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균의 활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건식 Hybridiz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장용성 피복재로 유산균분말의 표면처리를 실시하였다.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표면처리는 유산균의 표면을 매끄러운 구형의 모양으로 변화시켰으며 표면처리를 통한 분체복합화 과정에서 유산균의 활력은 유의적인 변화없이 유지되었다. 또한 유산균의 내염성은 처리여부에 따른 유의적 변화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표면처리 과정 중 유산균 세포막의 물리적 손상은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표면처리된 유산균의 내산성은 처리전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는 균주 자체의 높은 내산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표면처리 후의 유산균은 유의적으로 높은 열저항성을 보여 표면처리가 유산균의 내열성 향상을 위하여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냈다. 조사된 장용성 피복재 중 Sureteric은 다른 피복재에 비하여 우수한 표면 처리 효과를 보였으며 유산균분말의 표면처리를 위한 적합한 처리조건은 유산균의 초기입도가 $100{\sim}200\;{\mu}m$, 유산균:피복재의 혼합비율(w/w)은 9 : 1, 처리속도는 15,000 rpm, 3분이었다.
이 연구에 사용된 9종류의 나노입자는 직경 100nm 이하의 크기를 가진 입자로, 알테미아 cyst가 nauplius로 부화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24시간 경과 후 나노입자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82%가 nauplius의 부화하였다. 20mg/L 농도에서는 AGZ020, Nano silver, P-25, Sb, 및 SnO 나노입자가 각각 18%, 20%, 13%, 50% 및 0%의 부화율을 보여 유해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Ag-$TiO_2$, In, Sn, 및 Zn 나노입자에서는 각각 75%, 60%, 73% 및 73%로 대조구에 비해 유해성을 가졌지만, AGZ020, Nano silver, P-25, Sb, 및 SnO 나노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나노입자가 가지고 있는 성분에 따라서 차이가 났다. AGZ020, Nano silver 및 P-25 나노입자는 은(Ag)이 2% 함유되어 항균제로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산소를 결합시킨 SnO 나노입자는 광촉매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나노입자들은 현재 가전, 기능성 화장품, 항균제 및 광촉매제 등 사용이 일반화되어 수중환경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수중생태계에 전파 영향을 준 가능성이 높기에, 나노입자가 가지는 잠재적 위험성을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이다.
Ha Kyung Jung;Jin Young Kim;Mu Sook Lee;Ji Yeon Lee;Jae Seok Park;Miri Hyun;Hyun Ah Kim;Yong Shik Kwon;Sang-Woong Choi;Sung Min Moon;Young Joo Suh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제21권11호
/
pp.1265-1272
/
2020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pneumonia in novel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tients using chest radiograph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with initially negative chest radiographs, who were positive for pneumonia on follow-up.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 cohort data of 236 COVID-19 patients were reviewed. Chest radiography was performed on admission, with serial radiographs obtained until discharge. The 'positive conversion group' was defined as patients whose initial chest radiographs were negative but were positive for pneumonia during follow-up. Patients with initially positive chest radiographs were defined as the 'initial pneumonia group.' Patients with negative initial and follow-up chest radiographs were defined as the 'non-pneumonia group.'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and predictors of positive conversion were investigated. Results: Among 236 patients, 108 (45.8%) were in the non-pneumonia group, 69 (29.2%) were in the initial pneumonia group, and 59 (25%) were in the positive conversion group. The patients in the 'initial pneumonia group' and 'positive conversion group' were older, had higher C-reactive protein (CRP) and lactate dehydrogenase levels, and lower absolute lymphocyte counts than those in the 'non-pneumonia group' (all p < 0.001). Among patients with negative initial chest radiographs, age ≥ 45 years (odds ratio [OR]: 3.93, 95% confidence interval [CI]: 1.76-8.75, p = 0.001), absolute lymphocyte count < 1500 cells/μL (OR: 2.25, 95% CI: 1.03-4.89, p = 0.041), and CRP > 0.5 mg/dL (OR: 3.91, 95% CI: 1.54-9.91, p = 0.004) were independent predictors for future development of pneumonia. Conclusion: More than a half of COVID-19 patients initially had normal chest radiographs; however, elderly patients (≥ 45 years of age) with abnormal laboratory findings (elevated CRP and low absolute lymphocyte counts) developed pneumonia on follow-up radiographs.
이온쌍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식품에 사용이 허용된 타르색소 8종과 일본등 외국에서는 허용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허용되어 있지 않은 11종 등 총 19종의 동시 및 계통분석법을 확립하였다. HPLC에 사용한 컬럼은 Symmetry $C_18$, 이동상은 0.01 M TBA-Br이 함유된 0.025 M 초산암모늄용액-아세토니트릴-메탄올(65 : 25 : 10)과 0.01 M TBA-Br이 함유된 0.025 M 초산암모늄용액-아세토니트릴-메탄올(40 : 50 : 10)를 구배용매조성법(gradient mode)으로 사용하였다. 자외선 검출기의 파장은 동시분석의 경우 254 nm, 계통분석은 황색계통 420 nm, 적색계통 520 nm 그리고 청색 및 녹색계통은 620 nm로 설정하였다. 이때 색소들의 검출한계는 적색계통이 $0.05\;{\mu}g/g$, 황색계통은 $0.03\;{\mu}g/g$, 청색 및 녹색계통은 $0.01\;{\mu}g/g$이었다. Sep-pak $C_18$을 이용한 색소의 정제 방법은 혼합색소표준용액의 pH를 $5{\sim}6$으로 조정하고 0.1% TBA-Br을 가하여 색소를 보유시킨 다음 0.1% 염산-메탄올로 색소를 용출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19종의 타르색소를 동시분석하는데 35분이, 계통분석시에는 18분 정도가 소요되었고 두 경우 모두 양호한 분리를 보였다.
6년령의 개가 오른쪽 턱 밑의 종괴와 고체온증으로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정확한 위치와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CT 촬영을 진행하였으며 3D 재구성을 실시하였다. CT 촬영 후 수술적으로 제거하였으며 제거 후 조직검사를 실시한 결과 거대세포 갑상샘 암종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환자의 혈액 중 조절 T 세포의 비율을 보기 위해 흐름세포측정기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38.28%로 정상인 개(8마리 정상 비글견에서 조사한 결과 $7.66{\pm}1.65%$ (P<0.01))에서 보다 높게 나왔다. 보호자가 항암치료는 원하지 않아서 실시하지 못하였으며 수술 7일 후 다시 재발하였으며 혈액검사 결과 심한 백혈구 증가증 및 비재생성 빈혈이 나타났다. 또한 폐전이 부위로 의심되는 부위가 악화되었으며 결국 심한 빈혈과 호흡곤란으로 폐사하였다.
Baek, Ji Hyeon;Seo, Hyun Kyong;Jee, Hye Mi;Shin, Youn Ho;Han, Man Yong;Oh, Eun Sang;Lee, Hyun Ju;Kim, Kyung Hyo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제56권7호
/
pp.286-290
/
2013
Purpose: Although chronic and recurrent rhinosinusitis is prevalent in children, little is known about its causes. Here, we investigated the humoral immunity in children with chronic or recurrent rhinosinusitis. Methods: We examined 16 children attending the outpatient clinic at the CHA Bundang Medical Center including 11 boys and 5 girls, aged 3-11 years (mean age, 5.6 years), who had rhinosinusitis for >3 months or >3 times per year. The complete blood count with differential and total serum concentrations of Immunoglobulin (Ig) E, IgA, IgD, IgM, IgG, and IgG subclasses ($IgG_1$, $IgG_2$, $IgG_3$, and $IgG_4$) of all children were measured. All subjects received 23-polysaccharide pneumococcal vaccination (PPV), and the levels of antibodies to 5 serologic types (4, 6B, 14, 18C, and 23F) of pneumococcal capsular polysaccharide antigen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vaccination. Post-PPV antibody titers ${\geq}0.35{\mu}g/mL$ or with a ${\geq}4$-fold increase were considered as positive responses. Results: The titers of IgG, IgA, IgD, and IgM were within normal range in all 16 children, whereas the total IgE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normal in 2 children. $IgG_1$ deficiency was observed in 1 patient and $IgG_3$ deficiency in 3. After PPV, 1 patient failed to respond to all 5 serologic types, 2 failed to respond to 4 serologic types, and 2 failed to respond to 3 serologic types. Conclusion: Clinicians should consider the evaluation of humoral immune functions in children with chronic or recurrent rhinosinusitis who do not respond to prolonged antibiotic treatment.
A tuber lectin from Arisaema jacquemontii Blume belonging to family Araceae was purified by employing a single step affinity chromatography using column of asialofetuin-linked amino activated silica beads and the bound lectin was eluted with 100 mM glycine-HCl buffer pH 2.5. The purified A. jacquemontii lectin (AJL) showed a single protein band with an apparent molecular mass of 13.4 kDa when submitted to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under reducing as well as non-reducing conditions. The native molecular mass of AJL determined by gel filtration on a Biogel P-200 column was 52 kDa and its carbohydrate content was estimated to be 3.40%. Thus AJL is a tetrameric glycoprotein. The purified lectin agglutinated erythrocytes from rabbit but not from human. Its activity was not inhibited by any of the mono- and disaccharides tested except N-acetyl-D-lactosamine having minimal inhibitory sugar concentration (MIC) 25 mM. Among the glycoproteins tested only asialofetuin was found to be inhibitory (MIC $125\;{\mu}g/mL$). A single band was obtained in native PAGE at pH 4.5 while PAGE at pH 8.3 showed two bands. Isoelectric focusing of AJL gave multiple bands in the pI range of 4.6-5.5. When incorporated in artificial diet AJL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Bactrocera cucurbitae (Coquillett) larvae indica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this lectin in a biotechnological strategy for insect management of cucurbits. Larvae fed on artificial diet containing sub-lethal dose of AJL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cid phosphatase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hile esterase activity markedly increased as compared to larvae fed on diet without lectin. Out of various human cancer cell lines employed in sulphorhodamine B (SRB) assay, this lectin was found to have appreciable inhibitory effect on the in vitro proliferation of HCT-15, HOP-62, SW-620, HT-29, IMR-32, SKOV-3, Colo-205, PC-3, HEP-2 and A-549 cancer cell lines by 82, 77, 73, 70, 41, 41, 37, 29, 21 and 21% respectively.
This study is performed to compare the dietary intakes and food sources of copper (Cu) using the database of Cu content developed in this study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remote rural areas (RA, n=58, $9.9{\pm}1.7$ yrs) and those in urban area (UA, n=60, $9.4{\pm}1.8$ yr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Cu concentration and serum antioxidant status in the RA.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1) Dietary intakes of calorie, calcium and iron in the RA were in the 3/5-4/5 of the Korean RDA while the UA were similar to or more than the Korean RDA, 7th ed. except iron. 2) More than 273 kinds of food consumed by the subjects were analyzed the content of Cu and database of Cu content were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The mean dietary intake of Cu per day in the RA was $0.99{\pm}0.07mg/d$ ($170.0{\pm}13.2%$ of the USA RDA) while it was $1.22{\pm}0.07mg/d$ ($203.4{\pm}13.1%$ of the RDA) in the UA. The percentage of dietary intakes of Cu less than 213 of the RDA was 8.6% in the RA in comparison to 0% in the UA. 3) The RA and the UA consumed more than 80% of total dietary intakes of Cu from plant foods. Thus, the RA and the UA consumed Cu from cooked rice, vegetables and fruits as a major source. However the RA had less Cu from meat and their products than did the UA (p<0.05) .4) Crab stew including crab and juice was the highest food source of Cu for the total subjects, followed by seasoned bud of aralia, cooked; beef rib meat, roasted; soybean paste soup w/mallow; and soybean paste soup w/mallow & beef. Major food source of Cu was similar for the RA and the UA such as cooked rice, vegetables and fruits. 5) Mean concentration of serum Cu in the RA was $18.1{\pm}0.7{\mu}M/L$ that was in the normal value, and all subjects in this group were in more than normal value. In the RA serum Cu concentration related positively with serum ceruloplasmin concentration, serum vitamin C concentration and EC SOD activity, respectively. However, serum Cu concentration did not relate with serum TBARS concentration in the RA.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 RA had good status of Cu nutrition based upon dietary intake and serum concentration, however some of the RA had lower intake of Cu than the RDA. The overall children in the UA had good Cu nutrition. Therefore, the subgroup of the RA should be supported to improve their Cu nutrition, and this support could give them better antioxidant status based upon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rum Cu concentration and serum antioxidant status in the RA.
러시아에서 여러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차가버섯은 대장암, 위암 등에서 항암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뇌종양에 대한 연구는 현재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차가버섯의 항암 효능에 대한 기전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경교모세포종 U-87 MG 세포주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세포생존율 변화와 형태학적 변화, 세포주기에 미치는 영향과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 및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차가버섯 추출물을 처리한 U-87 MG 세포 생존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Bcl-2, Bax와 p-p53 단백질 수준차이는 없었고 caspase-3 활성에 영향을 미쳐 죽음 수용체 경로에 의한 세포사멸이 이루어졌다. 또한 세포주기를 관찰한 결과 $G_0/G_1$ 세포주기에서 성장 억제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cyclin D1, CDK2 단백질 발현량의 감소와 RB 단백질의 인산화 억제 때문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차가버섯을 뇌종양의 치료 및 보조제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Wang, Dan-Dan;Jin, Yan;Wang, Chao;Kim, Yeon-Ju;Perez, Zuly Elizabeth Jimenez;Baek, Nam In;Mathiyalagan, Ramya;Markus, Josua;Yang, Deok-Chun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제42권1호
/
pp.42-49
/
2018
Background: Ginsenoside F1 has been described to possess skin-whitening effects on humans. We aimed to synthesize a new ginsenoside derivative from F1 and investigate its cytotoxicity and melanogenesis inhibitory activity in B16BL6 cells using recombinant glycosyltransferase enzyme. Glycosylation has the advantage of synthesizing rare chemical compounds from common compounds with great ease. Methods: UDP-glycosyltransferase (BSGT1) gene from Bacillus subtilis was selected for cloning. The recombinant glycosyltransferase enzyme was purified, characterized, and utilized to enzymatically transform F1 into its derivative. The new product was characterized by NMR techniques and evaluated by MTT, melanin count, and tyrosinase inhibition assay. Results: The new derivative was identified as (20S)-$3{\beta},6{\alpha},12{\beta}$,20-tetrahydroxydammar-24-ene-20-O-${\beta}$-D-glucopyranosyl-3-O-${\beta}$-D-glucopyranoside(ginsenoside Ia), which possesses an additional glucose linked into the C-3 position of substrate F1. Ia had been previously reported; however, no in vitro biological activity was further examined. This study focused on the mass production of arduous ginsenoside Ia from accessible F1 and its inhibitory effect of melanogenesis in B16BL6 cells. Ia showed greater inhibition of melanin and tyrosinase at $100{\mu}mol/L$ than F1 and arbuti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a decreased cellular melanin synthesis in B16BL6 cells through downregulation of tyrosinase activity. Conclusion: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report on the mass production of rare ginsenoside Ia from F1 using recombinant UDP-glycosyltransferase isolated from B. subtillis and its superior melanogenesis inhibitory activity in B16BL6 cells as compared to its precursor. In brief, ginsenoside Ia can be applied for further study in cosmetic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