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Li$

검색결과 2,972건 처리시간 0.034초

AFM을 이용한 $LiPF_6$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수용액중에서의 흑연 음극 표면에 형성되는 피막에 관한 연구 (AFM Study on Surface Film Formation on a Graphite Negative Electrode in a $LiPF_6$-based Non-Aqueous Solution)

  • 정순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313-1318
    • /
    • 2006
  • 흑연 음극 표면상에 형성되는 필름의 생성 기구를 규명하기 위하여, 1 몰의 $LiPF_6$가 함유된 탄산에틸렌과 탄산디에칠의 혼합 용액 중에서 고배향성 열분해 흑연을 0.5 mV $s^{-1}$ 의 느린 속도로 전위주사하면서 원자력간 현미경을 이용하여 전극표면을 in-situ 관찰하였다. 전해질 용액의 분해반응은 전극의 스텝 모서리 상에서 우선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전극 전위 2.15 V (vs. $Li^+$/Li) 에서 시작되었다. 0.95-0.8 V (vs. $Li^+$/Li) 의 전위 영역에서 전극 표면의 특정 부분이 평탄하게 부풀어오르는 현상과, 타원형의 돌기 구조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형상 변화에 있어서 전자는 용매화된 리튬 이온이 흑연 층간에 삽입되며 나타나는 구조 변화이며, 후자는 삽입된 용매화 리튬이 환원 분해되어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0.8 V (vs. $Li^+$/Li) 보다 음의 전위 영역에서는 입자상의 침전물이 전극 표면에 형성되었다. 1 사이클 후, 측정된 침전층의 두께는 30 nm 이었다. 이러한 침전물은 리튬염($LiPF_6$)과 용매 분자(EC 및 DEC)들이 분해되어 생성된 것이며, 전극 표면에서 계속적으로 전해질 용액이 분해되는 반응을 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대조차 만리포 해안의 지상 LiDAR와 MBES를 이용한 정밀 지형/수심 측량 및 조간대 접합을 통한 정밀 지형도 작성 (Construction of High-Resolution Topographical Map of Macro-tidal Malipo beach through Integration of Terrestrial LiDAR Measurement and MBES Survey at inter-tidal zone)

  • 심재설;김진아;김선정;김상익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58-6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지상 LiDAR 및 MBES(다중빔 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정밀 지형 및 수심측량을 실시하였고, 조간대 영역의 육도-해도 접합을 통하여 대조차 해안인 만리포에 대한 정밀 지형도를 작성하였다. 제한된 시간내에 조간대 영역의 충분한 지형정보 획득을 위하여 간조시 지상 LiDAR 및 DGPS를 차량지붕에 탑재하여 이동 정지 스캐닝의 해변 전체의 지형정보를 획득하였고, 이와 동시에 만조시 MBES를 통하여 수심측량을 실시하였으며 조위계 설치와 목측을 통한 조위관측의 병행을 통하여 수심보정자료 및 만리포의 평균해면 추산자료로 사용하였다. 조간대 정합을 위해 지형 및 수심자료의 수직좌표계 기준면은 인천 평균해면으로 단일화하였으며, 조간대 평균 중첩오차는 약 2~6 cm 이내로 나타났다. 또한 지상 LiDAR 자료의 정확도 검증을 위해 RTK-DGPS 측량을 동시에 실시하여 수직좌표값을 비교한 결과 평균 제곱근 오차가 약 4~7 cm 이내로 나타났다. 정밀지형도 작성은 GIS 기반 자료처리를 통하여 50 cm 해상도를 갖는 수치표고자료로 생산하였으며, 이는 현재 연안지역 침수범람 예측을 위한 폭풍해일 침수범람 예측모델의 정밀 입력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장기간에 걸친 주기적 측량 자료와 측량시의 인위적 해변 변화량 및 해양환경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3차원 공간분석을 실시한다면 침 퇴적양의 정확한 산출을 통하여 연안 모니터링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분자 도포를 이용한 실리콘-탄소의 합성 및 Si-C|Li Cell의 전기화학적 특성 (Synthesis of Silicon-Carbon by Polymer Coating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Si-C|Li Cell)

  • 도칠훈;정기영;진봉수;안계혁;민병철;최임구;박철완;이경직;문성인;윤문수
    • 전기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07-112
    • /
    • 2006
  • 실리콘 분말에 polyaniline(PAn)을 중합하고 탄화하여 Si-C재료를 개발하고 물리적 특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평균입도는 PAn의 중합으로 증가하였으며 탄화로 일부 감소하였다. XRD분석으로 결정질의 실리콘과 비결정성의 탄소 재료가 공존함을 확인 하였다. Si-PAn 전구체로 부터 개발한 Si-C 재료를 이용한 Si-C|Li cell은 Si|Li cell에 비하여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탄소 전구체인 PAn의 HCl 탈도핑에 의해 전기화학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었다. 전해액 중 FEC 첨가한 경우 초기 방전 용량이 증가하였다. GISOC시험으로 구한 가역 비용량 범위는 Si-C(Si:PAn=50:50wt. ratio)|Li 전지의 경우 약 414mAh/g를 나타내었으며, 가역 범위에 대한 초기 충방전의 intercalation 효율(IIE)는 75.7%였으며, 표면 비가역 비용량은 35.4mAh/g을 나타내었다.

폐(廢)리튬이온전지(電池) 양극활물질(陽極活物質)의 황산(黃酸) 침출용액(浸出溶液)에서 PC88A에 의한 Ni 및 Li의 용매추출(溶媒抽出) (Solvent Extraction of Ni and Li from Sulfate Leach Liquor of the Cathode Active Materials of Spent Li-ion Batteries by PC88A)

  • 안재우;안효진;손성호;이기웅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1권6호
    • /
    • pp.58-64
    • /
    • 2012
  • 리튬이온전지 양극활물질의 황산침출액으로부터 니켈과 리튬을 분리 회수를 위하여 PC88A를 사용하여 니켈 및 리튬의 용매추출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용액상의 pH, 추출제의 농도 및 상비 변화 등 니켈과 리튬의 추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에 대한 추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평형 pH가 증가할 수록 니켈 및 리튬의 추출율 및 분리계수값이 증가하였고, pH 8.5에서 25% PC88A에 의해 니켈의 경우 99.4%, 리튬의 경우 28.7%의 최대 추출율을 보였다. 이 경우 분리인자값은 411.6을 나타내었다. McCabe-thiele 도표 분석 결과로 부터 니켈의 경우 상비(A/O) 1.5에서 3단으로 99%이상 추출이 가능하였다. 한편 탈거액으로 황산을 사용하였고, 최적의 Ni의 탈거를 위해서 필요한 황산농도는 50-60 g/L 이었다.

Pseudomonas synxantha A3가 생산하는 세포외 Guanine Deaminase의 성질 (The Properties of Extracellular Guanine Deaminase from Pseudomonas synxantha A3)

  • 전홍기;박정혜;이성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441-446
    • /
    • 1986
  • Pseudomonas synxantha A3가 생산하는 세포외 guanine deaminase의 몇가지 성질을 검토하였다. 본 효소의 안정 pH는 6.5-7.5 부근이었으며, 열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 온도에서 10분간 처리하였을 때 4$0^{\circ}C$까지 안정하였고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서서히 실활되었다. 또한 pH 8.0의 0.2M potassium phosphate 완충액에 본 효소를 보관하였을 때 실온에서 30일간 안정하였고 alcohol 및 acetone은 본 효소의 안정화에 효과가 없었다. 효소활성을 위한 최적온도 및 pH는 각각 5$0^{\circ}C$와 pH 7-8 부근이었다. 본 효소는 1mM의 Hg$^{++}$, Ag$^+$, Li$^+$에 의해 각각 50%이상 저해되었으며, 0.1mM의 Ag$^+$에 의해서도50%이상 저해되었다. Li$^+$에 의해 저해된 본 효소에 EDTA를 가하였을 때 효소의 활성회복에 효과가 있었다. 본 효소의 활성은 1mM의 pentachlorophenol에 의해 50%, p-CMB에 의해 40%정도 저해되었다. p-CMB에 의해 저해된 본 효소에 thiol compound를 가하였을 때에는, 사용된 시약 중 glutathione이 본 효소의 활성회복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아에서 서혜부탈장 수술 후 장골서혜신경 및 장골하복신경 차단술과 창상국소주사의 진통효과 비교 (A Comparison between Ilioinguinal and Iliohypogastric Nerve Block and Infiltration of Local Anesthetics for Postoperative Pain after Inguinal Herniorrhaphy in Children)

  • 박대근;이남혁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20권1호
    • /
    • pp.7-11
    • /
    • 2014
  •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s of ilioinguinal and iliohypogastric nerve block with infiltration of local anesthetics (bupivacaine) into the wound in children after inguinal hernia repair. Ninety children below 7 years old who were scheduled elective inguinal hernia repair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one of three groups. The patients in nerve block (NB) group, ilioinguinal and iliohypogastric nerve block was done with 0.5 mL/kg of 0.25% bupivacaine. The patients in infiltration of local anesthetics (LI) group, 0.5 mL/kg of 0.25% bupivacaine was infiltrated into the wound after surgery. The patients in control group were allocated as a Control group. Postoperative pain was assessed at 1, 3, 5, and 24 hours after operation with FLACC scale and additional analgesic consumption were counted. The three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ge, sex, body weight, and duration of operation. Pain scores at 1 hour and 3 hours after oper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ntrol group than in NB group and LI group (p<0.01), whereas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NB group and LI group. The rescue analgesics adminis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ntrol group (n=11) than in NB group (n=6) and LI group (n=7) (p<0.05). There were 2 cases of transient femoral nerve palsy in NB group. Both of ilioinguinal and iliohypogastric nerve block and infiltration of local anesthetics into the wound provided effective postoperative analgesia in early postoperative period following inguinal hernia repair in children. But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Technically, infiltration of local anesthetics into the wound was easier and safer than ilioinguinal and iliohypogastric nerve block.

이중 효용과 일중 효용을 복합한 다단 재생 고효율 흡수식 냉동 사이클 개발 (Development of High Efficiency Cycle by Combining Double-Effect with Single-Effect Absorption Chiller Systems)

  • 윤상국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9권7호
    • /
    • pp.360-365
    • /
    • 2017
  • Recently, development efforts of triple-effect absorption chiller have been increased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ouble-effect absorption chiller. However, triple-effect absorption chiller has some disadvantages, including high corrosion characteristic of LiBr solution at high temperature of $200^{\circ}C$.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components for operation under high pressure of 2 bars even though COP is increased to 1.6 or 1.7.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 new system by combining double effect absorption chiller with single effect absorption chiller with multi-generators using bypass flow of LiBr dilute solution to $3^{rd}$ generator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riple-effect chiller and improve energy efficiency. Results indicate that the new absorption cycle had a much higher efficiency than double-effect chiller system, showing significant improvement when bypass solution flow rate of 25% was applied to the $3^{rd}$ generator using the main dilute solution of the absorber. The COP of the new chiller system was found to be 1.438, which was 21.7% higher than that (1.18) of the present double-effect system. The COP was decreased when solution by-pass rate to the $3^{rd}$ generator was increased. In addition, lower cooling water temperature caused higher COP. Therefore, the multi-generator system with by-pass solution might be an excellent chiller alternative to triple-effect absorption chiller with higher efficiency.

플러렌으로 수식된 피를 고분자 피막전극에 알카리 금속이온의 포집 (Deposition of Alkali Metal Ions at Polypyrrole Film Electrodes Modified with Fullerene)

  • 차성극;이상천
    • 전기화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6-20
    • /
    • 2004
  • 플러렌 이온$(full^-)$으로 수식된 피를 고분자 피막을 전기화학법으로 중합하기 위하여 사용된 전지는 Au/5mM pyrrole, 1mM fullerene, 0.1M $TBABF_4,\; CH_2C1_2/Pt$이었으며 이 전지로 $electrode/ppy(full^-)ppy(full^-){\ldots}$와 같은 웨이퍼형의 전극을 제작하였다. 이 전극을 사용한 Au(quartz crystal analyzer; QCA)/ppy$(full^-)$, 0.01M metal ion(aq.)/Pt형의 전지로 알카리 금속이온을 포집하였다. $Li^+,\;Na^+,\;K^+,\;Rb^+$$Cs^+$이온의 포집에 대한 속도상수는 일차반응 속도식으로 계산한 결과 그 값이 각각 $1.60\times10^{-8},\;3.13\times10^{-11},\;1.38\times10^{-9},\;2.71\times10^{-11}$$2.98\times10^{-12}mo1.s^{-1}$이였다. 이 전극을 수정판 미량저울(QCM)을 적용하여 결정한 각 이온의 화학양론은 $Li_7C_{60},\;Na_4C_{60},\;K_3C_{60},\;Rb_1C_{60}$$Cs_1C_{60}$이었다.

Microscopic Analysis of High Lithium-Ion Conducting Glass-Ceramic Sulfides

  • Park, Mansoo;Jung, Wo Dum;Choi, Sungjun;Son, Kihyun;Jung, Hun-Gi;Kim, Byung-Kook;Lee, Hae-Weon;Lee, Jong-Ho;Kim, Hyoungchul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68-573
    • /
    • 2016
  • We explore the crystalline structure and phase transition of lithium thiophosphate ($Li_7P_3S_{11}$) solid electrolyte using electron microscopy and X-ray diffraction. The glass-like $Li_7P_3S_{11}$ powder is prepared by the high-energy mechanical milling process. According to the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and selected area diffraction (SAD) analysis, the glass powder shows chemical homogeneity without noticeable contrast variation at any specific spot in the specimen and amorphous SAD ring patterns. Upon heating up to $260^{\circ}C$ the glass $Li_7P_3S_{11}$ powder becomes crystallized, clearly representing crystal plane diffraction contrast in the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image. We further confirm that each diffraction spot precisely corresponds to the diffraction from a particular $Li_7P_3S_{11}$ crystallographic structure, which is also in good agreement with the previous X-ray diffraction results. We expect that the microscopic analysis with EDS and SAD patterns would permit a new approach to study in the atomic scale of other lithium ion conducting sulfides.

비납계 $[Bi_{1-x}(Na_{0.7-x}K_{0.2}Li_{0.1})]_{0.5}Ba_xTiO_3$ 압전 세라믹의 압전-유전특성 (Piezoelectric and Ferroelectric Properties of $[Bi_{1-x}(Na_{0.7-x}K_{0.2}Li_{0.1})]_{0.5}Ba_xTiO_3$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s)

  • 이대수;정순종;김민수;박언철;송재성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7
    • /
    • pp.271-271
    • /
    • 2006
  • The structural,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Bi_{1-x}(Na_{0.7-x}K_{0.2}Li_{0.1})]_{0.5}BaxTiO_3$ (BNKLBxT) ceramics were studied for the compositional range, x = 0-0.08. The samples were prepared by conventional sintering technique. The result of X-ray diffraction (XRD) suggest that $Ba^{2+}$ diffuse into the $[Bi(Na_{0.7}K_{0.2}Li_{0.1})]_{0.5}TiO_3$ (BNKLT) lattices to form a solid solution with a single phase perovskite structure. The ceramic show excellent piezoelectric and ferroelectric properties, and optimum properties measured are as follows: piezoelectric constant $d_{33}=230pC/N$, planar electromechanical coupling factor $k_p\;=\;40.3%$, remanent polarization $P_r\;=\;30\;{\mu}C/cm^2$, and coercive field $E_c\; =\;2.5\;kV/mm$,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