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_2$ 흡착

검색결과 657건 처리시간 0.029초

UV조사에 의한 Poly(lactic acid)-g-Acrylic Acid 이온교환체의 합성 및 흡착특성 (Synthesis of Poly(lactic acid)-g-Acrylic Acid Ion Exchanger by UV Radiation Method and Metal Adsorption Properties)

  • 최은미;손복기;이창수;황택성
    • 폴리머
    • /
    • 제33권1호
    • /
    • pp.52-57
    • /
    • 2009
  • 본 연구는 UV 조사법으로 poly(lactic acid)-g-acrylic acid(PLA-g-AAc) 이온교환체를 합성하고 이들의 금속흡착 특성을 ICP-AES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PLA-g-AAC의 UV 조사량과 AAc의 농도변화에 따른 함수율, 그래프트율 및 이온교환용량을 측정하였다. 그래프트율은 AAc 및 benzophenone(BP) 농도가 각각 1.0, 0.1 mol/L일때 최대 28%이었으며, 이온교환용량과 함수율은 각각 1.13 meq/g와 38%로 UV 조사량 및 AAc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한편, PLA-g-AAc의 흡착시간에 따른 $Cu^{2+}$, $Co^{2+}$, $Ni^{2+}$에 대한 선택 흡착성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Cu^{2+}$가 가장 우수한 선택흡착성을 나타내었다.

Zoogloea ramigera 115와 Zoogloea ramigera l15SLR의 중금속 흡착능 비교 (Heavy Metal Adsorption Capacity of Zoogloea ramigera 115 and Zoogloea ramigera l15SLR.)

  • 이한기;배우철;진욱;정욱진;이삼빈;정병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3-88
    • /
    • 1998
  • Capsular polymer인 zooglan을 생산하는 Z. ramigera 115와 수용성 slime polymer 생산 변이주인 Z. ramigera l15SLR의 중금속 제거능을 비교하였다. 중금속 5종($Cd^{2+}$, $Co^{2+}$, $Cu^{2+}$, $Ni^{2+}$, $Fe^{2+}$)의 최저 생장저해농도는 두 균주 모두 유사하였다. $Cd^{2+}$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Cd^{2+}$ 500ppm을 첨가한 액체 배지에서의 생체량은 Z. ramigera 115는 24%, Z. ramigera l15SLR은 50%로 감소하였고 동일한 생체량에 대하여 Z. ramigera 115SLR이 Z. ramtgera 115보다 $Cd^{2+}$을 1.5배 더 제거하였다. 세포와 polymer를 분리하여 중금속 흡착능을 비교한 결과 polymer가 세포보다 높은 흡착량을 나타냈으며 최적 중금속 흡착 pH는 7.5였다. Langmuir 흡착등온선과 Freundlich 흡착등온선을 분석한 결과 $Cd^{2+}$에 대하여 Z. ramigera l15SLR polymer는 Z. ramigera 115 및 이온 교환 수지보다 높은 최대흡착량과 흡착안정성을 보여서 홉착제로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연소기체로부터 CO2를 포집하는 기포 유동층 공정에 관한 모델 (A Model on a Bubbling Fluidized Bed Process for CO2 Capture from Flue Gas)

  • 최정후;윤필상;김기찬;이창근;조성호;류호정;박영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3호
    • /
    • pp.516-521
    • /
    • 2012
  • 본 연구는 연소기체로부터 $CO_2$ 기체를 포집하는 기포 유동층 흡착 및 재생 반응기 공정의 주요 운전변수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단순화된 공정모델을 개발하였다. 반응속도와 반응기에서 고체입자의 평균체류시간을 이용하여 흡착탑과 재생탑에서 각 반응 전환율을 계산하였다. 실험실 규모 기포 유동층 공정에 적용하여 $CO_2$ 포집효율에 대한 온도, 기체유속, 고체순환속도, 연소기체 중 수분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CO_2$ 포집효율은 흡착탑의 온도 혹은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그러나 연소기체의 수분농도 혹은 재생탑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다. 계산된 $CO_2$ 포집효율은 측정값과 잘 일치하였다. 그러나 본 모델은 $CO_2$ 포집효율에 대한 고체순환속도의 영향과 잘 일치하지 않았다. 이의 해석을 위해서는 기체-고체 접촉효율에 대한 이해가 더 필요하였다.

A new laser pulse atom-probe 제작 및 $H_2$ 가스와 He 가스의 time-of-flight mass spectrum (An extension of new laser pulse atom-probe construction and time-of-flight mass spectrum of $H_2$ and He gas)

  • 송순달;홍남관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465-472
    • /
    • 1997
  • 본 연구는 전기 장에서 광여기 탈착과 이온화에 근거한 표면연구의 새로운 장치를 개발하고 시험한 결과를 보고한다. 실험장치의 분해능을 테스트 하기 위해 텡스텐(110)면에서 흡착기체 $H_2$ 와 He 가스를 조사하였으며, 팁의 온도는 80 K이었다. 장세기가 10 V/nm에서 50 V/nm사이에서 사용한 파장은 193 nm이였으며, 텡스텐(110)면에 가스가 흡착되었을때 레이저빔의 전자적인 여기로 부터 흡착가스와 팁에서 여러종류의 이온들이 형성되었다($H_2^+, CO^+, H_2O^+, He^+, W^{3+}$ 그리고 $W^{2+}$). 전체 mass spectrum의 기록은 Transient recorder가 가능하게 한다.

  • PDF

MEA (monoethanolamine) 함침 메조포러스 물질을 이용한 CO2 회수 (CO2 Removal using MEA (monoethanolamine) Impregnated Mesoporous Materials)

  • 박예원;백일현;박상도;이재욱;박소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6호
    • /
    • pp.573-58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MEA(monoethanolamine)를 함침한 메조포러스 물질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회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CM-41, MCM-48 및 SBA-15의 메조포러스 물질을 제조한 후 30, 50, 70 wt%의 MEA로 함침하였다. 함침한 메조포러스 물질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XRD, FT-IR, SEM, BET를 이용하였다. 이산화탄소 흡탈착 실험을 수행한 결과, 흡착량은 MCM-41>MCM-48>SBA-15 순으로 나타내었다. 최대 이산화탄소 흡착량은 50 wt% MEA 함침 MCM-41으로써 $40^{\circ}C$에서 $57.1mg-CO_2/gr-sorbent$이며, 이는 MCM-41과 비교할 때 8배 높았다. 그리고 20회 반복 흡탈착 실험 결과, 반복 실험에도 일정한 흡착능을 나타내었다.

Arsenazo I-XAD-2 킬레이트수지를 이용한 U(VI) 이온의 분리 및 농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rption Behavior of U(VI) ion by Arsenazo I-XAD-2 Chelating Resin)

  • 이창헌;이시은;임재희;엄태윤;김인환;강창희;이원
    • 분석과학
    • /
    • 제6권5호
    • /
    • pp.489-499
    • /
    • 1993
  • Aresenazo I-XAD-2 킬레이수지를 합성하고 이 수지에 대한 U(VI) 이온의 흡착 거동을 조사 검토하였다. 킬레이트수지는 Arsenazo I 킬레이트제와 Amberlite XAD-2의 디아조늄 짝지움 반응에 의해서 합성하였으며 원소 분석법과 적외선 분광법으로 확인하였다. U(VI) 이온 흡착의 최적 조건을 찾기 위해서 pH, U(VI) 이온농도와 진탕 시간에 관해서 조사하였다. U(VI) 이온에 대한 킬레이트수지의 전체 흡착능은 pH 4.0~4.5 범위에서 0.39mmol U(VI)/g resin이었고, pH값이 증가함에 따라 흡착능이 증가하였다. Aresenazo I-XAD-2 킬레이트 수지에 대한 U(VI) 이온의 흡착 메카니즘은 U(VI) 이온과 $H^+$ 이온 사이의 경쟁반응임을 확인하였다. 컬럼법으로 구한 U(VI) 이온의 돌파점 부피와 전체 흡착능은 각각 600ml, 0.38mmol U(VI)/g resin이었다. 3M $HNO_3$와 3M $Na_2CO_3$의 탈착용액을 사용하여 구한 회수율은 90~96%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합성한 Arsenaso I-XAD-2 킬레이트수지는 자연수 바닷물 중에 함유된 U(VI) 이온의 분리와 농축에 매우 유용함을 알았다.

  • PDF

키틴 기반 흡착제 PEI-chitin을 이용한 반응성염료의 제거 (Removal of Reactive Dyes using Chitin-based Adsorbent PEI-chitin)

  • 김경민;왕쭈오;원성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2호
    • /
    • pp.232-238
    • /
    • 2019
  • 산업폐수 속의 대표적인 색도유발물질인 염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생체흡착제로 폴리에틸렌이민을 키틴에 가교결합한 PEI-chitin을 개발하였다. 대표적인 반응성염료인 Reactive Orange 16 (RO16)을 모델염료로 사용하였고, RO16에 대한 PEI-chitin의 흡/탈착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pH의 영향, 등온흡착, 흡착속도론, 탈착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Langmuir 식에 의해 산출된 최대흡착량은 pH 2에서 266.3 mg/g이었고, 흡착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은 50 mg/L에서는 약 20분, 100 mg/L에서는 약 60분 그리고 200 mg/L에서는 약 240분으로 평가되었다. 탈착실험은 암모니아/에탄올 혼합용액, NaOH, $NaHCO_3$, $Na_2CO_3$를 용리액으로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암모니아/에탄올 혼합용액에서 75.24%로 가장 높은 탈착율을 보였다.

산화아연 단결정 면에서 일산화탄소의 산화반응에 대한 연구 (A Study of Carbon Monoxide Oxidation on ZnO Single Crystal Surface)

  • 전진;한종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83-190
    • /
    • 1993
  • 산화아연 단결정(1010) 면에서 나타나는 일산화탄소의 산화반응에 대한 특성을 298∼573 K 의 온도범위에서 두 결정면 사이의 축전용량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얻어진 절연층의 깊이 변화와 전도도 변화를 동시에 관찰하여 조사하였다. 흡착산소종이 없는 시료에 CO를 주입시켰을 때 373K 이하에서는 절연층의 깊이가 증가되었고, 473K 이상에서는 감소되었으나 그 변화는 $100{\AA}$ 이내로 적게 나타났다. 그러나 산소가 미리 흡착된 시료에 CO를 주입시켰을 때 실온에서는 절연층의 깊이와 전도도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373K에서는 절연층의 깊이가 약간 증가되고 전도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473K 이상의 온도에서는 절연층의 깊이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전도도는 증가되었다. 이들 결과와 각 온도에서 존재하는 흡착산소종의 형태를 연관시켜 CO의 산화반응에 대한 반응성과 반응경로를 제시하였다.

  • PDF

소나무와 참나무를 이용한 Pb(II) 제거 (Pb(II)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Pinewood and Oakwood)

  • 엄병환;조성욱;박성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450-459
    • /
    • 2014
  • 파쇄한 소나무와 참나무를 수중에서 Pb(II) 제거를 위한 흡착제로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접촉시간, 초기 Pb(II) 농도, pH, 경쟁이온, 그리고 흡착제 주입량이 Pb(II) 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분 흡착 실험을 수행하였다. 동역학적 실험 결과, 소나무와 참나무에 Pb(II) 흡착은 유사 1차 모델과 유사 2차 모델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형 흡착 실험 결과는 결정계수가 소나무의 경우 0.956, 참나무의 경우 0.950으로 Freundlich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와 참나무의 Pb(II) 최대 흡착양은 각각 16.853과 27.989 mg/g으로 나타났다. pH가 3에서 9로 증가함에 따라서 소나무와 참나무에 Pb(II) 흡착은 증가하였다. $Na^+$, $Ca^{2+}$, 그리고 $Al^{3+}$와 같은 양이온의 존재는 Pb(II) 흡착을 감소시켰다. Pb(II) 흡착은 증류수 조건에서 보다 해수에서 흡착량이 컸으며, 이는 해수에 존재하는 $CO{_3}^{2-}$$OH^-$ 이온이 Pb(II)와 화합물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Pb(II)로 오염된 물 정화에 소나무와 참나무가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