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본 연구는 2024년도 청운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참고문헌
-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 = DT_2KAAA10
- 임선아, 이순아. (2022).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마트폰 의존과 학업열의 간의 관계에서 정서문제, 사회 관계, 학습시간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31(3), 159-17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2023, 53-54.
- 도명애, 서석진, 박채진. (2018).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스마트폰 중독 원인과 결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4), 117-141.
- 김상우,. 이진, 이병희. (2018). 스마트폰 사용정도에 따라 후기 청소년들의척추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지강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재활복지, 22(2), 213-230.
- 박용민. (2011). 성인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Hamamura T, & Kobayashi N, & Oka T. (2023) Validity, reliability, and correlates of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Short Version among Japanese adults. BMC Psychology, 11(78).
- 이민선, 이은진. (2024). 사회복무요원의 우울 증상과 정신건강. 정신간호학회지, 33(1), 1-8.
- 배미영, 권은주. (2024). 유아교사의 무아, 스트레스, 우울의 상관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23(1), 95-116.
- Dweck C. S. Mindset the new psychology of success. New York: Random House Inc; 2016.
- 왕양, 왕문성, 이창식. (2024). 중국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행복과 희망의 이중매개효과. 산업진흥연구, 9(1), 241-248.
- 박정미, 김여정, 천성문. (2017). 진로포부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 미치는 성취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마이스터고 남학생의 경우. 재활심리연구, 24(4), 603-622.
- Thomee, S., Harenstam, A., & Hagberg, M. (2011). Mobile phone use and stress, sleep disturbances, and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 A prospective cohort study. BMC Public Health, 11(66), 1-11.
- Schroder, H. S., & Dawood, S., & Yalch, M. M., & Donnellan, M. B., & Moser, J. S. (2017). The role of implicit theories in mental health symptoms, emotion regulation, and hypothetical treatment choices in college student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41(3), 684-698.
- Schleider, J. L., & Abel, M. R., & Weisz, J. R. (2015). Implicit theories and youth mental health problems: A random-effects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35, 1-9.
- Yeager, D. S., & Trzesniewski, K. H., & Dweck, C. S. (2016). An implicit theories of personality intervention reduces adolescent aggression in response to victimization and exclusion. Child Development, 87(4), 1350-1363.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연구, 38-65..
- 배미영. (2009). 아동우울척도의 구성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학교, 6(3), 265-289.
- Beck. A. T. (1977). Depression: Causes and treatment. Philadelphia, P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9-15.
- 양혜경. (2014). 개인적, 환경적, 매체 특성적 요인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엄기영, 김혜선, 김선주, 김은미. (2021). 기혼남성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와 연령의 조절효과. 융합정보논문지, 11(8), 129-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