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ruction of High-Resolution Topographical Map of Macro-tidal Malipo beach through Integration of Terrestrial LiDAR Measurement and MBES Survey at inter-tidal zone

대조차 만리포 해안의 지상 LiDAR와 MBES를 이용한 정밀 지형/수심 측량 및 조간대 접합을 통한 정밀 지형도 작성

  • Shim, Jae-Seol (Climate Change & Coastal Disaster Research Depart. KORDI) ;
  • Kim, Jin-Ah (Marine Environment & Pollution Prevention Research Depart. KORDI) ;
  • Kim, Seon-Jeong (Climate Change & Coastal Disaster Research Depart. KORDI) ;
  • Kim, Sang-Ik (Climate Change & Coastal Disaster Research Depart. KORDI)
  • 심재설 (한국해양연구원 기후.연안재해연구부) ;
  • 김진아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방제연구부) ;
  • 김선정 (한국해양연구원 기후.연안재해연구부) ;
  • 김상익 (한국해양연구원 기후.연안재해연구부)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In this paper, we have constructed high-resolution topographical map of macro-tidal Malipo beach through integration of terrestrial LiDAR measurement and MBES survey data at inter-tidal zone. To acquire the enough information of inter-tidal zone, we have done terrestrial LiDAR measurement mounted on the roof of vehicle with DGPS through go-stop-scan method at the ebb tide and MBES depth surveying with tide gauge and eye staff measurement for tide correction and MSL calculation at the high tide all together. To integrate two kinds of data, we have unified the vertical coordination standard to Incheon MSL. The mean error of overlapped inter-tidal zone is about 2~6 cm. To verify the accuracy of terrestrial LiDAR, RTK-DGPS measurement have done simultaneously and the difference of Z value RMSE is about 4~7 cm. The resolution of Malipo topographical map is 50 cm and it has constructed to DEM (Digital Elevation Model) based on GIS. Now it has used as an input topography information for the storm-surge inundation prediction models. Also it will be possible to use monitoring of beach process through the long-term periodic measurement and GIS-based 3D spatial analysis calculating the erosion and deposition considering with the artificial beach transition and coastal environmental parameters.

본 논문에서는 지상 LiDAR 및 MBES(다중빔 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정밀 지형 및 수심측량을 실시하였고, 조간대 영역의 육도-해도 접합을 통하여 대조차 해안인 만리포에 대한 정밀 지형도를 작성하였다. 제한된 시간내에 조간대 영역의 충분한 지형정보 획득을 위하여 간조시 지상 LiDAR 및 DGPS를 차량지붕에 탑재하여 이동 정지 스캐닝의 해변 전체의 지형정보를 획득하였고, 이와 동시에 만조시 MBES를 통하여 수심측량을 실시하였으며 조위계 설치와 목측을 통한 조위관측의 병행을 통하여 수심보정자료 및 만리포의 평균해면 추산자료로 사용하였다. 조간대 정합을 위해 지형 및 수심자료의 수직좌표계 기준면은 인천 평균해면으로 단일화하였으며, 조간대 평균 중첩오차는 약 2~6 cm 이내로 나타났다. 또한 지상 LiDAR 자료의 정확도 검증을 위해 RTK-DGPS 측량을 동시에 실시하여 수직좌표값을 비교한 결과 평균 제곱근 오차가 약 4~7 cm 이내로 나타났다. 정밀지형도 작성은 GIS 기반 자료처리를 통하여 50 cm 해상도를 갖는 수치표고자료로 생산하였으며, 이는 현재 연안지역 침수범람 예측을 위한 폭풍해일 침수범람 예측모델의 정밀 입력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장기간에 걸친 주기적 측량 자료와 측량시의 인위적 해변 변화량 및 해양환경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3차원 공간분석을 실시한다면 침 퇴적양의 정확한 산출을 통하여 연안 모니터링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미, 강준묵 (2006). LiDAR 자료를 이용한 유역의 퇴적물 모니터링. 한국측량학회지, 24(1), 27-36.
  2. 국토지리정보원 (2009a). 다차원 공간정보구축 표준매뉴얼.
  3. 국토지리정보원 (2007). 영상지도 제작현황.
  4. 국토지리정보원 (2009b). 항공레이저측량 작업규정.
  5. 국토해양부 (2006). 연안침식 모니터링 체계구축(IV).
  6. 소방방재청 (2008). 자연재해피해저감기술 개발 및 지진해일 재해저감기술 개발.
  7. 심재설, 김진아, 박한산, 김선정 (2010). 지상 LiDAR를 이용한 만리포 해변 정밀 지형측량 및 지형변화 분석.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32(1). https://doi.org/10.4217/OPR.2010.32.1.073
  8. (2008). SHOALS를 이용한 해안선 측량 및 수심측량. 지리정보학회, 2008 공동추계학술대회, 331-332.
  9. 조우석 (2008). 지적 지형측량 통합에 따른 지적측량 기술개발방향. KINX2008107955.
  10. 최윤수, 황세열, 서병덕, 위광재 (2004). LiDAR & SHOALS 기술을 이용한 해안선 측량 및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한국의 해안선 정립을 위한 워크샵, 137-144.
  11. Ahmed, F. and Elaksher. (2008). Fusion of Hyperspectral image and LiDAR-based DEM for coastal mapping. J. Optics and Lasers in Eng., 46(7), 493-498. https://doi.org/10.1016/j.optlaseng.2008.01.012
  12. Brzank, A. and Heipke, C. (2006). Classification of LiDAR data into water and land points in coastal area. Proc. Int'l Society for Photogrammerty and Remote Sens., 1, 197-202.
  13. Harley. M., Turner. I., Short. A. and Ranasinghe. R. (2006). Monitoring beach processes using conventional, RTK-GPS and Image-derived survey methods: Narrabeen beach. Proc. Coastal GIS Conference.
  14. Lisa. S. P., Michael. A. O. and Jack. A. P. (2008). Developing Terrestrial- LiDAR-based Digital Elevation Models for Monitoring Beach Nourishment Performance, Journal of Coastal Research, Vol. 24, No. 6, pp. 1555-1564.
  15. Paul. A. G., Wang. Y. and White. S. A. (2006). Using LiDAR to Monitor a Beach Nourishment Project at Wrightsville Beach, North Carolina, USA. J. Coastal Res. 22(5), 1206-1219.
  16. Shui-sen. C., Liang-fu. Chen., Qin-huo. L., Li. X. and TAN. Q. (2005). Remote sensing and GIS-based integrated analysis of coastal changes and their environmental impacts in Lingding Bay, Pearl River Estuary, South China. J. Ocean & Coastal Management, 48(1), 65-83. https://doi.org/10.1016/j.ocecoaman.2004.11.004
  17. Simon J. Buckley, J. A. Howell, H. D. Enge, T. H. Kurz, (2008). Terrestrial laser scanning in geology: data acquisition, processing and accuracy considerations. J. Coastal Res., 24(6), 625-638.
  18. Stockdon. H. F., Shallenger. J. A. H, List. J. H. and Holman. R. A. (2002). Estimation of shoreline position and change using airborne topographic LiDAR data. J. Coastal Res., 18(3), 502-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