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ategies for Reserving National Lands Based on Environmental Value

환경가치를 고려한 국유지 비축방안

  • Jisoo Sim ;
  • Yoonsun Park
  • 심지수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 박윤선 (한국산지보전협회 산지정책연구센터)
  • Received : 2024.06.07
  • Accepted : 2024.07.30
  • Published : 2024.09.30

Abstract

Land reservation policies are twofold: Land Banking and Reserved National Lands. The former purchases land for public development before prices rise and controls supply and demand. The latter reserves land for future administrative needs. Both systems aim to reserve land for future supply if prices increase. However, these policies lack responses to contemporary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he carbon-neutral society and development-restricted zones. This study proposes policy reform to preserve environmental value by evaluating land in metropolitan areas using six ecosystem service variables. Target areas are Gapyeong-gun, Pocheon-si, and Yeoncheon-gun in Gyeonggi Province. Short-term improvements include evaluating environmental value, mid-term measures involve adding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to reservations, and long-term measures include expanding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s role in integrated management.

토지비축제도는 토지은행사업과 비축부동산으로 구분할 수 있다. 토지은행사업은 공공개발용 토지를 지가가 상승하기 전에 매입하고, 필요시 공급하는 기능과 토지의 수급 및 가격 조절을 위해 토지를 매입하고 다시 매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축부동산은 향후 발생하는 행정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사전에 토지를 비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제도 모두 미래의 지가 상승에 대비하여 필요시 공급을 위해 토지를 비축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그러나 탄소중립사회의 도래 및 개발제한구역의 지속적인 해제와 같은 동시대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토지비축은 현행 제도에서 누락되어 있다. 이 연구는 토지가 갖는 환경가치를 보전하고 국가 차원에서 대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토지비축제도의 기능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을 대상으로 토지의 환경가치를 생태계서비스 중 조절 및 지지서비스를 고려하여 여섯 가지 변수로 평가하고 국유지와 공유지와의 인접성을 고려하여 최종 토지비축 대상 지역을 경기도 가평군, 포천시, 연천군 순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해 현행 토지비축제도의 개선방안을 단기와 중기, 장기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단기적으로 환경가치를 고려한 토지 평가가 필요하고, 중기 제도개선방안으로는 현행 토지비축제도에 토지비축의 목적 추가가 필요하다. 장기 제도개선방안으로는 토지비축제도의 통합관리 및 종합계획 수립에 국유재산 총괄청의 역할을 확대하여 종합적인 비축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과제는 부산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강문성.장희순.방경식(2016), "제주도 토지비축 제도의 실효성 제고", 「감정평가학 논집」, 15(2): 66~78.
  2. 관계부처 합동(2022), "유휴.저활용 국유재산매각. 활용 활성화 방안", 세종.
  3. 국토교통부(2020.6.9), "공공토지의 비축에 관한 법률".
  4. National Geography Information Institute (NGII) (2020), The National Atlas of Korea 2, 251, Seoul. (in Korean)
  5. 권대한.허재완.최준영.김태경(2010), "국공유지를 활용한 우선 토지비축 대상지 선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5(3): 135~145.
  6. 권용우.이창수.변병설.이재준(2006), "개발제한구역의 환경보전을 위한 토지매입 기준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1(2): 79~92.
  7. 기획재정부(2020), 국유재산관리운용총보고서, 세종.
  8. 기획재정부(2020.3.24), "비축부동산 업무처리 기준".
  9. 기획재정부(2024.7.10), "국유재산법".
  10. 기획재정부(2024.7.10), "국유재산법 시행령".
  11. 김대종.임은선.구형수(2013), 「토지수요 모니터링 및 비축토지 선정방안 연구」, 세종: 국토해양부.
  12. 김륜희.김미숙.이성근(2018),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토지비축의 필요성: 프랑스 토지비축기관을 사례로", 「LHI Journal」, 9(2): 9~19.
  13. 김상겸(2008), "토지비축사업에 관한 헌법적 검토", 「토지공법연구」, 42: 79~96.
  14. 김중은.이성원.김다윗.김태환.김동근.임지영(2017), 「광역적 도시공간구조를 고려한 개발제한구역 중장기 관리방안 연구」, 세종: 국토연구원.
  15. Kim, T., C. Song, W. K. Lee, M. Kim, C. H. Lim, S. W Jeon and J. Kim (2015), "Habitat Quality Valuation Using InVEST Model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8(5): 1~11. (in Korean)
  16. 박미정.전정배.최진아.김은자.임창수(2016), "토지피복 지도를 이용한 생태계 서비스 가치 변화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7(3): 681~688.
  17. 서순탁(2008), "토지비축제도의 국제비교와 정책적 시사점", 「한국토지공법학회」, 42: 117~142.
  18. 안소은.김지영.이창훈.배두현(2009), 「환경가치를 고려한 통합정책평가연구」, 서울: 환국환경정책.연구원.
  19. 이종권.최은희(2012), "토지비축의 안정적 재원조달을 위한 토지은행채권 도입방안: 사례 비교를 통한 법.제도.회계처리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LHI Journal」, 3(4): 333~341.
  20. 이훈종(2021), "우리나라 생태계서비스 가치의 시공간 변화 및 특성: 1980 년대 말부터 2000년대 말 사이의 토지변화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6(6): 675~704.
  21. 임종무.강남훈(2011), "토지비축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학회지」, 5: 143~150.
  22. 장경석.강재구(2018), 「공공토지의 비축에 관한 법률」의 입법영향분석, 서울: 국회입법조사처.
  23. Chhatre, A. and A. Agrawal (2009), "Trade-Offs and Synergies between Carbon Storage and Livelihood Benefits from Forest Common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6(42): 17667~17670.
  24. Costanza, R., R. d'Arge, R. de Groot, S. Farber, M. Grasso, B. H annon, K. Limburg, S. Naeem, R. V. O'Neill, J. Paruelo, R. G. Raskin, P. Sutton and M. van den Belt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6630): 253~260.
  25. Daily, G. C., P. A. Matson and P. M. Vitousek (1997), "Ecosystem Services Supplied by Soil", in: Nature's Services: Societal Dependence on Natural Ecosystems, (ed) Daily, G. C., Washington DC: Island Press.
  26. Foley, J. A., R. Defries, G. P. Asner, C. Barford, G. Bonan, S. R. Carpenter, F. S. Chapin, M. T. Coe, G. C. Daily, H. K. Gibbs, J. H. Helowski, T. Holloway, E. A. H oward, C. J. Kucharik, C. Monfreda, J. Patz, I. C. Prentice, N. Ramankutty and P. K. Snyder (2005), "Global Consequences of Land Use", Science, 309 (5734): 570~574.
  27. Johnson, B. A. and K. Iizuka (2013), "Integrating Open Space and Ecosystem Services in Land Use Planning: A Case Study from Fukushima, Japan", Land Use Policy, 31: 152~159.
  28. Lal, R. (2004), "Soil Carbon Sequestration Impacts on Global Climate Change and Food Security", Science, 304(5677): 1623~1627.
  29.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M.E.A.) (2005),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Synthesis, Washington, DC.: Island Press.
  30.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NIFoS) (2015), "Tree Volume Table, Biomass Table and Stand Yield Table", Seoul.
  31. Nowak, D. J., D. E. Crane and J. C. Stevens (2006), "Air Pollution Removal by Urban Trees and Shrubs in the United States",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4(3-4): 115~123.
  32. Redhead, J. W., C. Stratford, K. Sharps, L. Jones, G. Ziv, D. Clarke, T. H. Oliver and J. M. Bullock (2016), "Empirical Validation of the InVEST Water Yield Ecosystem Service Model at a National Scal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569-570: 1418~1426.
  33. Reid, W., H. Mooney, A. Cropper, D. Capistrano, S. Carpenter, K. Chopra, P. Dasgupta, T. Dietz, A. Duraiappah, R. Hassan, R. Kasperson, R. Leemans, R. May, A. Mcmichael, P. Pingali, C. Samper, R. Scholes, R. Watson, A. H . Zakri and M. Zurek (2005), Millenium Ecosystem Assessment Synthesis Report, Washington, D.C.: Island Press.
  34. Sharp, R., J. Douglass, S. Wolny, K. Arkema, J. Bernhardt, W. Bierbower, N. Chaumont, D., Fisher, D. Denu, K. Glowinski, R. Griffin, G. Guannel, A. Guerry, J. Johnson, P. Hamel, C. Kennedy, C.K. Kim, M. Lacayo, E. Lonsdorf, K. Mandle, L. Rogers, J. Silver, J. Toft, G. Verutes, A.L. Vogl, S. Wood and K. Wyatt (2020), InVEST 3.9.0, CA: Standford University.
  35. 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TEEB) (2010), "Mainstreaming the Economics of Nature: A Synthesis of the Approach,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of TEEB", Switzerland: TEEB Geneva.
  36. Wilson, M. A. and S. R. Carpenter (1999), "Economic Valuation of Freshwater Ecosystem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1971-1997", Ecological Applications, 9(3): 772~783.
  37. Zhang, X., Y. Liu, M. Zhang, R. A. Dahlgren and M. Eitzel (2010), "A Review of Vegetated Buffers and a Meta-analysis of their Mitigation Efficacy in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39(1): 76~84.
  38. WAMIS (2020), "Watersheds Map", http://www.wamis.go.kr/. (in Korean)
  3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20), "Precipitation Statistics", https://data.kma.go.kr/cmmn/main.do. (in Korean)
  4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20), "Soil Map", https://soil.rda.go.kr/soil/community/application.jsp. (in Korean)
  41. Korea Forest Service (KFS) (2020), "Forest Soil Map of Korea",https://www.forest.go.kr/newkfsweb/kfs/idx/SubIndex.do?orgId=fgis&mn=KFS_03_08_01. (in Korean)
  42.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9), "National Land Cover Map", https://egis.me.go.kr/map/map.do. (in Korean)
  43. CGIAR-CSI (2019), "Global Artidity and PET Database", https://csidotinfo.wordpress.com/data/global-aridity-and-pet-database/.
  44. Nature Capital Project, "InVEST", Accessed January 12, 2024, https://naturalcapitalproject.stanford.edu/software/inv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