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_2O$농도

검색결과 587건 처리시간 0.036초

심도 변화에 따른 흥해지역 지하수의 수리 지화학적 특성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on Well Depth Variation in the Heunghae Area, Korea)

  • 윤욱;조병욱
    • 지질공학
    • /
    • 제15권4호
    • /
    • pp.391-405
    • /
    • 2005
  • 포항시 흥해읍 일대 지하수의 수리 지화학적 특성 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표수, 천부지 하수 및 중간심도와 심부 지하수를 대상으로 수질 및 안정 동위 원소 분석 을 수행하였다. 심도별 수질 유형은 지표수 및 천부지하수는 Ca-Cl, 중간 심도는 $Na-HCO_3$, 심부지하수는 Na-Cl형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HCO_3^-$ $SiO_2$의 기원은 천부 지하수의 경우 규산염광물의 풍화에서, 심부지하수는 탄산염 광물의 풍화에서 생성되었다. Ca 및 Mg이 온은 천부 및 심부 모두 석회 석 및 백운석에서 기인한다. 천부 지하수의 $SO_4^{2-}$ 기원은 황철석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심도의 증가에 따라 pH 및 TDS는 증가하나, Eh및 DO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알카리 금속(K, Na, Li.)은 심부로 갈수록 농도가 증가하나, 알카리 토금속(Mg, Ca) 및 AL은 천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음이온인 할로겐 원소(F, Cl, Br) 및 $HCO_3^-$의 농도도 심부로 갈수록 증가함을 보인다. 산소 및 수소 안정동위원소 평균값은 심부 지하수는 평균값: ${\delta}^{18}O=-10.1\%_{\circ},\;{\delta}D=-65.8\%_{\circ}$, 중간심도는 평균값: ${\delta}^{18}O=-8.9\%_{\circ},\;{\delta}D=-59.6\%_{\circ}$ 천부 지하수는 평균값: ${\delta}^{18}O=-8.0\%_{\circ},\;{\delta}D=-53.6\%_{\circ}$지표수는 평균값: ${\delta}^{18}O=-7.9\%_{\circ},\;{\delta}D=-53.3\%_{\circ}$의 값을 각각 보인다.

Monascus Purpureus의 수용성 적색색소 최적 배양조건 (Optimal Culture Condition for Production of Water-soluble Red Pigments by Monascus Purpureus)

  • 전춘표;이중복;최성연;신지원;이오석;최충식;이창호;권기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93-498
    • /
    • 2006
  • Monascus purpureus MMK2를 이용하여 수용성 적색색소 생산을 위한 배양조건의 최적화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균주가 생산하는 적색색소의 최적 배양조건은 탄소원으로 wheat flour 3.0% 첨가, 질소원으로 $NaNO_3\;0.15%$, 인산염으로 $Na_2HPO_4\;12H_2O$의 농도가 0.25% 및 $MgSO_4$의 농도가 0.15%일 때 가장 높은 적색색소 생성을 나타내었다. 배양온도는 $30^{\circ}C$, 초기 pH가 6.5 및 배양시간 7일일 때 적색색소의 생성능은 모 균주의 생성능인 1.77unit에 비해 23.38배 높은 41.39 unit로 가장 우수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Lyophyllum decastes를 이용(利用)한 볏짚의 발효사료(醱酵飼料)에 관한 연구(硏究) -ll. 과산화수소(過酸化水素) 및 과탄산(過炭酸)소다 처리(處理)의 영향(影響)- (Studies on Improving the nutritive value of Rice straw by Fermentation with Lyophyllum decastes -II. Effect of $H_2O_2\;and\;2Na_2CO_3{\cdot}3H_2O_2$ treatments-)

  • 홍재식;김동한;이극로;김명곤;김영수;여규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5-143
    • /
    • 1988
  • 볏짚의 $H_2O_2$ 처리는 첨가농도를 늘리거나 pH를 알칼리로 조정하는 것이 첨가비율을 증가시키는 것 보다 비소화성 물질의 분해에 효과적이었고 볏짚입자가 작을수록 이러한 효과는 현저하였다. $2Na_2CO_3{\cdot}3H_2O_2$는 pH를 조정할 필요는 없으나 처리효과는 pH를 11.5로 조정한 $H_2O_2$ 처리에 비하여 낮았다. Alkaline peroxide 처리에 의하여 lignin과 hemicellulose의 감소는 현저하였다. Alkaline peroxide 전처리 볏짚의 발효로 총질소와회분은 증가하였고, NDF, hemicellulose, lignin은 분해되어 감소되었으며, ADF와 cellulose는 저농도 처리에서 감소하였다. 볏짚의 소화율은 alkaline peroxide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향상되어 대조구의 31.0%에 비하여 pH를 11.5로 조정한 12% $H_2O_2$와 12% $2Na_2CO_3{\cdot}3H_2O_2$ 처리시 각각 89.4%, 76.8%로 상승되었다. Alkaline peroxide 전처리 볏짚의 발효에 의한 소화율의 상승은 저농도 전처리에서 효과적이었다. 4% $H_2O_2$ 반건식처리로 ADF와 cellulose는 감소되어 소화율은 57.5%이었고 전처리 볏질의 발효로 대조구의 33.4%에 비하여 63.4%로 상승되었다.

  • PDF

투명산화철의 製造에 관한 硏究 (Studies on Preparation of Transparent Iron Oxide)

  • 백무현;임종호;김태경;이승원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3권6호
    • /
    • pp.9-15
    • /
    • 2004
  • FeSO$_4$ 용액에 NaOH를 첨가하여 FeOOH를 제조하였으며, R(=2NaOH/FeSO$_4$), FeSO$_4$의 농도, 반응온도 및 산화용 가스인 air의 유량 변화에 따른 제조변수를 통해 투명산화철의 제조 조건을 연구하였다. 수용액 중에 FeSO$_4$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Fe$_3O_4$를 석출하며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였다. 생성된 FeOOH는 약 200$^{\circ}C$에서 탈수반응을 일으켜 약 320$^{\circ}C$부근에서 종료하였다. 반응온도가 낮을수록 Fe(OH)$_2$의 입자의 길이가 짧아졌으며, 산화제인 air의 공급량이 클수록 용액 중에 용존산소의 량이 증가하여 Fe(OH)$_2$의 입자길이가 감소하였다.

25℃에서 ZnSO4-Fe2(SO4)3-Na2SO4-H2SO4-NaOH-H2O계에 대해 Pitzer식과 Vasil'ev식에 의한 이온평형해석 비교 (Comparison of Ionic Equilibria Analysis of ZnSO4-Fe2(SO4)3-Na2SO4-H2SO4-NaOH-H2O System at 25℃ between Pitzer and Vasil'ev Equation)

  • 이만승;이경주;남상호
    • 분석과학
    • /
    • 제16권2호
    • /
    • pp.159-165
    • /
    • 2003
  • 아연산화광 황산침출액에 적용가능한 이온평형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Vasil'ev식과 Pitzer식에 의한 해석방법을 비교하였다. 이온강도가 9 m정도로 증가할수록 Vasil'ev식보다는 Pitzer식에 의한 용액의 이온평형결과가 정확하였다. 아연산화광 황산침출액을 모사하기위해 $25^{\circ}C$에서 $ZnSO_4-Fe_2(SO_4)_3-Na_2SO_4-H_2SO_4-NaOH-H_2O$계에 대해 전해질의 농도를 변화시키며 혼합한 용액의 pH 측정값과 본 연구에서 계산한 pH값은 서로 잘 일치하였다.

무안 지역, 삼보 광상의 금광화작용 (Hydrothermal Gold Mineralization of the Sambo Deposit in the Muan Area, Korea)

  • 박상준;최선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3호
    • /
    • pp.275-286
    • /
    • 2008
  • 백악기 함평분지 서측에 위치하는 삼보광상은 유문암내에 배태되는 $N10{\sim}20W$ 주향의 함금석영세맥(지자맥)과 선캠브리아기의 편마암 열극을 충진하는 NE 계열의 석영맥(풍자맥.광산맥.풍자지맥)으로 구성된다. 함금석영세맥은 주로 유문암의 미세 열극 따라 단속적인 불규칙상 세맥으로 배태되며, 에렉트럼은 미세 열극을 따라 모암내에서 산점 분포하거나, 세맥내 황철석의 용식 공간에서 정출하는 적철석과 밀접히 공생한다. 함금석영세맥의 광화유체($H_2O/-NaCl$ 계)는 $340{\sim}200^{\circ}C$의 균일화온도 및 <2.7 eq. wt.% NaCl의 염농도를 보인다. 반면 NE 석영맥의 유체($H_2O-NaCl/-CO_2$계)는 $400{\sim}190^{\circ}C$의 균일화 온도 및 <7.9 eq. wt.% NaCl의 염농도를 보인다. 이 두 유체계는 서로 다른 물리화학적 조건을 보이는 반면 공통적으로 초기 비등 이후 혼입의 유체 진화 과정을 보인다. 삼보광상은 백악기 인리형 분지와 관련된 NNW 방향의 인장성 열극 형성과 밀접한 관련을 보이며 각맥별 광화작용은 서로 다른 기원의 광화유체에 의해 진행되었다. 삼보광상에서 산출되는 석영맥, 광석광물, 광화유체에 대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삼보광상의 금광화작용은 성인적으로 백악기 지구조운동에 의한 인리형 분지 형성과 관련된 인장형 열극을 충진한 천열수 광상으로 해석된다.

한국산 오디 품종별 안토시아닌 배당체 성분 분석 (Analysis of Anthocyanin Glycosides in Korean Mulberry Fruit Cultivars)

  • 김소아;권령하;김주형;라혜민;이지혜;조수묵;김헌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43-550
    • /
    • 2023
  • Mulberry fruit is a superior source of polyphenols, especially anthocyanin, and has a long history of use as an edible fruit and traditional medicine. The anthocyanin composition of mulberry fruit from 15 Korean cultivars was analyzed by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diode array detector with quadrupole time of flight/mass spectrometry (UPLC-DAD-QToF/MS) based on a cyanin internal standard. The four glycosides were identified by comparison with authentic standards and published reports. The major anthocyanin was cyanidin 3-O-glucoside (71.7%), followed by cyanidin 3-O-rutinoside (26.6%). The minor components (total of 1.7%) were pelargonidin 3-O-glucoside and pelargonidin 3-O-rutinoside. The total anthocyanin content (mg/100 g, dry weight) of mulberry fruit varied by cultivar and ranged from 471.5±4.0 (Su Hong) to 4,700.2±54.0 (Gwa Sang2). Among the 15 cultivars examined, Gwa Sang2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yanidin 3-O-glucoside (3,133.4±32.6), which was 9-fold higher than that of Su Hong (351.5±3.4). In conclusion, anthocyanin profiles, including pelargonidin 3-O-glucoside and pelargonidin 3-O-rutinoside, w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15 Korean mulberry fruit cultivars. The results will contribute valuable information on pharmaceutical properties, breeding superior mulberry cultivars, and food industries.

수열법에 의한 저온 결정형 지르코니아 나노 분말의 제조 (Preparation of Zirconia Nanocrystalline Powder by the Hydrothemal Treatment at low Temperature)

  • 노희진;이종국;서동석;황규홍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08-314
    • /
    • 2002
  • $ZrOCl_2{\cdot}8H_2O$ 수용액과 $NH_4OH$ 수용액을 반응시켜 얻은 지르코니아 수화물을 반응조건으로 100∼250$^{\circ}$C, 1∼48시간과 1, 5 M NaOH 수용액에서 수열합성하여 결정형 나노크기의 지르코니아 분말을 제조하였다. 수열합성 온도가 낮을 경우 구형의 정방정상 나노입자가 합성되었으며, 합성온도가 증가하면서 입자크기의 증가 및 입자모양도 막대상으로 변하면서 결정상도 단사정상을 나타내었다. NaOH 용액의 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합성된 입자의 폭과 길가 크며 장단축비는 감소하였다. 반면에 NaOH 용액의 농도가 낮을 경우 입자 길이가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이에 따라 장단축비가 큰 막대상 입자가 합성되었다.

반도체 웨이퍼 제조공정(製造工程) 중 발생불산(發生廢酸)으로부터 $Na_{2}SiF_6$ 및 초산의 회수(回收)에 관한 연구(硏究) (Study on recovery of $Na_{2}SiF_6$ and acetic acid from waste acid produced during semiconductor wafer process)

  • 김현상;김주엽;이향숙;신창훈;김준영;배우근;안종관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7권5호
    • /
    • pp.3-10
    • /
    • 2008
  • 반도체 웨이퍼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질산, 불산, 초산으로 구성된 혼산을 재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기에 $NaNO_3$$Na_{2}SiO_3$를 사용하여 불산을 $Na_{2}SiF_6$로 침전시켜 회수하였고, 이 때 혼산 중 불산의 농도는 초기 110g/L에서 0.5g/L로 낮아져 불산 회수율은 99.5%였다. 불산회수 후 남은 혼산의 질산과 초산의 농도는 각각 498g/L, 265g/L였고, 이 혼산을 2단계 분별증류 법에 의해 분리 회수하였다. 1단계에서는 초산을 증류하여 질산과 분리해내고, 2단계에서는 증류된 초산 중 잔류하는 미량의 질산을 제거하여 순수 초산만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초산의 농도는 약 20%였고, 최종회수율은 약 87.5%이었다.

물과 수산화나트륨용액에 의한 블랙 드로스의 처리 (Treatment of Black Dross with Water and NaOH Solution)

  • 행위동;안병두;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6권3호
    • /
    • pp.53-60
    • /
    • 2017
  • 블랙드로스에는 금속 알루미늄, 알루미나, 실리카, 산화마그네슘, 가용성 염 및 미량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블랙드로스를 사용가능한 재료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실리카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가용성 염인 염화나트륨과 염화칼륨은 $50^{\circ}C$에서 물에 용해되었다. 물세척 후 잔사에 함유된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타이타늄의 침출거동을 NaOH의 농도와 반응온도를 변화시키며 조사하였다. 반응온도 $25{\sim}95^{\circ}C$에서 알루미나의 침출율은 온도에 비례하나 실리카의 침출의 경우에는 최적 온도가 존재하였다. 한편 2~6 M의 NaOH용액에 산화마그네슘은 전혀 용해되지 않았다. 5 M의 NaOH와 $95^{\circ}C$에서 알루미나와 실리카의 침출율은 각각 80과 68%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