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eta}$-amylase

Search Result 325, Processing Time 0.069 seconds

과요오드산 산화당에 의한 인공 당단백질의 조제 (Glycosylation of Protein by Conjugation of Periodate-Oxidized Sugars)

  • 안용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2-67
    • /
    • 1999
  • 과요오드산 산화 가용성전분 및 말토올리고당을 고구마 ${\beta}-amylase$, 밀 ${\beta}-amylase$, aldolase, bovine serum albumin, catalase, carboxypeptidase, ferritin, pronase와 반응시켜서 전기영동하였다. 이들 단백질은 전기영동상의 이동도가 달라지고, 단백질 밴드와 같은 위치에서 PAS 염색 밴드를 나타내어 당이 부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당의 부가는 과요오드산 산화당의 알데히드기가 단백질 분자 표면 리신의 ${\varepsilon}-NH_2$기와 Schiff 염기를 형성하여 일어난다. 변형효소는 자외흡광곡선에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효소원을 달리한 노치의 품질 변화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chies Saccharified by Amylases from Various Sources)

  • 이종미;윤희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22-534
    • /
    • 1996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chi made with malted barley flour with (Cl) and without hull (C2), comparing with Nochi that was treated with different sources of commercial amylases. There was higher level of moisture content (18.4%) in Nochi treated with fungal ${\alpha}$-amylase (FU) comparing with the other Nochi samples. However, Nochi that was treated with bacterial ${\alpha}$-amylase and ${\beta}$-amylase (BA-${\beta}$) had the lowest level of moisture content (11.2%). Nochi samples which were treated with thermostable ${\alpha}$-amylase and fungal ${\alpha}$-amylase(TE-FU) we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Nochi samples in mechan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Cl was similar to C2 except in cohesiveness and malt flavor. TE-FU and Bh-${\beta}$ were not different from traditional Nochi in cohesiveness, sweetness and overall desirability.

  • PDF

옥수수의 발아과정중(發芽過程中) AMYLASE활성(活性) (A Study on Amylase Activities During Germination of Maize Seeds)

  • 최국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2호
    • /
    • pp.107-111
    • /
    • 1984
  • Corn malt제조(製造)의 기초연구(基礎硏究)의 일환(一環)으로 발아(發芽) 과정중(過程中) 옥수수의 외관형태(外觀形態) 및 건조(乾燥) 중량(重量)의 변화(變化), 전분(澱粉) 및 가용성당(可溶性糖)의 변화(變化), ${\alpha}$- 및 ${\beta}$-amylase의 경시(經時) 활성변화(活性變化)를 보리와 비교(比較)하면서 조사(調査)하였다. 발아(發芽) 과정중(過程中) 배유부(胚乳部)의 전분(澱粉) 분해(分解)는 보리에 비(比)하여 옥수수가 $2{\sim}4$일(日) 늦게 진행(進行)되었으며 분해속도(分解速度)는 약(約) $20{\sim}30%$ 낮았다. 발아종자(發芽種子)에 존재(存在)하는 가용성당(可溶性糖)은 발아(發芽) 초기(初期)에 일시적(一時的)으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나 Jelly pandam이외(以外)의 나머지 시료(試料)는 전분(澱粉)의 분해(分解)가 시작(始作)되면서 현저(顯著)하게 증가(增加)하였다. ${\alpha}$- 및 ${\beta}$-amylase활성(活性)은 발아경과(發芽經過)에 따라 증가(增加)하여 발아(發芽) 8일후(日後)에 최대(最大) 활성(活性)을 나타내었다. Jelly pandam은 낮은 amylase활성(活性)을 나타내었으나 보리와 황옥(黃玉)옥수수는 거의 비슷한 활성(活性)을 나타냈으며 ${\beta}$-amylase활성(活性)은 황옥(黃玉)이, ${\alpha}$-amylase활성(活性)은 보리가 각각 높았다.

  • PDF

고구마 $\beta$아밀라아제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2) (Stability of Sweet Potato $\beta$Amylase (II))

  • 안용근;이석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53-258
    • /
    • 1996
  • Stabilities of sweets potato f-amylase on various reagents were studied. The enzyme was stabilized by bovine serum albumin, Triton X-100 and 2-mercaptoethanol of 0.04%. Among them, bovine serum albumin was the most effective. And enzyme stability was increased by using the deairated solution. The enzyme activity was remained 0% in the absence of glycerol, 25% in the presence of 20% glycerol and 50% in the presence of 40% glycerol at 37$^{\circ}C$, for 15 hours in pH 11. SDS inhibited the enzyme, and 2-mercaptoethanol and dithiothreitol stabilized it.

  • PDF

효소식품과 효소표방식품 중 아밀라아제 활성과 당 함량 조사연구 (A Study on Contents of Sugar and the Activities of Amylase in Enzyme Foods and Enzyme-shaped Foods)

  • 김명길;오문석;강석호;김한택;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59-365
    • /
    • 2015
  • 본 연구는 효소식품과 효소표방식품 (기타가공식품, 음료베이스, 기타발효음료, 액상차) 98건에 대한 ${\alpha}$-아밀라아제, ${\beta}$-아밀라아제 활성과 당 함량을 조사하였다. 효소식품과 기타가공품의 ${\alpha}$-아밀라아제 활성은 각각 4.9~53,854.6 U/g, 2.9~1,182.7 U/g으로 같은 유형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발효식품의 ${\alpha}$-아밀라아제 활성은 각각 0.1~1.7 U/g이었다. 효소식품, 기타가공품 그리고 발효식품의 ${\beta}$-아밀라아제 평균 활성은 각각 126.0 U/g, 5.6 U/g, 10.5 U/g으로 효소표방식품은 효소식품보다 훨씬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평균 당 함량은 효소식품 22.4 g/100 g, 기타가공품 14.8 g/100 g, 음료베이스 46.9 g/100 g, 기타발효음료류 41.1 g/100 g, 액상차 39.5 g/100 g으로 발효식품에서 높은 당 함량을 나타냈다. ${\alpha}$-아밀라아제 활성과 유당 함량은 효소식품에서 통계적으로 강한 상관관계(r = 0.644)를 나타냈고 기타가공식품에서는 매우 강한 상관관계(r = 0.903)를 나타냈다. ${\beta}$-아밀라아제 활성과 유당 함량은 효소식품에서 통계적으로 강한 상관관계(r = 0.648)를 나타냈고 기타가공식품에서는 강한 상관관계(r = 0.757)를 나타냈다. 효소식품과 기타가공품에서 ${\alpha}$-아밀라아제 활성과 ${\beta}$-아밀라아제 활성 사이에는 매우 강한 상관관계(r = 0.869, r = 0.760)를 나타냈다. 즉, ${\alpha}$-아밀라아제 활성과 ${\beta}$-아밀라아제 활성 사이에 비례관계가 성립함을 알 수 있었다.

$IO_4$-산화 전분 변형 $\beta$-아밀라아제의 안정성 및 $\alpha$-Cyclodextrin의 영향 (A Study of $\beta$-Amylase Modified $IO_4$-Oxidized Starch -Effects of $\alpha$-Cyclodextrin-)

  • 안용근;남포능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9-164
    • /
    • 1998
  • 고구마 $\beta$-아밀라아제를 NaIO4-산화 가용성 전분으로 변형하여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치적안정 pH는 3 및 4를 나타냈고, pH 3, 5~9, 11에서 비변형 효소보다 높은 안정성을 나타냈다. 6$0^{\circ}C$에서 15분 동안 변형효소는 비변형 효소보다 안정성이 증가하였다. 변형 보리 $\beta$-아밀라아제는 전체 pH에 걸쳐서 넓은 pH 안정성을 나타냈고, $\alpha$-cyclodextrin은 이를 더욱 증가 시켰다.

  • PDF

$IO_4$-산화전분 변형에 의한 보리 $\beta$-Amylase의 안정성 증가 (Stabilization of Barley $\beta$-Amylase by Modification with $IO_4$-Oxidized Starch)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42-347
    • /
    • 2000
  • 과요오드산-산화전분으로 보리 $\beta$-amylase(Bio-zyme ML, 일본 아마노제약)를 변형시켜서 인공당단백질을 만들었다. pH 8.0에서 변형한 효소는 비변형효소의 92%, pH 9.7에서 변형한 효소는 42%의 활성이 남았다. 6$0^{\circ}C$에서의 열안정성은 $\alpha$-cyclodextrin ( $\alpha$-CD) 존재 시에 변형하여 $\alpha$-CD존재시 분석한 효소는 10분 뒤에 비활성의 8%가 남은 반면 변형하지 않은 효소는 4.5%밖에 남지 않았다. pH안정성은 변형 시켜서 $\alpha$-CD존재 하에 분석한 효소가 가장 높아서 pH 2~5와 7~12에서 안정성이 매우 증가하였다. HPLC분석 결과 효소는 두 개의 피크를 나타냈으며 변형시킨 것은 당결합으로 분자량이 커져서 유출시간이 약간 빨라졌다.

  • PDF

$IO_4$-산화전분 변형에 의한 밀 $\beta$-Amylase의 안정성 증가 (Stabilization of Wheat $\beta$-Amylase by Modification with $IO_4$-Oxidized Starch)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48-352
    • /
    • 2000
  • 과요오드산-산화전분으로 밀 $\beta$-amylase(Himaltosin GL. 일본한큐바이오사)를 변형시켜서 인공당단백질을 만들었다. pH 8.0에서 변형한 효소는 비변형효소의 96%. pH 9.7에서 변형한 효소는 17%의 활성이 남았다. 6$0^{\circ}C$에서의 열 안정성은 $\alpha$-cyclodextrin ( $\alpha$-CD) 존재 시에 변형하여 $\alpha$-CD 존재시에 분석한 효소는 10분 뒤에 비활성의 8%가 남은 반면 변형하지 않은 효소는 5% 밖에 남지 않았다. pH안정성은 변형시켜서 $\alpha$-CD존재 하에 분석한 효소가 가장 높아서 pH 2~5와 6~12에서 안정성이 매우 증가하였다. HPLC분석 결과 효소는 하나의 피크를 나타냈으며 변형시킨 것은 당결합으로 분자량이 커져서 유출시간이 약간 빨라졌다.

  • PDF

소맥품종에 있어서 발아종자의 Amylase 활력과 내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and on relationship between Amylase activities winter hardiness of germinating seeds in winterwheat varieties)

  • 원종익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23-127
    • /
    • 1969
  • 소맥품종의 내한성 정도를 간이하게 판정할 수 있는 연구로서 내한성정도가 이미 알려진 3계급 9품종을 대상으로 하여 발아종자의 Amylase 활력의 강약과 품종의 내한성 정도와의 관계를 5시기 별로 시험했든바 그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시기별로는 Amylase 활력에 있어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각품군간에는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2. 내한성에 강한 품종인 수원8005, 진광, 육성003는 다른 2군의 품종군보다 높은 Amylas의 활력을 보여주었고 내한성이 약한 품종인 적달마, 강도신력, 농촌004는 낮은 Amylase 활력을 나타냈으며 내한성이 중간정도인 농림006, 강도, 농림1002는 중간정도의 활력을 나타내었다. 3. 포장조건에서 내한성 정도가 같아보이는 품종간에서도 Amylase 활력을 강약이 인정되어 보다 세밀한 분류가 가능했다. 4. 시기별로 보면 제1~2일 째에서는 내한성 강, 중, 약 3품종군중 Amylase 활력의 차가 크지 않았으나 3일째에 3품종군간에 더욱 명백한 Amylase 활력의 차를 보여 주었고 제4일과 제5일에는 다시 낮아졌으며 포장의 냉해정도와도 시기에 관계없이 고도의 부의 상관을 인정할수 있었으며 3일째에서 가장 높았다. 5. 고로 발아후 3일에 나타난 결과에 의거 Amylase 활력의 차로 내한성의 강, 중, 약을 구명하는 것이 가장 알맞은 것으로 보이며 내한성판별의 기준으로써 효율적 편법으로 인정되었다.

  • PDF

등숙 중인 보리 종실중 (1-3, 1-4)-$\beta$-Glucan과 전분 함량 및 이들의 가수분해효소 활성 ((1-3, 1-4)-$\beta$-Glucan and Starch Contents and Their Hydrolytic Enzyme Activities in Developing Barley Kernels)

  • 윤성중;박상래;유남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03-409
    • /
    • 1997
  • 취반용 보리 종실 내 (1-3, 1-4)-$\beta$-glucan의 축적기작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화 후 일정 간격으로 보리 종실을 채취하여 (1-3, 1-4)-$\beta$-glucan 함량, (1-3, 1-4)-$\beta$-glucanase 활성 및 전분함량과 $\alpha$-amylase 활성을 조사하였다. $\beta$-glucan 함량은 등숙 초기에 매우 낮았으나 개화 후 15~25일 사이에 급속히 증가하였고 개화 후 30일경에는 종실 건물중의 3.5~4%로 증가하였다. (1-3, 1-4)-$\beta$-glucanase 활성은 등숙 초기에 높았으며 등숙이 진전될수록 감소하였다. $\beta$-glucan 함량과 (1-3, 1-4)-$\beta$-glucanase 활성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나 등숙 종실 중의(1-3, 1-4)-$\beta$-glucanase 활성이 매우 낮은 수준이므로 $\beta$-glucan 축적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분함량은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개화 후 10~20일에 가장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포도당함량은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등숙 초기와 중기에 감소 정도가 매우 컸다. $\alpha$-amylase의 활성도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감소 정도는 등숙 초기와 중기에 매우 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