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청소년의 학업성적별 스마트폰 이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Suicidal Ideation by Adolescents' Academic Grades

  • 전상남 (동양대학교 보건의료행정학과)
  • Sang Nam Jeon (Dept. of Public Health & Medical Administration, Dongyang University)
  • 투고 : 2024.07.19
  • 심사 : 2024.08.13
  • 발행 : 2024.08.31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업성적별 스마트폰 이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제19차(2023년)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총 52,875명의 표본을 분석하였다. 학업성적은 상, 중, 하로 분류하였으며, 학업성적별 스마트폰 이용시간, 스마트폰 의존도, 자살생각에 대해 x2검정, ANOVA,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학업성적 '하', '중', '상' 순서로 스마트폰 이용시간, 스마트폰 의존도, 자살생각은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성적 그룹에서 스마트폰 의존도는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청소년의 올바른 스마트폰 이용과 자살 예방을 위하여 맞춤형 교육 및 정신건강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ffect of smartphone use on suicidal ideation by adolescents' academic grades. Methods: The smartphone use time, academic grade and suicidal ideation of 52,875 adolescents were analyzed using raw data from the 2023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high level group, middle level group and low level group in terms of the self-rated academic grades. Data were analyzed with x2, 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smartphone use time, smartphone dependence and suicidal ide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cademic grades. Second, all academic grades showed the effect of smartphone dependence on suicidal ideatio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 on smartphone use and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programs were necessary to reduce suicidal ideation.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2년도 동양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참고문헌

  1. 강제욱. (2019).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우울증상 및 자살의 관계. 사회정신의학, 24(2), 48-57.
  2. 강제욱. (2022). COVID-19 대유행 이후 청소년의 정신건강문제 변화양상 비교: 2020, 2021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기반. 신경정신의학, 61(4), 317-324.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3. 2023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세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4. 교육부. 2014. 초중고학업중단 현황 발표 보도자료(2014.9.4.). 세종: 교육부.
  5.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023. 2023년 교육기본 통계. 세종: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6. 김병년. (2013).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13(4), 208-217.
  7. 김윤화. 아동.청소년의 미디어 이용행태와 미디어 이용 제한. KISDI STAT Report 2024년 3월 30일자
  8. 김은경. (2022). 코로나19로 인한 일상 변화와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 관계 분석. 인문사회 21, 13(5), 1695-1710.
  9. 김의철, 박영신. (2008). 한국 사회와 교육적 성취(II): 한국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대한 심리적 토대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14(1), 63-109.
  10. 김재엽, 성신명, 장건호. (2016).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가족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 51, 187-218.
  11. 김재엽, 황현주. (2015).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6(4), 59-84. https://doi.org/10.14816/SKY.2015.26.4.59
  12. 김지은, 김선정. (2020). 우리나라 청소년의 학업성적과 우울감, 자살행동과의 연관성.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7(3), 57-69.
  13. 박병선, 배성우. (2012). 대인관계와 학교성적이 학교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학교급별 비교. 청소년복지연구, 14(3), 215-238.
  14. 박정수. (2019).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공격성,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친구 관계의 통제효과. 인문사회21, 10(2), 443-456.
  15. 서인균, 이연실. (2017). 청소년기 스마트폰 중독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14(3), 69-89.
  16. 이선영, 허명륜. (2015). 중년남성의 자살생각 영향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7), 4777-4785. https://doi.org/10.5762/KAIS.2015.16.7.4777
  17. 이수현, 이강이. (2015). 성적 부진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자녀 관계스트레스와 자존감의 매개효과: 다집단분석을 활용한 학교급별 차이 탐색. 청소년학연구, 22(9), 183-211.
  18. 이영재. 청소년 자살예방...지킬 수 있는 생명은 지켜야 합니다. 의협신문 2023년 5월 11일자
  19. 이창민. (2014).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다 사용이 자살 충동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 이현정, 유현순. (2019).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생활체육 참여의도, 참여빈도, 여가만족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3(2), 57-70.
  21. 임재현, 전동일. (2019).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위축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10), 649-659.
  22. 원경림, 이희종. (2019). 청소년기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끼치는 영향에서 학교유대감, 우울 및 불안의 매개효과 : 교사유대감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6(9), 79-104.
  23. 장은희. (2023). 모-자녀의 청소년 학업성취도에 대한 평가가 행복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석사학위논문]. 서울: 상명대학교 대학원.
  24. 전영욱, 유현주, 이효진. (2024).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미시체계 변인 탐색. 미래청소년학회지, 21(2), 227-253.
  25. 전민경. 2023. 경기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지원계획 수립연구. 수원: 경기도여성가족재단.
  26. 전상남. (2016). 중학생의 학업성적별 자아유능감이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17(1), 1-10.
  27. 정상복. (2022). 도시지역 일부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관련된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3(4), 130-137.
  28. 조선배. (1996). LISREL 구조방정식 모델. 서울: 영지문화사.
  29. 조용현. (2020).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우울감 및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30. 질병관리청. 2023. 제19차(2023년) 청소년건강 행태조사. 오송: 질병관리청.
  31. 홍은경. (2024).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 따른 학업성적과 정신건강상태 비교.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22(1), 43-53.
  32. Buxton OM, Chang AM, Spilsbury JC, Bos T, Emsellem H, Knutson KL. (2015). Sleep in the modern family: protective family routines for child and adolescent sleep. Sleep Health, 1, 15-27. https://doi.org/10.1016/j.sleh.2014.12.002
  33. Chen J, Huebner ES, Tian L. (2022). Longitudinal associations among academic achievement and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in elementary schoolchildren: Disentangling between- and within-person associations. 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1(9), 1405-1418. https://doi.org/10.1007/s00787-021-01781-y
  34. Dmitri R, Jason CL, Brian JH, Jon DE. (2018). The association between problematic smartphone use,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 severity, and objectively measured smartphone use over one wee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87, 10-17. https://doi.org/10.1016/j.chb.2018.05.019
  35. Gijzen, MWM. 외 5명. (2021). Suicide ideation as a symptom of adolescent depression. A network analysi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78, 68-77. https://doi.org/10.1016/j.jad.2020.09.029
  36. Lemola S, Perkinson-Gloor N, Brand S, Dewald-Kaufmann JF, Grob A. (2015). Adolescents'electronic media use at night, sleep disturbance,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smartphone ag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4(2), 405-418. https://doi.org/10.1007/s10964-014-0176-x
  37. Thompson EA, Eggert LL. (1999). Using the suicide risk screen to identify suicidal adolescents among potential high school dropou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8(12), 1506-1514. https://doi.org/10.1097/00004583-199912000-00011
  38. Wang PW. 외 6명. (2014). Association between problematic cellular phone use & suicide: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and depression. Comprehensive Psychiatry, 55(2), 342-348. https://doi.org/10.1016/j.comppsych.2013.09.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