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on Depression in Single-Parent Household Heads

차별경험이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Kim, Jung-Hee (Dept. of Buddhist Sociology, Joong-Ang Sangha University)
  • 김정희 (중앙승가대학교 불교사회학부)
  • Received : 2024.05.19
  • Accepted : 2024.08.05
  • Published : 2024.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single-parent household heads and their children on their level of depression. As its sample, the study used data from 1,631 relevant respondents to the 2021 Single-Parent Family Status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version 25.0,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 verification, correlations, and regression analysis. First,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as single-parent and family characteristics, health factors, and economic resources, and differences in depression were analyzed accordingly. Among the health factors, health status, frequency of exercise, and methods of alleviating depression were significant. Regarding economic resources, housing type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were significant factors. Second, factors influencing the impa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on depress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health factors,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 With regard to economic resources, monthly household income,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household heads,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children, and overall discrimination experiences were significant. No significant variables were identified among single-parent and family characteristic factors. Therefore, it was evident that health factors and economic resources, as well as discrimination experiences,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increase depression in single-parent household heads. Based on these findings, corresponding relevant alternative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 가구주 본인과 자녀가 경험한 차별경험이 가구주의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표본은 여성가족부의 「2021년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를」를 활용하여, 연구에 부합한 1,631명의 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5.0을 통해 기술통계, 차이검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을 한부모 및 가족특성 요인, 건강요인, 경제자원 요인으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우울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건강요인 중 건강상태, 운동빈도, 우울감 해결 방법이 유의미했고, 경제자원 요인은 거주 형태, 월 가구소득이 유의미했다. 둘째, 차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건강요인의 건강상태, 경제자원 요인의 월 가구소득, 가구주 차별경험, 자녀 차별경험, 전체 차별경험이 유의미했다. 한부모 및 가족특성 요인은 유의미한 변수가 없었다. 따라서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건강요인과 경제자원 요인을 비롯해 차별경험이 우울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4년 중앙승가대학교 봉은학술지원사업 중 학술논문지원사업으로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감정기, 임은애(2005). 장애인차별 개념의 확장을 위한 양가적 장애인차별 척도개발. 사회복지연구, 26, 5-34. UCI : I410-ECN-0102-2009-330-001585854
  2. 강창현(2016). 한부모 여성의 건강 불평등 분석. 한국공공관리학보, 30(4), 297-319. DOI : 10.24210/kapm.2016.30.4.011
  3. 경기도 한부모가족 지원 거점 기관 누리집(2024). https://www.gghanbumo.or.kr/에서 2024.05. 인출
  4. 고선강, 송혜림, 강은주(2023). 한부모가족의 특성에 따른 가족건강성 차이.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7(1), 25-39. DOI : 10.22626/jkfrma.2023.27.1.003
  5. 권재현(2014). 가족 지지와 사회적 지지가 미혼모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 시설미혼모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안나(2014). 가구 유형별 빈곤과 배제의 특성 연구. 가족과문화, 26(1), 237-265. DOI : 10.21478/family.26.1.201403.009
  7. 김유균, 김승섭, 손인서(2015). 결혼이민자의 차별경험과 주관적 건강 수준 간의 연관성 : 출신지역과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5(3), 421-452. DOI : 10.15709/hswr.2015.35.3.421
  8. 김정란, 김혜신(2014).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 : 가구주의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9(1), 143-160. UCI : I410-ECN-0102-2015-300-000357477
  9. 김정석, 신유리, 노승현(2017). 중고령 장애인의 우울 영향 요인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54, 77-96. DOI : 10.17939/hushss.2017.54.005
  10. 김지영, 이윤석(2022).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응과 차별경험. 지역과 세계, 46(3), 5-33. DOI : 10.33071/ssricb.46.3.202208.5
  11. 김지현(2021). 미혼모의 원가족과의 관계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양육효능감과 차별겸험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5(3), 447-463. UCI : I410-ECN- 0102-2022-300-000740024
  12. 남수연(2017). 사회적자본이 한부모가정 여성의 우울과 경제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양부모가정 여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노영희, 김상인(2016). 한부모의 자녀양육 어려움, 고용지위,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한부모의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24(2), 167-185. DOI : 10.21479/kaft.2016.24.2.167
  14. 문은영(2011). 서울시 한부모가족 실태조사를 통해 본 부자(父子)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공공사회연구, 1(2), 135-174.
  15. 문화진(2023a). 한부모의 우울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 국제사회, 7(3), 61-81. DOI : 10.22718/kga.2023.7.3.003
  16. 문화진(2023b). 한부모가족의 특성, 한부모의 어려움과 우울감이 학령기 자녀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 문제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4(1), 651-661. DOI : 10.22143/HSS21.14.1.46
  17. 박승진, 최혜라, 최지혜, 김건우, 홍진표(2010). 한글판 우울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의 신뢰도와 타당도. 대한불안의학회지, 6(2), 119-124. UCI : G704-SER000010590.2010.6.2.006
  18. 박현식(2008).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차별경험이 사기(morale)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1), 127-139.
  19. 여성가족부(2021). 2021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 여성가족부, 법무부, 보건복지부, 교육부, 고용노동부(2020). 미혼모 등 한부모가족 지원 대책. 관계부처 합동.
  21. 연은모, 최효식(2021).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이혼 가정청소년의 과도한 인터넷 및 스마트폰 이용 예측 요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8), 123-135. DOI : 10.22251/jlcci.2021.21.8.123
  22. 예정은(2017).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이 주관적 건강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오성은, 김한성(2020). 사회적 배제가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1(1), 207-226. DOI : 10.16881/jss.2020.01.31.1.207
  24. 우미정, 최미숙, 임효연(2022). 한부모의 주택임차 시 차별경험과 주거환경 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12), 552-563. DOI : 10.5392/JKCA.2022.22.12.552
  25. 유수정(2022). 양육 어려움이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소희, 김성희(2019). 직장 남성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가족관계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3(4), 75-95. DOI : 10.22626/jkfrma.2019.23.4.005
  27. 이이나, 이창배(2023). 한부모가족 양육자의 차별 피해 경험의 영향 요인.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2(2), 221-246.
  28. 이혜정, 송다영(2019). 한부모의 주관적 건강 상태 변화와 영향 요인 : 가족 요인, 경제적 요인, 사회적 차별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66, 43-65. DOI : 10.16975/kjfsw.2019.65.002
  29. 장혜원(2022). 한부모의 주거환경이 초등학령기 자녀양육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최홍석, 최지호, 박기호, 주규진, 가혁, 고희정, 김성열(2007). 주요우울장애의 선별 도구로서 한국판 Patient Health Questionnair-9의 표준화. 가정의학회지, 28(2), 114-119.
  31. 통계청(202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통계청.
  32. 황정우, 이강욱, 김정유, 이동하, 김두명(2017). 동거 및 독거노인의 우울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과 대인관계의 조절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5(1), 32-62. DOI : 10.24301/MHSW.2017.03.45.1.36
  33. Bullock, S.(1994). Women and Work: Zed Books Ltd.
  34. Doherty, W. J., Susan, S., & Needle, R.(1989). Marital Disrup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Panel Study. Journal of Family Issues, 10(1), 72-85. DOI : 10.1177/019251389010001004
  35. Krieger, N.(2014). Discrimination and health inequ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44(4), 643-710. DOI : 10.2190/HS.44.4.b
  36. Pascoe, E. A., & Smart Richman, L.(2009).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health: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35(4), 531-554. DOI : 10.1037/a0016059
  37. Spitzer, R.L., Kroenke, K., & Williams, J.B.(1999). Validation and utility of a self-report version of PRIME-MD : the PHQ primary care study. Primary Care Evaluation of Metal Disorder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JAMA, 282(18), 1737-44. DOI : 10.1001/jama.282.18.1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