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_7$

검색결과 56,056건 처리시간 0.078초

도계육에서 병원성 미생물 오염도 조사 (Survey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contamination of chicken carcasses)

  • 이은미;신동수;권미순;이성재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67-171
    • /
    • 2015
  • Pathogenic microorganisms were monitored on the chicken carcasses in slaughterhouse of Jeonbuk area. I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n 204 chicken carcasses. Staphylococcus (S.) aureus was isolated in largest number and its ration was 41.2%, Salmonella spp. 6.4%, Campylobacter (C.)jejuni 7.4%, C. coli 7.4%. Serotype of Salmonella (S.) spp. was identified as S. Infantis 46.1%, S. Enteritidis 23.1%, S. Typhimurium 7.7%, S. Montevideo 7.7%. In breed chickens, Salmonella spp. was detected broiler 4.1%, white semi-broiler 8.0% Korean native chicken 12.0%. C. jejuni was isolated broiler 7.4%, white semi-broiler 12.0%, Korean native chicken 0%, C. coli, broiler 7.4%, white semi-broiler 0%, Korean native chicken 18.1% and S. aureus, broiler 38.8%, white semi-broiler 40.0%, Korean native chicken 51.5%.

콩의 7S α' - subunit 단백질의 유전 (Inheritance of 7S α' - subunit Protein in Soybean Seed)

  • 성미경;김경록;박정수;황교진;정종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5호
    • /
    • pp.39-42
    • /
    • 2009
  • 인간과 가축의 영양을 위한 식물성 단백질의 주요 공급원은 콩이며 콩 단백질은 영양 및 기능성면에서 우수하여 소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콩 단백질에는 알러지를 일으키고 영양가치를 떨어뜨리는 성분도 포함되어져 있다. 7S 및 11S 글로블린은 콩 저장단백질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7S는 영양가치가 떨어지고 7S의 함량을 줄어든 콩 계통 육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7S 성분중의 하나인 ${\alpha}^{\prime}$-subunit의 유전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진품콩2호와 PI506876의 교배로부터 98개의 F2 종자가 얻어졌다. SDS-PAGE로 각각의 종자를 분석한 결과 ${\alpha}^{\prime}$-subunit을 가진 종자가 70개였고 결핍된 종자가 28개였다. 이러한 유전양상은 단인자 유전원칙 (${\chi}^2=0.667$, P=0.414)과 일치하여 콩 종자에서 7S의 ${\alpha}^{\prime}$-subunit 단백질은 한 개의 유전자에 의 해서 좌우되었다. 이 결과는 7S 단백질 함량이 줄어든 콩 계통 선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Human glutathione S-transferase 중 tyrosine 7 잔기의 기능 분석 (Functional analysis of Tyr7 residue in human glutathione S-transferase P1-1)

  • 공광훈;박희중;윤석영;조성희
    • 분석과학
    • /
    • 제10권5호
    • /
    • pp.378-385
    • /
    • 1997
  • 본 실험은 human glutathione S-transferase P1-1의 tyrosine 7 잔기에 대한 변이체를 작성하고, 기질특이성과 저해제의 효과를 조사하여, 이 잔기의 기능을 분석한 것이다. 1,2-dichloro-4-nitrobenzene과 1,2-epoxy-3-(p-nitrophenoxy)propane에 대한 GSH 포합반응에 대한 활성은 야생형에 비해 변이체 Y7F에서는 3~5%로 크게 저하하였으며, 효소에 결합한 GSH의 thiol기의 pKa는 2.4 pK 높았다. 저해제 hematin에 대한 $I^{50}$값은 야생형과 변이체 Y7F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저해제 benastatin A와 S-(2,4-dinitrophenyl) glutathione에 대한 $I^{50}$값들은 다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tyrosine 7 잔기는 기질의 결합에 관여하기보다 GSH-chloronitrobenzene 유도체와 GSH-epoxide 포함반응에 대한 촉매활성에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수 감소에 따른 일반교실의 적정 모듈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f the Profit Module of General Classroom in according to Decreasing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student)

  • 윤희철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7권1호
    • /
    • pp.33-39
    • /
    • 2018
  •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수가 점차로 줄어 이제는 OECD 평균 21.1명(2017년 기준) 인구추계를 따르게 되면 20.5명(2025년)을 거쳐 19.8명(2030년)이 된다고 한다. 이러한 추계로 보았을 때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수는 20~22명 정도가 향후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의 교실들의 크기는 최소 3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여서 많으면 10명 정도 더 과잉된 교실면적이 할애되고 있어 예산의 낭비와 공간의 밀도가 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 1인당 단위공간을 기초로 하여 일제식 수업 및 모둠수업에 필요한 공간을 도면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2인 1조의 일제식 수업에 필요한 교실크기는 벽체간 두께를 200으로 하였을 때 가로의 중심선간 치수는 7,100~7,500이 되고 세로는 7,000~7,800이 된다. 이러한 치수에 대하여 30cm 모듈에 맞게 적용하면 가로는 7.2m 7.5m, 세로 7.2m, 7.5m, 7.8m이 된다. 따라서 단위교실의 모듈은 정방형일 경우 $7.2m{\times}7.2m$, $7.5m{\times}7.5m$, 장방형일 경우 $7.2m{\times}7.5m$, $7.2m{\times}7.8m$, $7.5m{\times}7.8m$의 모듈이 나올 수 있다. 모듈의 면적은 $7.2m{\times}7.2m(51.84m^2)$, $7.5m{\times}7.5m(56.25m^2)$, $7.2m{\times}7.5m(54m^2)$, $7.2m{\times}7.8m(56.16m^2)$, $7.5m{\times}7.8m(58.5m^2)$로서 최소 $51.84m^2$에서 최대 $58.5m^2$가 된다. 이러한 면적은 기존의 교실 모듈 $7.5m{\times}9.0m(67.5m^2)$, $8.0m{\times}8.0m(64m^2)$, $8.1m{\times}8.1m(65.61m^2)$, $8.4m{\times}8.0m(67.2m^2)$ 등과 비교하면 최소 $5.5m^2$에서 최대 $15.7m^2$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Prenatal diagnosis of interchromosomal insertion of Y chromosome heterochromatin in a family

  • Lee, Bom-Yi;Park, Ju-Yeon;Lee, Yeon-Woo;Oh, Ah-Rum;Lee, Shin-Young;Park, So-Yeon;Ryu, Hyun-Mee;Lee, Si-Won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4권2호
    • /
    • pp.62-66
    • /
    • 2017
  • Interchromosomal insertion of Y chromosome heterochromatin in an autosome was identified in a fetus and a family. A fetal karyotype was analyzed as 46,XX,dup(7)(?q22q21.1) in a referred amniocentesis at 16 weeks of gestation for advanced maternal age. In the familial karyotype analyses for identification of der(7), the mother, the first daughter and the maternal grandmother showed the same der(7) as the fetus's. CBG-banding was positive at 7q22 region of der(7) that indicated inserted material was originated from heterochromatin. The origin of heterochromatic insertion region in der(7) of the fetus and the mother was found in Yq12 region by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with a DYZ1 probe. In the specific analysis of Y chromosomal heterochromatic region of ins(7;Y) of the mother, 15 sequence tagged sites from Yp11.3 region including SRY to Yq11.223 region was not detected. Final karyotypes of the mother, the first daughter and the maternal grandmother were reported as 46,XX,der(7)ins(7;Y)(q21.3;q12q12). All female carriers of ins(7;Y) in the family showed normal phenotype and the mother and the maternal grandmother were fertile. A healthy girl was born at term. We report a rare case of familial interchromosomal insertion of Y chromosome heterochromatin detected only in female family members with normal phenotype that was diagnosed prenatally.

Substrate-immobilized bone morphogenic protein-7 peptides on titanium surface support the expression of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 김영준;정찬길;최득철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3호
    • /
    • pp.627-637
    • /
    • 2006
  • 이 연구는 rh BMP-7-immobilized substrates에 대한 백서 태자 두개관 세포의 반응을 석회화 결절 측정, 알카리 효소 분석, 역전사 중합반응 및 단백질 분석등으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배양 14일 째, 석회화 결절 형성율을 측정한 결과, rh BMP-7-immobilized substrates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더 많은 석회화 결절을 형성하였다. 2. 배양 7일에 염기성 인산 분해효소 활성도는 rh BMP-7-immobilized substrates에서 대조군에 비해 효소 활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3. 역전사 중합반응의 결과에서 BSP 와 OCN 유전자 발현은 대조군보다 더 현저하였다. 4. 단백질 분석에서 rh BMP-7-immobilized substrates와 대조군 모두 Smad 1,5,8 단백질의 인산화를 활성화시키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 rh BMP-7-immobilized substrates는 백서 태자 두개관세포가 조골세포로의 분화와 석회화를 유도하며 따라서 rh BMP-7-immobilized substrates는 임프란트 주변의 골 형성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납작벌레류(Stylochus ijimai, Pseudostylochus obscurus)의 산란 및 유생발생에 관하여 (SPAWNING AND LARVAL DEVELOPMENTS OF TWO SPECIES OF POLYCLAD WORMS, STYLOCHUS IJIMAI & KABURAKI AND PSEUDOSTYLOCHUS OBSCURUS (STIMPSON))

  • 양한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14
    • /
    • 1974
  • 1. S. ijimai의 산난기는 5월하순에서 10월하순까지로서 주산난기는 7월중순에서 9월하순 사이였고 P. obscurus 는 6월하순에서 10월상순까지로 주산난기는 7월하순에서 9월중순 사이였다. 2. S. ijimai의 1회 산난량은 약 $96,000\~132,000$립이였고 체장이 큰 것의 산난량이 대체로 많았다. 3. 산난직후의 난의 크기는 S. ijimai는 $102\mu$이고 P. obscurus는 $108\mu$이었다. 4. 난이 성숙분열을 시작하여 양배형성기까지의 발생과정은 S. ijimai와 P. obscurus가 유사하였다. 5. S. ijimai나 P. obscurus 두 종류가 모두 다 단일난이고 S. ijimai는 Gotte유생으로 변태발생을 하며 P. obscurus는 직접발생을 한다. 6. 산난후의 발생경과시은 S. ijimai는 48시간 후에 Mesentoblast가 형성되고 7일만에 부화하였다. P. obscurus 는 72시간 후에 Mesentoblast가 형성되고 14일만에 부화하였다. 7. S. ijimai지 부화유생은 14일 간의 부유기를 가지며 이 기간 중 강한 주광성이 있었으나 P. obscurus는 70의 부유기를 가지면서 전연 주광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8. S. ijimai의 부화직후 유생의 크기는 $138\mu$이고 저서초기에는 $152\mu$이며, P. obscurus는 각각 $170\mu$$185\mu$이었다. 9. 저서생활로 들어갈 때의 현저한 특미으로서 S. ijimai는 돌기가 소실되고 몸이 편평하게 되면서 성체형으로 변태하였고, P. obscurus는 이 시기에 뇌역의 4안점 중에서 양측 바깥쪽의 2안점이 퇴화되었다. 10. 저서초기유생은 S. ijimai가 P. obscurus 두 종류 모두 저질이 이토인 곳에서만 발견되었다.

  • PDF

웅담이 mammalian세포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ar's gall on mammalian cell growth)

  • 주현규;김연욱;박동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3호
    • /
    • pp.231-234
    • /
    • 1991
  • 동물세포에 미치는 웅담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원숭이 kidney cell 유래의 COS-7 cell과 hybridoma cell(murine myeloma cell과 rat의 spleen cell을 융합)을 가지고 이들 세포의 생육과 단백질 발현기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COS-7 cell과 hybridoma cell을 웅담이 첨가된 10% FCS DMEM complete medium에서 78시간 배양한 결과 COS-7 cell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myeloma cell과 spleen cell과의 융합세포는 48시간내에 거의 모든 세포가 사멸됐다. 또한 cDNA를 COS-7 cell에 transfection에서 발현되는 단백질양을 조사한바 웅담이 첨가된 배지에서의 단백질 생산량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 보다 $30{\sim}40%$ 감소되었다.

  • PDF

Anti-Inflammatory Efficacy of Human-Derived Streptococcus salivarius on Periodontopathogen-Induced Inflammation

  • Dong-Heon Baek;Sung-Hoon L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8호
    • /
    • pp.998-1005
    • /
    • 2023
  • Streptococcus salivarius is a beneficial bacterium in oral cavity, and some strains of this bacterium are known to be probio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and mechanism of S. salivarius G7 lipoteichoic acid (LTA) on lipopolysaccharide (LPS) and LTA of periodontopathogens. The surface molecules of S. salivarius G7 was extracted, and single- or co-treated on human monocytic cells with LPS and LTA of periodontopathogens. The induction of cytokine expression was evaluated by real-time PCR and ELISA. After labeling fluorescence on LPS and LTA of periodontopathogens, it was co-treated with S. salivarius LTA to the cell. The bound LPS and LTA were measured by a flow cytometer. Also, the biding assay of the LPS and LTA to CD14 and LPS binding protein (LBP) was performed. The surface molecules of S. salivarius G7 did not induce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nd S. salivarius G7 LTA inhibited the inflammatory cytokines induced by LPS and LTA of periodontopathogens. S. salivarius G7 LTA inhibited the binding of its LPS and LTA to cells. Also, S. salivarius G7 LTA blocked the binding of its LPS and LTA to CD14 and LBP. S. salivarius G7 has an inhibitory effect on inflammation induced by LPS or LTA of periodontopathogens, and may be a candidate probiotics for prevention of periodontitis.

ONE 모형에 의한 2020.8.7.~8.8. 호우의 댐 유입량 모의 (Simulating flood inflow to multipurposed dam on 2020.8.7.~8.8 storm with ONE model)

  • 노재경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0-120
    • /
    • 2021
  • 2020년 8월 7일부터 8월 8일까지 호우는 용담댐, 섬진강댐, 합천댐 하류 유역의 막대한 침수피해를 일으켰다. 이들 다목적 댐 유입량의 신뢰도 높은 모의는 홍수기 댐 운영 및 하류하천의 홍수 해석에 필수다. 여기서는 일 유출 모의 기반으로 개발된 ONE 모형을 10분 단위, 1시간 단위로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보통 홍수모의는 사상별로 실시하지만, 여기서는 1월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연속으로 모의한 결과에서 해당 홍수사상 결과를 제시하였다. 3개 다목적 댐의 홍수사상은 8월6일부터 8월 10일까지 5일간으로 설정하였다. 유역면적은 용담댐, 섬진강댐, 합천댐, 각각 930km2, 763km2, 925km2, 총강우량은 각각 490.7mm, 451.9mm, 452.4mm, 첨두유입량은 10분 단위는 각각 4,872.7m3/s, 3,533.7.0m3/s, 2,776.0m3/s, 1시간 단위는 각각 4,394.9m3/s, 3,401.8m3/s, 2,745.6m3/s, 총유입량은 각각 3억8,836만m3, 3억1,324만m3, 3억2,816만m3였다. 첨두유입량 상대오차가 0일 때의 매개변수로 모의한 결과를 제시하며, 총유입량 상대오차(Vq), R2, RMSE, NSE 등으로 평가하였다. 용담댐 결과는 10분 단위 경우 최대면적강우량 7.3mm, 첨두유입량 4,872.4m3/s, 총유입량 3억 8,138만m3, Vq 1.9%, R2 0.968, RMSE 207.347, NSE 0.978였고, 1시간의 경우 최대면적강우량 29.6mm, 첨두유입량 4394.9m3/s, 총유입량 4억157만m3, Vq -8.4%, R2 0.970, RMSE 186.962, NSE 0.982였다. 섬진강댐 결과는 10분 단위 경우 최대면적강우량 9.2mm, 첨두유입량 3,533.3m3/s, 총유입량 2억7,223만m3, Vq 18.4%, R2 0.885, RMSE 808.296, NSE 0.925였고, 1시간의 경우 최대 면적강우량 37.9mm, 첨두유입량 3401.6m3/s, 총유입량 2억7,029만m3, Vq 13.7%, R2 0.907, RMSE 285.544, NSE 0.936였다. 합천댐 결과는 10분 단위 경우 최대면적강우량 5.5mm, 첨두유입량 2,776.2m3/s, 총유입량 3억3,667만m3, Vq -2.7%, R2 0.941, RMSE 191.896, NSE 0.965였고, 1시간의 경우 최대면적강우량 17.0mm, 첨두유입량 2,746.7m3/s, 총유입량 3억1,333만m3, Vq 4.5%, R2 0.965, RMSE 140.739, NSE 0.981였다. 이상 ONE 모형으로 10분, 1시간 단위의 댐 홍수 유입량 모의결과는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