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_{\omega}$

검색결과 506건 처리시간 0.027초

질소 분극면을 갖는 N형 질화물반도체의 접촉저항 감소를 위한 산소 플라즈마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f Oxygen Plasma Effects to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of n-type GaN with Nitrogen Polarity)

  • 남태양;김동호;이완호;김수진;이병규;김태근;조영창;최연식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13
    • /
    • 2010
  • 본 논문은 N-face n-type GaN 표면에 산소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서 오믹전극과 접촉 저항을 낮추기 위한 연구를 하였다. 120초 산소 플라즈마 처리후 Ti (50 nm) / Al (35 nm)을 증착한 결과 오믹 전극을 구현하였으며, $1.25{\times}10^{-3}\;{\Omega}cm^2$의 접촉저항을 보였다. 이는 산소 플라즈마 처리가 기존의 플라즈마 처리와 같이 질소결원이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쇼트키장벽 높이(SBH)이 낮아지게 되었고, 오믹 전극및 플라즈마 처리를 안 한 경우보다 더 낮은 접촉저항의 결과를 획득하였다.

Ramlibacter ginsenosidimutans sp. nov., with Ginsenoside-Converting Activity

  • Wang, Liang;An, Dong-Shan;Kim, Song-Gun;Jin, Feng-Xie;Kim, Sun-Chang;Lee, Sung-Taik;Im, Wan-Tae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3호
    • /
    • pp.311-315
    • /
    • 2012
  • A novel ${\beta}$-proteobacterium, designated BXN5-$27^T$, was isolated from soil of a ginseng field of Baekdu Mountain in China, and was characterized using a polyphasic approach. The strain was Gram-staining-negative, aerobic, motile, non-spore-forming, and rod shaped. Strain BXN5-$27^T$ exhibited ${\beta}$-glucosidase activity that was responsible for its ability to transform ginsenoside $Rb_1$ (one of the dominant active components of ginseng) to compound Rd.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showed that this strain belonged to the family Comamonadaceae; it was most closely related to Ramlibacter henchirensis $TMB834^T$ and Ramlibacter tataouinensis$TTB310^T$ (96.4% and 96.3% similarity, respectively). The G+C content of the genomic DNA was 68.1%. The major menaquinone was Q-8. The major fatty acids were $C_{16:0}$, summed feature 4 (comprising $C_{16:1}$ ${\omega}7c$ and/or iso-$C_{15:0}$ 2OH), and $C_{17:0}$ cyclo. Genomic and chemotaxonomic data supported the affiliation of strain BXN5-$27^T$ to the genus Ramlibacter. However,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tests differentiated it phenotypically from the other established species of Ramlibacter. Therefore, the isolate represents a novel species, for which the name Ramlibacter ginsenosidimutans sp. nov. is proposed, with the type strain being BXN5-$27^T$ (=DSM $23480^T$ = LMG $24525^T$ = KCTC $22276^T$).

W-C-N 확산방지막의 전자거동(ElectroMigration) 특성과 표면 강도(Surface Hardness)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Electomigration & Surface Hardness about Tungsten-Carbon-Nitrogen(W-C-N) Related Diffusion Barrier)

  • 김수인;김창성;이재윤;박준;노재규;안찬근;오찬우;함동식;황영주;유경환;이창우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3-207
    • /
    • 2009
  • 반도체 공정에서 기존 금속배선으로 사용되던 Al을 대체하여 사용되는 금속배선으로는 Cu가 그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비저항값이 Al ($2.66{\mu}{\Omega}$-cm)보다 Cu ($1.67{\mu}{\Omega}$-cm)가 더 작아 RC 지연 시간 (RC delay time)을 극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Cu의 녹는점은 $1085^{\circ}C$로 높지만 저온에서 쉽게 Si기판과 반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또한 Si과의 접착력이 좋이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Cu와 Si과의 반응을 방지하고 접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확산방지막의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그룹에서는 Cu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W-C-N의 확산방지막에 대하여 연구하여 왔다. 지금까지 보고된 연구 결과에 의하면 W-C-N (tungsten-carbon-nitrogen) 확산방지막은 고온에서도 Cu와 Si과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W-C-N 확산방지막에 질소(N) 비율을 다르게 증착하여 지금까지 진행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새로이 Cu의 전자거동현상(Electromigration)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고온 열처리 과정에서 박막의 표면강도 (Surface hardness)를 Nano-Indenter system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박막내 질소가 포함된 W-C-N 확산방지막이 Cu의 전자거동에 더 안정적이며, 고온 열처리 과정에서도 표면 강도가 더 안정한 연구 결과를 획득하였다.

$ZrO_2$를 나노개재물로 첨가한 p형 $(Bi,Sb)_2Te_3$ 나노벌크 가압소결체의 열전특성 (Thermoelectric Characteristics of the p-type $(Bi,Sb)_2Te_3$ Nano-Bulk Hot-Pressed with Addition of $ZrO_2$ as Nano Inclusions)

  • 여용희;김민영;오태성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1-57
    • /
    • 2010
  • p형 $(Bi,Sb)_2Te_3$ 분말을 용해/분쇄법으로 제조하여 가압소결 후 가압소결조건에 따른 열전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나노개재물로서 $ZrO_2$의 첨가에 따른 열전특성의 변화거동을 분석하였다. 가압소결온도를 $350^{\circ}C$에서 $550^{\circ}C$로 증가시킴에 따라 가압소결체의 Seebeck 계수가 275 ${\mu}V$/K에서 230 ${\mu}V$/K로 감소하였으며, 전기비저항이 6.68 $m{\Omega}m$-cm에서 1.86 $m{\Omega}$-cm로 감소하였다. 1 vol% 이상의 $ZrO_2$ 함량 증가에 따라 power factor가 계속 감소하는 거동으로부터 $(Bi,Sb)_2Te_3$ 가압소결체의 최대 power factor를 얻을 수 있는 $ZrO_2$ 나노개재물의 최적 함량은 1 vol% 미만으로 판단되었다.

Cu 범프와 Sn 범프의 접속구조를 이용한 RF 패키지용 플립칩 공정 (Flip Chip Process for RF Packages Using Joint Structures of Cu and Sn Bumps)

  • 최정열;김민영;임수겸;오태성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67-73
    • /
    • 2009
  • Cu pillar 범프를 사용한 플립칩 접속부는 솔더범프 접속부에 비해 칩과 기판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미세피치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기생 캐패시턴스를 억제하기 위해 칩과 기판사이의 큰 거리가 요구되는 RF 패키지에서 유용한 칩 접속공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칩에는 Cu pillar 범프, 기판에는 Sn 범프를 전기도금하고 이들을 플립칩 본딩하여 Cu pillar 범프 접속부를 형성 한 후, Sn 전기도금 범프의 높이에 따른 Cu pillar 범프 접속부의 접속저항과 칩 전단하중을 측정하였다. 전기도금한 Sn 범프의 높이를 5 ${\mu}m$에서 30 ${\mu}m$로 증가시킴에 따라 Cu pillar 범프 접속부의 접속저항이 31.7 $m{\Omega}$에서 13.8 $m{\Omega}$로 향상되었으며, 칩 전단하중이 3.8N에서 6.8N으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접속부의 종횡비는 1.3에서 0.9로 저하하였으며, 접속부의 종횡비, 접속저항 및 칩 전단하중의 변화거동으로부터 Sn 전기도금 범프의 최적 높이는 20 ${\mu}m$로 판단되었다.

  • PDF

하천유역에서 GIS를 이용한 GIUH 모형의 해석 (Analysis of GIUH Model by Using GIS in River Basin)

  • 허창환;이순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321-330
    • /
    • 2002
  • 본 연구는 미 계측유역이나 자료가 결핍된 유역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지형학적 순간단위도(GIS-GIUH)를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IHP 위천대표시험유역의 6개지점(동곡, 고로, 미성, 병천, 효령, 무성)에 대하여 강우-유출해석을 실시하였다. 지형학적 순간단위도의 분석에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GIS-GIUH 모형과 Rosso-GIUH 모형을 이용하여 계산된 결과를 실측유출수문곡선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GIS-GIUH 모형이 Rosso-GIUH 모형보다 실측수문곡선에 더욱 접근하여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었으며, GIS-GIUH 모형의 매개변수인 N=3.25( $R_{B}$/ $R_{A}$)$^{0.126}$ $R_{L}$$^{-0.055}$과 K=1.50( $R_{A}$/( $R_{B}$. $R_{L}$))/$^{0.10}$.(( $L_{{\Omega}}$+ $L_{{\Omega}-1}$)/V)$^{0.37}$을 지형특성의 관계식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GIS-GIUH 모형이 미계측 유역에서 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되었다.

불균질도가 높은 대수층내에서의 비에르고딕 용질이동에 관한 수치 시뮬레이션 (Numerical Simulajtions of Non-ergodic Solute Transport in Strongly Heterogeneous Aquiferss)

  • 서병민
    • 지질공학
    • /
    • 제15권3호
    • /
    • pp.245-255
    • /
    • 2005
  • 균일한 지하수 유속을 가진 불균질한 등방성 대수층 내에서 정류상태로 흐르는 지하수의 흐름과 함께 이동해가는 비반응성 오염물질에 대한 삼차원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이 시행되었다. 로그-정규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수리 전도도 K(x)가 임의 장으로 설정되었으며 시뮬레이션 동안에 발생 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감소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들이 시도되었다. 3,200개 오염 운들에 대한 이차공간적률의 집합적평균 $$lt;S_{ij}'(t',l')$gt;$, 그리고 오염 운중심분산 $$lt;R_{ij}'(t',l')$gt;$이 각기 다른세가지 불균질도 $\omega^2_y1.0,$ 2.5 및 5.0에 대해서 시뮬레이션 되었으며 또한 각기 다른 크기의 평균속도에 수직방향인 선형초기오염원( l=1.5 및 10)에 대해서 입자추적이 행하여 졌다 시뮬레이션된 무차원 종적률들은 일차 근사법에 의한 비에르고딕 이론적 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 하나 시뮬레이션된 무차원 횡적률들은 일차근사법에 의한 이론적 결과들과 잘 일치하지 않으며 특히 불균질도가 큰 대수층에 대해서 그리고 초기 선형오염운의 크기가 작은 무차원 횡이차공간적률에 대해서 뚜렷하게 저평가 했다. 시뮬레이션된 집합적 평균이차적률은 에르고딕 상태에 도달하지 못했으며 일차근사법에 의한 에르고딕 용질 이동에 관한 횡이차공간적률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저평가 했음을 보인다.

Improvement of Milk Fatty Acid Composition for Production of Functional Milk by Dietary Phytoncide Oil Extracted from Discarded Pine Nut Cones (Pinus koraiensis) in Holstein Dairy Cows

  • Kim, Min Jeong;Jung, U Suk;Jeon, Seung Woo;Lee, Jae Sung;Kim, Won Seob;Lee, Sang Bum;Kim, Youn Chil;Kim, Bae Young;Wang, Tao;Lee, Hong G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2호
    • /
    • pp.1734-1741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dding phytoncide oil extracted from Korean pine nut cone by-product to the diet of dairy cows on milk yield and compositions, fatty acid characteristics, complete blood count and stress response. A total of 74 Holstein cows were used for 30 days and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group was given a basal diet (C) or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phytoncide additives at 0.016% (T) in feed. The results showed that phytoncide feeding had no effect on milk yield. In addition, there were no observed effects on milk composition, but the ratio of fatty acid in milk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phytoncide diet, and it showed a positive effect. Not only were the major functional fatty acids,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eicosapentaenoic acid increased, but also ${\omega}6:{\omega}3$ fatty acid ratio was reduced in milk of T group (p<0.05). In blood analysis, the complete blood cou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 and T group on all parameters. However, the cortis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 group compared to control (p<0.05). Taken together, we suggest that phytoncide oil does not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physiological changes, but can be a potential feed additive that improves the milk fatty acid and stress resilience in dairy cows. In addition,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eed resource, a reduction in feed cost and a lessening of environmental pollution.

Cis-9, trans-11-Conjugated Linoleic Acid in Dairy Goat Milk was Increased by High Linoleic (Soybean Oil) or Linolenic (Linseed Oil) Acid Diet

  • Choi, Seong-Ho;Kim, Jong-Kyu;Lee, Hong-Gu;Choi, Chang-Weon;Choi, Yang-Il;Song, Man-K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87-492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high linoleic ($C_{18:2}$) oil or high linolenic ($C_{18:3}$) oil to the diet on milking performance and conten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somers in goat milk fat. Forty five dairy goats (Sumnen, 25 d post-partum, $62.5{\pm}1.2kg$)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treatment groups with each group of 15 dairy goats. The goats were fed a basal diet (CON) consisting 1.2 kg concentrate and 1.2 kg chopped hay (0.6 chopped alfalfa and 0.6 kg hay) daily with 4% soybean oil (SO) or 4% linseed oil (LO). Daily feed intake was not influenced (p>0.05) but daily milk yield (p<0.001) and milk fat yield (p<0.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supplementation of oils. Supplementation of oils decreased the short chain fatty acid, medium-chain fatty acid and saturated fatty acid in goat milk fat while increased trans vaccenic acid (trans-11-$C_{18:1}$, TVA), oleic acid ($C_{18:1}$), $C_{18:2}$, $C_{18:3}$, cis-9, trans-11-CLA (c9, t11-CLA), trans-10, cis- 12-conjugated linoleic acid (t10, c12-CLA), unsaturated fatty acids, mono unsaturated fatty acid and long-chain fatty acid in goat milk fat (p<0.001). Especially, c9, t11-CLA, t10, c12-CLA and ${\omega}-3$ fatty acid ($C_{18:3\;n-3}$) in milk fat were highest when goat fed LO diet. Based on the result, it is suggested that supplementation of linseed oil should be an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CLA isomers and ${\omega}-3$ fatty acid in goat milk fat without negative effect on lactating performance.

DMEAA 소스로 기상화학 증착된 알루미늄 박막의 증착특성 (Properties of Aluminum Films Deposited by CVD using DMEAA)

  • 장태웅;문원;백종태;안병태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33-340
    • /
    • 1996
  • p-type(100) 실리콘 기판과 TiN(50nm)/Si 기판에 dimethylethylamine alane(DMEAA)을 반응소스로 하여 알루미늄을 증착시켜 증착온도와 유량, 반송가스 종류에 따른 방향성, 증착속도, 미세구조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알루미늄의 증착속도는 기판온도, 반송가스 종류 및 유량에 따라 100-650mn/min으로 다양하게 조절되었다. DMEAA의 증착 활성화에너지는 TiN 기판에서는 약 0.leV이었고 Si와 SiO2 기판에서는 각각 약 0.23eV, 0.24eV이었다. 알루미늄 박막의 방향성은 증착속도의 감소에 따라 (200)에서 (111)방향으로 변하였다. 증착된 알루미늄 박막의 불순물 함량은 산소의 경우 0.2at%, 탄소의 경우 1.8at.%이었다. DMEAA 소스에 의한 알루미늄의 증착속도는 반송가스가 Ar 일 때 보다 H2 가스를 사용하면 증착속도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반송가스에 의해 SiO2표면의 흡착 H 농도가 증가하고 흡착 H가 소스 가스와 반응하여 핵생성 site 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알루미늄 박막의 비저항은 표면 미세조직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그 값은 약 3-7$\mu$$\Omega$cm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