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and Use Changes around Urban Railway Stations in Integrated Urban-Rural Cities: A Case Study of the Gyeonggang Line Stations in Gwangju City, Gyeonggi Province

도농복합도시 도시철도 역세권의 토지이용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도 광주시 경강선 역세권을 중심으로

  • Jong-Bum Shin ;
  • Chan-Ho Kim ;
  • Chang-Soo Lee
  • 신종범 (가천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학과) ;
  • 김찬호 (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 이창수 (가천대학교 도시계획.조경학부)
  • Received : 2024.06.27
  • Accepted : 2024.08.29
  • Published : 2024.09.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changes around urban railway stations in peri-urban mixed-use cities. The research focused on four station areas along the Gyeonggang Line in Gwangju City, Gyeonggi Province, categorized into three phases based on their opening dates to analyze land use changes. The analysis method utilized building permit registry data from 2012 to 2020 within a 1 km radius of each station, at 250-meter intervals, examining temporal, spatial, and functional distributions. Statistical analysis employed SPSS for weighted cross-tabulation to explore differences in building permits and concentration levels among various building types. The findings revealed: firstly, peri-urban mixed-use city station areas exhibited the highest number of building permits at the time of opening; secondly, significant land use changes were observed within the 500-meter radius from the station; thirdly, residential buildings dominated, reflecting a trend towards housing supply-oriented land use changes; fourthly, cross-tabulation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ilding permits across time, distance, and type (p < 0.01). Lastly, the concentration analysis revealed that residential buildings were distributed most evenly, while buildings for educational, social, and agricultural and fisheries purposes were distributed unevenly.

본 연구는 도농복합도시 역세권의 토지이용 특성을 분석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광주시의 경강선 도시철도 4개 역세권에 대해 개통 시기를 3단계로 나누어 토지이용 변화를 분석했다. 분석방법으로는 2012년부터 2020년까지 9년간의 건축허가 대장 데이터를 통해 역 중심으로부터 1km내를 250m간격으로 시기별, 거리별, 용도별 분포를 분석하고, 통계적 방법으로 SPSS를 이용한 교차분석(가중케이스)을 통해 건축허가 비중의 차이와, 집중도 분석을 통해 균등하거나 편중되게 분포하는 건축물 용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도농복합도시 역세권은 시기별로 볼 때 개통 시점에 가장 많은 건축허가가 있었다. 둘째, 거리별로 볼때 역 중심에서부터 500m내 구간 범위에서 토지이용 변화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용도별로 볼 때 주거용도 건축물이 가장 많았고, 주택공급 위주의 토지이용 변화 특성을 보였다. 넷째, 교차분석 결과 시기별, 거리별, 용도별 건축허가 차이가 p<0.01보다 유의했다. 끝으로, 집중도 분석결과 주거용도 건축물이 가장 균등하게 분포했고, 교육사회용도, 농수산용도의 건축물은 편중되게 분포하는 특징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재원.성현곤(2018), "삼중차분 회귀모형을 활용한 도시철도 역세권 토지이용 변화에 미치는 영향분석: 대전시 도시철도 1호선 개통 후 10년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3(5): 171~183.
  2. 김성은.원유호(2013), "다차원 척도법(MDS)를 활용한 지하철 역세권과 TOD계획요소의 연관성에 따른 유형 분류", 「LHI Journal」, 4(2): 167~176.
  3. 김옥연.이주형(2011), "역세권 유형별 특성에 의한 서울시 도시개발관리방향 연구: 서울시 지하철 역세권을 중심으로", 「LHI Journal」, 2(4): 539~552.
  4. 문영일(2013), "역세권의 토지이용 유형별 지하철 이용수요에 미치는 도시계획 요소 분석",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5. 배진희.최근희(2018), "지하철 신분당선 개발사업이 주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용인시 수지구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31(4): 83~99.
  6. 성현곤.천상현(2014), "수도권 역세권 토지이용 팬턴과 철도이용 수요와의 연관성", 「국토연구」, 81: 121~131.
  7. 유경상(2013), "역세권 토지이용 특성을 기반으로 한 도시철도 통행발생 모형" , 「서울도시연구」, 14(2): 145~157.
  8. 유승환.강준모(2012), "역세권 공간구조 특성이 지가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2(1): 61~69.
  9. 이규태.김은지.도수관(2016), "도시철도 건설과 역세권이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지역연구」, 32(1): 3~16.
  10. 이기배.이명훈(2004), "수도권의 인구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7): 37~47.
  11. 이재원.조미정(2020), "경인선 역세권 토지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도시재생」, 6(3): 5~24.
  12. 임병호.지남식(2012), "지하철 개통 이후 역세권 거리 구간별 건축물 용도 분포 및 변화추이 고찰: 대전시 용문 지하철을 사례로", 「국토계획」, 47(3): 309~323.
  13. 정승호.이민석(2023), "광주광역시 상업지역의 역세권 건축물 특성분석", 「대한건축학회 춘계 학술 발표 대회 논문집」, 43(1): 342~345.
  14. 진동민(2012), "역세권이 토지 과세표준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27(1): 30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