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31}^I$

검색결과 1,078건 처리시간 0.024초

동/서해병 해역 표층 퇴적물의 중금속 분포 특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n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of the Surface Sediments in East/West Oceanic Dumping Areas)

  • 김필근;박맹언;성규열;임성택;오설미
    • 자원환경지질
    • /
    • 제42권2호
    • /
    • pp.121-131
    • /
    • 2009
  • 폐기물 해양 투기 지역인 동해병과 서해병 해역 표층퇴적물의 입도, 광물학적 특성, 퇴적속도 및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여 중금속 분포 특성을 비교하였다. 동해병과 서해병 해역의 입도는 각각 $7.95{\sim}8.51{\Phi}$$7.42{\sim}8.15{\Phi}$의 범위이며, 동해병 해역의 일부 정점을 제외한 모든 정점의 퇴적상은 니질 퇴적물에 속한다 연구지역 표층퇴적물의 주 구성 점토광물은 일라이트이며, 카올린 계열 광물과 녹니석, 스멕타이트로 소량 구성되어 있다. $^{210}Pb$에 의해 추정된 동해병해역 표층퇴적물의 퇴적속도는 1.11 mm/yr$\sim$1.73 mm/yr이며, 서해병해역 퇴적물의 퇴적속도는 1.87 mm/yr이다. 상관성 분석 결과, 니켈, 구리, 크롬 및 아연은 평균입도, 알루미늄 및 철과 밀접한 상관성을 보인다. 반면, 연구지역 퇴적물의 카드뮴과 납은 이들 요소들과 상관성이 결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부화지수가 1.5이상으로 인위적인 오염의 징후를 보인다. 그리고 카드뮴과 납의 $I_{geo}$-class 역시 대부분 $2{\sim}4$로 moderately polluted$\sim$strongly polluted로 분류된다. 특히, 동해병의 $I_{geo}$-class가 최대 4인 strongly polluted로 분류되어 서해병 해역보다 높다. 이는 동해병 해역에 투기되는 폐기물이 서해병 해역에 투기되는 폐기물뿐만 아니라, 광물성폐기물, 하수도준설토사, 건설공사 오니 등이 추가로 배출되고 있으며, 양적으로도 서해병 보다 두 배 이상 투여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정상적인 한국 흑염소의 심전도에 관한 연구 1. 표전지유도와 단극지유도 (Studies on- Electrocardiogram of the Normal Korean Native Goat 1. Standard Limb Leads and Unipolar Limb Leads)

  • 최인혁;김선기;김추철;최인방;김남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19-337
    • /
    • 1997
  • The electrocardiographic (ECG) parameters in the normal Korean black goat have been measured with a 3-channel Electrocardiograph and computed, analyzed. ECG in 243 black goats were made with the limb leads (I, II, III, aVR, aVL, aVF), that were recorded conduction parameters of wave and interval, and were analyzed as to shape and amplitude of the P and T waves and the components of the QRS complex. Heart rate were recorded by the ECG which were a mean of 106.1$\pm $21.8 beats/min. Average conduction times in the PR, the QRS complex and the QTc interval were recorded 103.9$\pm $34.9 msec., 58.3$\pm $23.2 msec. and 302.6$\pm $67.8 msec., in the P and T wave duration recorded 24.8$\pm $6.4 msec. and 51.7$\pm $10.8 msec. respectively. The shape of wave in each leads were observed various types, and any spacial wave type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 in each lead that ware shown less than 60%, and these frequent rate and average amplitudes as fallow: 1. In P waver the frequent rate and average amplitudes of the positive type showed in leads I, II and aVL that were 54.8% (93.0$\pm $ 33.2 $\mu $V), 50.5% (90.1$\pm $30.5 $\mu $V) and 41.7% (58.5$\pm $ 31.1 $\mu $V). Average amplitude of the negative type showed the frequent rate of 49.8% in lead aVE which was -77.6$\pm$ 25.2 $\mu $V. Biphasic type in leads III and aVF were 46.1% (108.4 $\mu $V, -90.2 $\mu $V.) and 45.7% (137.4 $\mu $V, -105.4 $\mu $V.), and amplitude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of it were significant difference. 2. The highest amplitudes of the QRS complex in all leads were 534.8$\pm $ 232.3 $\mu $V of lead II. The frequent rate and amplitudes of the R wave type in the I, II, III and aVF were 30.2% (277.8 $\pm $131.3 $\mu $V), 45.1% (393.1$\pm $114.2 $\mu $V), 48.5% (349.3$\pm $178.3 $\mu $V) and 54.9% (334.4$\pm $129.7 $\mu $V), and QS ways type in the lead aVL was 49.5% (359.2$\pm $195.5$\mu $V), and RS and QS wave types in the lead a VR were 43.3% (312.4 $\mu $V, -212.7 $\mu $V.) and 41.1% (399.2$\pm $92.2 $\mu $V), respectively. 3. In T wave, the frequent rata and amplitudes of the positive type in the leads I, II, III and aVF were 44.6% (207.9$\pm $ 97.1 $\mu $V), 41.6% (245.1$\pm $92.1 $\mu $V), 46.9% (189.8$\pm $ 82.7 $\mu $V) and 53.0% (195.4197.8 $\mu $V), and the negative in the lead aVR was 41.2% (-230.7$\pm$ 103.1 $\mu $V), respectively. The positive and negative types in the lead aVe appeared with same frequent rate of 43.2%.4. Frontal plane vectors for P, QRS, and T were found to lie at 38.1$\pm $ 21.5, 142.0$\pm $ 57.2, and 117.2$\pm $ 63.9 degrees,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 ECG of goats may be served to the limited purposes as to conduction parameters, arrhythmias except abnormal ECG because of waveforms, amplitudes and electrical axis of it were variability.

  • PDF

다산역의 관점에서 본 경방의 효변설 (Jingfang's yaobian theory seen from Dasan Jeong Yagyong's view on the Book of Change.)

  • 방인
    • 철학연구
    • /
    • 제131권
    • /
    • pp.199-222
    • /
    • 2014
  • 서한(西漢) 시대의 역학자 경방(京房)은 다양한 해석방법을 개발함으로써 상수역의 이론적 발전과정에 심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다산역의 해석방법론은 상수역에 연원을 두고 있기 때문에 그 역학사적 기원을 밝히기 위해서는 경방역과의 관계가 명확히 해명될 필요가 있다. 필자는 다산역과 경방역의 관계를 해명하기 위하여 정약용이 효변설과 관련하여 경방에 대해 어떠한 평가를 내렸는지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효변설이란 효의 변화에 의하여 변괘(變卦, 즉 지괘(之卦))가 형성된다는 이론이다. 정약용은 "주역사전"에서 경방이 역사(易詞)를 풀이함에 있어 효변설을 적용하였다는 추정을 내리고, 그것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건초구(乾初九), 관상구(觀上九), 박상구(剝上九) 등의 역주(易注)에서 찾았다. 정약용이 제시한 증거를 통해서 본다면, 건초구(乾初九)와 박상구(剝上九)는 효변을 취한 명백한 증거로 보이는 반면에 관상구(觀上九)는 증거로 채택하기에 의심스러운 점이 있다. 그러나 설령 두 곳에서 경방이 효변을 적용한 것이 명백하다고 하더라도 정약용의 효변설과 경방의 효변설이 같은 것이라고 볼 근거는 없다. 오히려 양자의 효변설을 면밀히 검토해 보면, 서로 계통을 달리하는 이론이라는 것이 드러난다. 그 다음으로, 정약용은 건초구(乾初九)의 역주(易注)에서 경방과 더불어 효변을 이해하고 있는 인물로 경방보다 대략 백여년 이전(以前)에 활동했던 가의(賈誼)를 언급하였다. 필자는 가의가 세상을 떠난 기원전 168년은 마왕퇴 3호 한묘(漢墓)의 묘주(墓主)의 묘장(墓葬) 연대와 같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효변설의 근거로 제시되어 온 "춘추좌씨전"의 '모괘지모괘(某卦之某卦)'의 형식은 마왕퇴(馬王堆) 백서본 "주역"에서도 나타난다. 따라서 기원전 168년 이전(以前)에 "모괘지모괘(某卦之某卦)"의 형식이 널리 유행하고 있었음이 확실해진다. 만약 가의가 마왕퇴 백서본 "주역"에 나타난 효변설에 대한 이해를 공유하고 있었고, 경방도 역시 효변설을 이해하고 있었다면, 효변설은 역학사적으로 가의 이후로 경방에 이르기까지 백여년 동안 전승되었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추론에 대해 설득력있는 증거를 제시할 수 있다면, 이것은 역학사적으로 중요한 발견이 될 뿐 아니라, 다산역의 이론을 확증해주는 증거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여정자의 페놀계 항산화 성분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Microwave Extraction Conditions for Antioxidant Phenolic Compounds from Ligustrum lucidum Ait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윤샛별;이유리;이남근;정은정;정용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70-57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여정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해남산이 제주산과 중국산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국내 해남산이 중국산에 비해 각각 2배와 1.6배의 높은 값을 보였고, 해남산 여정자 추출물의 항산화는 DPPH법과 ABTS법에서 중국산에 비해 약 2배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활성이 높은 해남산 여정자의 추출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여 여정자의 추출온도와 추출시간에 따른 전자공여능,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조사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추출온도($X_1$), 추출시간($X_2$)을 독립변수($X_i$)로 하고 추출물의 특성 즉, 전자공여능($Y_1$), 총 페놀 함량($Y_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Y_3$)을 종속변수로 하여 추출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R^2$은 0.8859~0.9517로 10%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전체 모델의 유의 확률은 0.0026~0.0206으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들 추출물의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최적 추출조건은 추출온도 $131.68^{\circ}C$, 추출시간 5.49분으로 나타났다. 예측된 최적 추출조건의 임의의 점에서 실험한 결과, 각 종속 변수들의 예측값이 전자공여능은 35.38%, 총 페놀 함량은 6,045.27 mg/100 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3.24 mg/100 g이었고, 실제값은 전자공여능이 35.18%, 총 페놀 함량이 6,055.68 mg/100 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103.72 mg/100 g으로 예측값과 실제값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마이크로웨이브 장치를 이용하여 여정자의 페놀계 화합물 추출조건을 최적화함으로써 단시간에 시료의 유용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고, 여정자의 유용성분 열수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식품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게 되었다.

정상한국인(正常韓國人) 및 각종갑상선질환(各種甲狀腺疾患)에서의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Achiles Tendon Reflex in Normal Korean Persons and Various Thyroid Diseases)

  • 강진영;김명덕;이홍규;이정상;고창순;이문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28
    • /
    • 1978
  • 저자(著者)는 정상한국인(正常韓國人)과 각종갑상선질환(各種甲狀腺疾患)에서의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을 Photomotograph에 의해 측정(測定)하여, 그 진단적(診斷的) 가치(價値)와 한국인(韓國人)에 있어서의 연령별(年齡別), 성별(性別)에 따른 정상치(正常値)를 구(求)하기 위하여 1975년(年) 4월(月) 1일(日)부터 1977년(年) 8월(月) 30일(日)까지 서울대학교(大學敎) 의과대학(醫科大學) 부속병원(附屬病院) 내과(內科)를 내방(來訪)한 각종(各種) 갑상선질환(甲狀腺疾患) 환자(患者) 193례(例)와 정상한국인(正常韓國人) 남자(男子) 190명(名), 여자(女子) 150명(名), 총 340명(名)을 대상(對象)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정상한국인(正常韓國人)에서의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은 11세부터 20세까지는 남자(男子); $250{\pm}27msec$, 여자(女子); $266{\pm}27msec$, 21세부터 30세까지는 남자(男子); $271{\pm}27msec$, 여자(女子); $284{\pm}25msec$, 31세부터 40세까지는 남자(男子); $273{\pm}25msec$, 여자(女子); $291{\pm}27msec$, 41세부터 50세까지는 남자(男子); $286{\pm}35msec$, 여자(女子); $307{\pm}42msec$, 51세부터 60세까지는 남자(男子); $296{\pm}33msec$, 여자(女子); $318{\pm}46msec$, 61세 이상에서는 남자(男子); $301{\pm}33msec$, 여자(女子); $325{\pm}35msec$로서 연령(年齡)에 따라 현저히 증가(增加)되어 있었으며, 성별(性別)에 따른 차(差)는 여자(女子)가 남자에 비(比)하여 다소 지연(遲延)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나 유의(有意)한 차(差)는 없었다. 2) 갑상선기능항진증(甲狀腺機能亢進症) 환자(患者)에서의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은 $221{\pm}20msec$로서 정상대조군(正常對照群)에 비(比)해 현저히 단축(短縮)되어 유의(有意)한 차(差)가 있었다. 3) 갑상선기능저하증(甲狀腺機能低下症) 환자(患者)에서의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은 $414{\pm}65msec$로서 정상대조군(正常對照群)에 비(比)하여 현저히 지연되어 유의(有意)한 차(差)가 있었다. 4) 갑상선기능검사상(甲狀腺機能檢査上) 정상(正常)인 갑상선질환(甲狀腺疾患) 환자(患者)에 대(對)한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은 $287{\pm}33msec$로서, 정상대조군(正常對照群)에 비(比)하여 유의(有意)한 차(差)가 없었다. 5)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과 ETR (Effective Thyroxine Ratio), $T_3RU,\;^{131}$섭취율(攝取率) 및 혈중(血中) TSH치(値)와는 밀접한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다. 6)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의 진단적(診斷的) 정확도(正確度)는 기능항진증(機能亢進症)에서 71%이었고, 가양성율(假陽性率)은 11%, 가음성율(假陰性率)은 29%이었으며 갑상선기능저하증(甲狀腺機能低下症)에서의 진단적(診斷的) 정확도(正確度)는90%, 가양성율(假陽性率)은 27%, 가음성율(假陰性率)은 10%이었다. 7) 치료후(治療後), 증상(症狀) 및 기능(機能)의 호전(好轉)과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사이에는 좋은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여 갑상선질환(甲狀腺疾患)의 경과관찰(經過觀察)에 유효(有效)하였다.

  • PDF

산란계 사료내 Conjugated Linoleic Acid(CLA)와 불포화지방산 함유 Oil의 첨가가 산란율과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Oil Containing Unsaturated Fatty Acid Supplementation on Egg Production Rate and Quality in Laying Hens)

  • 김효진;유종상;신승오;조진호;진영걸;황염;김영준;황광연;양무성;김도중;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1-136
    • /
    • 2008
  • 본 시험은 산란계 사료내 conjugated linoleic acid(CLA)와 불포화지방산 함유 oil의 첨가가 산란율과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동물은 36주령 ISA Brown 갈색계 288수를 공시하였으며, 사양 시험은 5주간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1) BO(basal diet + 1% soybean oil + 1% oat), 2) BS(basal diet + 1% safflower oil + 1% oat), 3) BF (basal diet + 1% free fatty acid + 1% oat), 4) CD(basal diet + 1% CLA containing diglyceride + 1% oat), 5) CT(basal diet + 1% CLA containing triglyceride + 1% oat), 6) CP(basal diet + 1% CLA by-product + 1% soybean oil)로 6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8반복, 반복당 6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산란율에 있어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난각 강도에 있어서는 3주째에 CP 처리구가 BS, BF, CD, CT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4주째에는 BO와 CP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난각 두께에서는 3주와 4주째 모두에서 CP 처리구가 BS, BF, CD, CT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난중에 있어서는 3주와 4주째 모두에서 CP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시험 4주째의 난황고에 있어서는 BF와 CT 처리구가 BO, CD, CP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BO와 CD 처리구는 CP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또한, 4주째의 난황색에 있어서는 CP 처리구가 BO와 BS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호우 유닛(Haugh unit)에 있어서는 3주와 4주째 모두에서 BO와 CP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본 시험 결과 산란계 사료내 CLA와 불포화지방산 함유 oil을 첨가.급여하면 산란율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계란 품질에 있어서는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소장 질환별 방사선학적 검사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소장조영술과 복부골반전산화단층촬영의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 (Application of Radiological Study by Small Bowel Disease - Comparison of Diagnostic Results of Small Bowel Series and Abdominal Pelvic Computed Tomography -)

  • 이희정;손순룡;이원홍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8권4호
    • /
    • pp.279-286
    • /
    • 2005
  • 목 적 : 소장조영술과 복부골반 CT검사의 진단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방사선학적 영상의 특징 파악 및 질환에 따른 적절한 방사선학적 검사법을 선택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소장조영술과 복부골반 CT검사를 병행하여 시행한 환자 284명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진단 소견을 병명별로 분류하였다. 소장조영술은 250 ml 황산바륨 현탁액(W/V 40W/V%, Methylcellulose+$BaSo_4$)을 경구로 복용시키고, Rt. recumbent position을 취하게 한 후 약 10분 후에 Carboxymethylcellulose solution(0.5%) 600 ml 복용시켰다. 20분, 40분, 1시간 정규촬영을 하고, 조영제가 회맹판(I-C valve)을 통과하면 투시 하에 저격촬영을 시행하였다. 복부골반전산화단층촬영은 검사 1시간 전에 $BaSO_4$+Methylcellulose 1.5 W/V% 450 ml를 복용시키고 검사직전 450 ml 추가로 복용시켰다. 요오드 성분의 비이온성 조영제 2.5 ml flow/sec로 주입하고, 조영제 주입 후 72초 지연 촬영을 하였다. 촬영은 간 상연에서부터 치골결합 부위까지 continuous scan을 시행하였으며, 검사 protocol은 Helical thick 5 mm, picth 1.375 : 1, speed 27.50, increment 5 mm, 120 kV, 245 mA로 하였다. 결 과 : 소장조영술에서는 정상(Normal)이 131예(46.1%), 감염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 이하 IBS)이 65예(22.9%), ischemia+ileocolitis+vasculitis 22예(7.7%), obstruction+stricture 21예(7.4%)의 순으로 나타났고, 복부골반 CT검사에서는 정상이 103예(36.3%) IBS가 65예(22.9%), wall thickening+lymphadenopathy가 42예(14.8%), fluid collection이 17예(6%)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장조영술과 복부골반 CT검사에서 동일하지 않은 결과로 진단된 경우는 소장조영술에서 정상으로 진단된 132명(46.1%) 중 14예(10.6%), 복부골반 CT검사 결과에서는 wall thickening+lymphadenopathy와 IBS로 진단되어 차이를 보였으며, 복부골반 CT검사 결과 정상으로 진단된 103예(36.3%) 중 5예(5.8%)가 소장조영술에서 ischemia+ileocolitis+vasculitis로 진단되었다. 정상으로 진단 된 235예 중 37예(15.9%)가 서로 다른 결과로 진단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 론 : 본 연구에서 특정질환에 특정검사의 진단결과가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므로 방사선학적 검사의 진단적 민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처방 및 검사에 있어서 질환에 따른 적절한 검사법의 선택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Silago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요인의 평가 (The Evvalution of Different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Silage)

  • 한정대;윤익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28
    • /
    • 1978
  • 재료(材料)의 수확시기(收穫時期)와 여건(予乾), 세절(細切) 등(等)의 물리적(物理的)인 처리(處理)가 싸이레지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해 Italian ryegrass(Lolium multi florum)는 출수전(出穗前) I)과 출수기(出穗期) II), 섬다비(Dystaenia takesimana NaKai)는 개화전(開花前) III)에 각각(各各) 예취(刈取)하여 무처리(無處理) A) 1일(日) 여건(予乾) B), $1{\sim}2cm$ 세절(細切) C), 세절후(細切後) 여건(予乾) D)의 4가지 조제방법(調製方法)으로 $1,727cm^3$의 프라스틱 원통 싸이로를 사용(使用)하여 싸이레지 조제후(調製後) 실온(室溫)에서 약(約) 3개월(個月) 저장(貯藏)한 후케 동시(同時)에 개봉(開封)하여 조사(調査)한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섬바디는 조섬유함량(粗纖維含量)이 낮고 N.F.E/CP 비율(比率)이 6.31로 Italian ryegrass보다 싸이레지에 적합(適合)한 일반성분(一般成分)을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2. 무처리(無處理) 및 세절시(細切時) 일반성분(一般成分) 중(中) N.F.E 손실(損失)이 가장 많았고 여건시(予乾時)는 적었다. 3. 세절(細切), 여건(予乾)은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을 개선(改善)시켰다. 4. 동일용적내(同一容積內)에 건물충전량(乾物充塡量)은 Italian ryegrass 출수전(出穗前)에 비(比)해 출수기(出穗期) 및 섬바디가 각각(各各) 8%, 69% 증가(增加)되었고, 여건(予乾) 또는 세절시(細切時) 무처리(無處理)보다 각각(各各) $41%{\sim}134%$ 증가(增加)되었다. 5. 저장중(貯藏中) 중량손실(重量損失)은 대부분(大部分)이 첫 주(週)에 발생(發生)되었고 손실(損失)은 4주(週)까지 서서히 계속되었다. 8주(週)까지의 최고손실(最高損失)은 무처리(無處理)의 3.76%였다. 6. 1일(日) 여건(予乾)으로 건물함량(乾物含量)은 $23%{\sim}131%$ 증가(增加) 시켰다. 여건(予乾), 세절(細切)은 pH, 유산함량(乳酸含量)은 유의(有意)하게 증가(增加)시켰으나 반대로 초산(醋酸), 낙산(酪酸) $NH_3-N$ 함량(含量) 유의(有意)하게 감소(減少)시키고 품질개선(品質改善)에 현저(顯著)한 결과(結果)가 인정(認定)되었다. 7. $NH_3-N$과 낙산(酪酸), 유산(乳酸)과 건물함량(乾物含量) 간(間)에는 각각(各各) r=0.782**, r=0.634**의 상관(相關)이 있었으며 회귀방정식(回歸方程式)은 각각(各各) y=12.853X+4.908(X=낙산함량(酪酸含量)), y=0.061X+1.309(X=건물함량(乾物含量))이었다. 8. 이상(以上)의 결과(結果) 양질(良質) 싸이레지 조제(調製)를 위(爲)해서 Italian ryegrass는 여건(予乾) 또는 세절(細切)이 반드시 필요(必要)하며, 섬바디는 여건(予乾), 세절(細切)이 품질개선(品質改善)에 유효(有效)하였다.

  • PDF

거제시 신현읍 완충녹지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rogram for Buffer Greens at Sinhyeon-Eup, Geoje-Si)

  • 사공영보;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43-256
    • /
    • 2007
  • 본 연구는 거제시 신현읍의 산림을 연결하는 녹지축의 식재현황을 파악하고 생태적 구조개선방안을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소음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완충녹지로 육교산(50m)과 중매산(131m)을 잇는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비오톱 유형은 시가화지역, 도로 등 도시화지역 2개, 산림비오톱, 하천비오톱, 조경수목식재지 비오톱 등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지역 15개로 총 17개로 분류되었다. 비오톱 유형분석자료를 바탕으로 자연생태계가 양호하여 생물서식이 가능한 육교산과 중매산을 거점녹지로, 기조성된 완충녹지를 연결녹지로 활용하는 것이 생물을 도심내로 유입하는 유일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거점녹지, 준거점녹지, 연결녹지의 녹피율은 각각 160.29%, 128.37%, 44.37%. 녹지용적계수는 $4.04m^3/m^2,\;3.95m^3/m^2,\;0.65m^3/m^2$로 거점녹지는 층위구조가 형성되어 생물서식처 및 종공급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준거점녹지는 하층식생이 훼손되었고, 연결녹지는 관목층의 식재량 부족 및 훼손으로 불량하였다. 결국, 도심내로의 야생조류유입 및 생물서식을 위한 통로 역할과 시민들의 이용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거점녹지의 연결을 통한 생물종다양성 증진 및 시민의 이용을 위한 자연관찰로를 조성하고자 도심내 야생조류 유입을 위한 생태적 조성 가로녹지 조성을 통한 녹지 연결, 도시민의 이용 및 휴양을 위한 경관개선에 대한 세부실천계획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학교 텃밭의 지속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초등학교의 학교 텃밭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 (A Sustainable Operation Plan for School Gardens - Based on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Gardens in Seoul)

  • 최이진;이재정;조상태;장윤아;허주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6-48
    • /
    • 2018
  • 본 연구는 학교 텃밭의 양적인 확대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시내 599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설문조사에 응답한 161개 학교 모두가 학교 텃밭을 조성 운영하고 있었다. 서울시 초 중 고 포함 학교 텃밭 면적은 $166,901m^2$, 평균 $131.2m^2$이고, 설문조사에 응답한 161개교의 학교 텃밭 면적은 $65,493m^2$, 평균 $363m^2$, 학생 1인당 $1.15m^2$로 조사되었다. 학교 자체적으로 조성 운영하는 경우는 11.8%, 학교 자체적으로 조성하여 운영하다가 기관 지원 사업을 통해 재조성 혹은 환경개선을 하여 운영하는 경우가 50.3%로 조사되었다. 학교 텃밭은 조성위치에 따라 혼합형(교내 텃밭과 상자텃밭 조합)이 34.8%로 많았고, 교내 텃밭형이 32.9%, 상자 텃밭형이 29.2%, 교외 근린텃밭을 활용하는 교외 텃밭형 학교도 3.1%였다. 텃밭 운영 담당자는 담당교사가 51.6%로 가장 높았으며, 텃밭 조성 시에 함께 조성된 시설물은 소형 온실 농기구 보관함이 26.1%로 가장 많았으나, 별도의 기반시설이 함께 조성되지 않은 경우도 21.7%였다. 텃밭 운영에 있어서 어려운 점은 텃밭 관리가 34.2%로 가장 높았고, 텃밭의 지속적 운영을 위해 가장 필요한 요소로 물리적 환경 개선과 유급관리인 고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각 32%로 높게 조사되었다. 학교 텃밭 조성목적은 교육환경 조성(81.6%)이 가장 높았으며, 텃밭관리에 필요한 정보는 주로 주변 자문(67.8%)을 통해서 얻고 있었다. 텃밭에서 발생하는 식물쓰레기를 친환경적으로 퇴비화하는 학교는 45.8%였다. 학교 텃밭의 교육적 활용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매우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63.2%,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36.8%로 조사대상 학교 전체가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텃밭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지속적인 운영방안으로 학교 실정에 맞는 텃밭조성 지원, 양질의 교육프로그램적용 및 교구개발, 담당교사 직무연수 확대, 전문 강사 지원방법 모색, 텃밭관리조직 운영의 필요성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