는 삼성 전자와는 달리 현지 유통경로 선택에서 어떤 유의한 차이도 발견되지 않았다.

  • PDF

An Extracting Technique of Join Expressions of Aspects Using The Join Information Matrix (결합정보 매트릭스를 활용한 애스펙트 결합식 추출 기법)

  • Yunseok Choi;Kiwon Cho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8.11a
    • /
    • pp.488-491
    • /
    • 2008
  • 관점지향 프로그래밍은 횡단관심사를 애스펙트로 모듈화 하여 시스템의 개발 용이성, 재사용성 그리고 확장성을 향상시킨다. 이에 관점지향 프로그래밍 적용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애스펙트를 효율적으로 개발하는 기법 관련 연구가 보다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애스펙트의 교차점을 구성하는 핵심요소인 결합식 추출을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결합정보 매트릭스 작성, 결합식 작성, 그리고 결합식 정제 및 확인으로 구성한 워크플로우를 수행하여 결합정보 매트릭스와 패키지 트리를 작성하고, 결합점명 패턴의 공통성을 분석하여 애스펙트 교차점의 결합식을 추출한다. 추출한 결합식은 결합점의 패키지명, 클래스명, 그리고 메소드명 패턴의 공통성을 반영하며, 기법의 산출물은 애스펙트 결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Smart Design for Simulation Based Al

  • 조형욱
    • Information Display
    • /
    • v.24 no.6
    • /
    • pp.3-10
    • /
    • 2023
  • 지금까지 시물레이션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디스플레이 응용 프로그램이 소개하였다. AI와 시뮬레이션 기술이 어떻게 융합되어 적용되는지, 그리고 디스플레이 연구 및 개발 분야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설명하였다. [11, 12] 앞서 언급한 대로, 최근 하드웨어의 발전 속도는 매우 빠르며, 이러한 발전은 비용 절감과 함께 고성능 하드웨어에 접근하는 것이 매우 쉬워지고 있다. 게다가, 디스플레이 산업의 역사를 통해 40년 이상 누적된 방대한 양의 관련 데이터가 존재한다. 그리고 수학적 물리학의 발전과 함께 거의 모든 주요 방정식에 대한 수치 해석 모델이 개발되고 있다. 지금은 디스플레이 분야의 전문가들이 대학과 대학원에서 공부한 관련 지식에만 국한되지 않다. 이제는 이렇게 빠르게 발전하는 하드웨어 기술, 물리학과 수학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과학, 그리고 디스플레이 분야 지식을 조화롭게 결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융합 기술을 사용하여 디자인 최적화가 이루어져야만 앞으로 시장에서 성공할 제품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산 선발 계통, 일본산 양식 계통 그리고 이들 두 계통간 잡종 참돔 집단의 암모니아성 질소 배설 및 분 배출

  • 오승용;노충환;홍경표;김종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00-100
    • /
    • 2003
  • 양식 산업에 있어 사육 생물의 빠른 성장은 가장 요구되는 특성이다. 특히, 선발육종을 통한 성장 개선은 사료의 효율적 이용과 연관되어 있으며, 균형 잡힌 단백질 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경골어류는 단백질 대사의 마지막 부산물로 암모니아를 생성하여 배설하며, 이를 통한 사료 내 단백질의 효율적 이용성을 비교하는 척도로 제시되어 왔다(Ming, 1985).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선발육종 해 온 참돔과 일본 양식산 참돔 및 이들의 교배 자손들을 대상으로 일간 먹이 공급, 절식 그리고 1회 만복 공급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 배설률을 조사하였으며, 일간 먹이 공급에 따른 각 교배 자손들의 분 배출 특성을 알아보았다. 실험어는 일본 양식산인 JPN 교배구 자손과 한국해양연구원 선발육종산인 KORDI F4 교배구 자손, 그리고 JPN$\times$KORDI F4♂ 교배구 자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체중이 각각 17.1$\pm$0.1 g (JPN 교배구; 그룹 1), 17.7$\pm$0.1 g (JPN♀$\times$KORDI F4♂; 그룹 2), 21.5$\pm$0.1 g (KORDI F4; 그룹 3)인 참돔 치어를 각각 15마리씩 3반복 수용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어는 지름이 33 cm이고 높이가 34 cm인 둥근 투명 플라스틱 수조에 수용하고 분 수집기인 TUF column (passing effluent water through a special test tube) system을 이용 어체중의 3%에 해당하는 사료 량을 일간 세 번에 나누어 동일량을, 09시부터 17시까지 4시간 간격으로 공급한 14일째에 일간 먹이 공급에 따른 24시간 동안의 참돔 종간 잡종 치어의 총암모니아성 질소(total ammonia nitrogen, TAN) 배설률 및 분 배출률을 조사하였다. 이 조사가 끝난 후 3일간 절식시킨 다음 내인성 암모니아성 질소 배설을 조사하였으며, 이어서 1회 만복 사료 공급한 다음 이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 배설 경향을 알아보았다. 일간 먹이 공급에 따른 각 실험구의 암모니아 배설은 세 가지 계통 참돔치어 모두 먹이 섭취 후 암모니아 배설로 인한 TAN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시간당 TAN 배설률을 적분한 결과, 그룹 1과 2 그리고 3의 일간 TAN 배설률은 각각 637.3$\pm$36.5 mg/kg fish/day, 684.3$\pm$18.5 mg/kg fish/day 그리고 772.8$\pm$17.3 mg/kg fish/day로 나타나 그룹 3의 일간 TAN 배설률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3일간 절식 후 그룹 1, 2, 그리고 2의 TAN 배설률은 각각 8.08~14.15 mg/kg fish/hr, 6.50~12.20 mg/kg fish/hr, 그리고 6.67~8.60 mg/kg fish/hr의 범위를 보여 거의 일정한 농도로 나타났다. 시간당 TAN 배설률을 적분한 결과, 그룹 1, 2 그리고 3의 일간 TAN 배설률은 각각 286.9$\pm$28.3 mg/kg fish/day, 215.7$\pm$5.5 mg/kg fish/day 그리고 179.3$\pm$7,7 mg/kg fish/day로 나타나 먹이 공급과는 달리 내인성 TAN 배설의 경우 그룹 1의 배설률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1회 만복 먹이 공급에 따른 TAN 배설 경향은 그룹 1과 2의 TAN 배설률은 먹이 공급 6시간 후 가장 높은 값인 44.19$\pm$2.90 mg/kg fish/hr와 41.70$\pm$1.40 mg/kg fish/hr을 보였고, 그룹 3에서는 4시간 후에 가장 높은 값인 31.23$\pm$1.39 mg/kg fish/day로 나타났다. 일간 먹이 공급에 따른 각 실험구의 총 분 배출량은 그룹 1의 경우 총 분 배출량은 2.17$\pm$0.1 g/kg fish와 91.15$\pm$4.53 g/kg feed로 나타났고, 그룹 2에서는 2.26$\pm$0.14 g/kg fish와 95.02$\pm$3.18 g/kg feed, 그룹 3에서는 2.81$\pm$0.73 g/kg fish와 132.85$\pm$34.0 g/kg feed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P>0.05), 그룹 3의 배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 경과에 따른 분 배출 비율은 그룹 1의 경우 먹이 공급 24시간 후 총 분의 60.6%를 보여 반면, 그룹 2와 3에서는 각각 67.8%와 77.8%를 보여 그룹 1이 다른 그룹에 비해 분 배출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ntrol of Kimchi Fermentation by the Addition of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Originated from Plants (식물유래 천연항균물질 첨가에 의한 김치의 발효조절)

  • Seo, Hyun-Sun;Kim, Seonhwa;Kim, Jinsol;Han, Jaejoon;Ryu, Jee-Hoo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5 no.5
    • /
    • pp.583-589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delay of kimchi fermentation by the addition of plant extracts. Fifteen plant extracts were screened for inhibitory activity aginst Lactobacillus plantarum by using an agar well diffusion assay, and determined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minimal lethal concentration (MLC) were determined. The lowest MIC for grapefruit seed extract (GFSE; 0.0313 mg/mL) was determined, followed by Caesalpinia sappan L. extract (CSLE; 0.25 mg/mL), and oregano essential oil (OREO; 1.0 mg/mL). GFSE, CSLE, and OREO were individually added to kimchi, and incubated the samples at 10 for up to 20 days. Result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GFSE (0.3 and 0.5%), CSLE (0.1, 0.3, and 0.5%), or OREO (0.5 and 1.0%)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H of kimchi, and also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numbers of lactic acid bacteria. Taken together, the addition of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can delay kimchi fermentation.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Body Weight on Oxygen Consumption Rate of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산소 소비율에 미치는 수온과 체중의 영향)

  • Oh, Sung-Yong;Noh, Choong Hwan;Myoung, Jung-Goo;Jo, Jae-Yoon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19 no.1
    • /
    • pp.1-7
    • /
    • 2007
  • The effect of water temperature (T) and body weight (W) on the oxygen consumption of the fasted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was investigated to provide empirical data for the culture management and bioenergetic growth model of this species. The mean wet body weights of two fish groups used for the present experiment were $12.9{\pm}2.7g$ ($mean{\pm}SD$) and $351.1{\pm}9.2g$. The oxygen consumption rate (OCR) was measured under three water temperature regimes (15, 20 and $25^{\circ}C$) at an interval of 5 minutes for 24 hours using a continuous flow-through respirometer. In each treatment three replicates were set up and 45 fish in small size groups and 6 fish in large size groups were used. The OCRs increased with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in both size groups (p<0.001). Mean OCRs at 15, 20 and $25^{\circ}C$ were 414.2, 691.5 and $843.8mg\;O_2\;kg^{-1}h^{-1}$ in small size groups, and 182.0, 250.7 and $328.2mg\;O_2\;kg^{-1}h^{-1}$ in large size groups, respectively. The OCRs decreased with increasing body weights in three water temperature groups (p<0.001). The mass effect on metabolic rate can be expressed by the power of 0.69~0.75. The data are best described by the relationship: OCR=89.12+28.79T-1.17W. $Q_{10}$ values ranged 1.90~2.79 between 15 and $20^{\circ}C$, 1.49~1.71 between 20 and $25^{\circ}C$, and 1.80~2.03 over the full temperature range, respectively. The energy loss by metabolic cost increased with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and decreasing body weight (p<0.001). Mean energy loss rates by oxygen consumption at 15, 20 and $25^{\circ}C$ were 282.9, 472.3 and $576.3kJ\;kg^{-1}d^{-1}$ in small size groups and 124.3, 171.3 and $224.1kJ\;kg^{-1}d^{-1}$ in large size groups, respectively.

Characteristics of Salt Adsorption by Calcium Alginate Beads (칼슘알긴산비드에 의한 염분의 흡착특성)

  • 방병호;서정숙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5 no.2
    • /
    • pp.89-96
    • /
    • 2002
  •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sodium chloride into Ca-alginate beads have been investigated and the result were as follows: Sodium chloride uptake by Ca-alginate beads increased with time. The highest uptake volume of sodium chloride was 4.2g after 10 minutes. The uptake volume by Fe, Ca, Ba, and Sr-alginate beads was 5.6g, 4.2g, 4.2g and 4.0g, respectively but in case of Fe-alginate beads, the induced hydrogel beads were very fragile and the strength of Fe-alginate beads were weaker than Ca- and Ba-alginate beads. Mg-alginate bead was not formed and Ca-, Ba- and Sr-alginate beads had a similar uptake volume about 4.2g, respectively. The uptake volume of sodium chloride by CaCl$_2$concentration(0.1M. 0.2M and 1M), curing solution, was 4.8, 4.2g and 4.1g, respectively. The uptake volume by sodium alginate concentration(0.6%, 1% and 2%) was 2.8g, 4.0g, and 4.4g, respectively and Ca-alginate bead size was not effected in uptake sodium chloride. The uptake rate on initial sodium chloride concentration(4%, 8%, 12% and 16%) was 30%, 28%, 27% and 25%, respectively. The uptake rate on basic pH(10.0) was higher than when compared to other neutral pH(6.8) and acidic pH(4.0). The initial uptake velocity of sodium chloride from immobilization beads with salt resistant bacteria was lower than that of non-immobilization beads. The uptake rate of sodium chloride was decreased according to elongation of curing time. Reusability of Ca-alginate beads was possible but according to reutilization, the salt uptake volume of beads was also decreased. The uptake volume of sodium chloride from Doengjang by Ca-alginate beads on time course(3, 6, 12, and 24 hour) was revealed 5g, 6g, 7g and 7g, respectively.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Ammonia Excretion of Juvenil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대구 Gadus macrocephalus 치어의 암모니아 배설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 Oh, Sung-Yong;Park, Heung-Sik;Noh, Choong-Hwan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2 no.3
    • /
    • pp.147-153
    • /
    • 2010
  • A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daily pattern and rate of total ammonia nitrogen (TAN) excretion in juvenil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mean body weight: $36.5{\pm}0.8\;g$) under fasting and feeding conditions. Fish were acclimated over 10 days under three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9, 11 and $13^{\circ}C$), and transferred to TAN measuring system under each water-temperature condition. After 72 hours of starving, fasting TAN excretion was measured at each temperature. To investigate post-prandial TAN excretion, fish were hand-fed with a commercial diet containing 40.6% crude protein for 7 days, two times daily at 08:00 and 16:00 h. Water was sampled from both the inlet and outlet of the fish chamber every 2 h over a 24-h period. Both fasting and post-prandial TAN excretion increased with increased water temperatures (p<0.05). Mean fasting TAN excretion rates at 9, 11 and $13^{\circ}C$ were 9.3, 11.0 and $11.9\;mg\;TAN\;kg\;fish^{-1}\;h^{-1}$, respectively. The value of $9^{\circ}C$ was lower than those of 11 and $13^{\circ}C$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1^{\circ}C$ and $13^{\circ}C$. Mean post-prandial TAN excretion rates at 9, 11 and $13^{\circ}C$ were 23.0, 31.6 and $45.4\;mg\;TAN\;kg\;fish^{-1}\;h^{-1}$, respectively. A peak value of post-prandial TAN excretion rate occurred after 2 h from each feeding, and the second value is always higher than the first value. Maximum post-prandial TAN excretion rate occurred after 10 h from the first feeding at $9^{\circ}C$ (mean $38.0\;mg\;TAN\;kg\;fish^{-1}\;h^{-1}$), $11^{\circ}C$ ($52.9\;mg\;TAN\;kg\;fish^{-1}\;h^{-1}$) and $13^{\circ}C$ ($77.5\;mg\;TAN\;kg\;fish^{-1}\;h^{-1}$), respectively. The TAN loss for ingested nitrogen at $9^{\circ}C$ (43.9%) was lower than those of $11^{\circ}C$ (46.4%) and $13^{\circ}C$ (48.4%). The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water temperature exhibit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nitrogen excretion of juvenile Pacific c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