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4년 중앙승가대학교 봉은학술지원사업 중 학술논문지원사업으로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 감정기, 임은애(2005). 장애인차별 개념의 확장을 위한 양가적 장애인차별 척도개발. 사회복지연구, 26, 5-34. UCI : I410-ECN-0102-2009-330-001585854
- 강창현(2016). 한부모 여성의 건강 불평등 분석. 한국공공관리학보, 30(4), 297-319. DOI : 10.24210/kapm.2016.30.4.011
- 경기도 한부모가족 지원 거점 기관 누리집(2024). https://www.gghanbumo.or.kr/에서 2024.05. 인출
- 고선강, 송혜림, 강은주(2023). 한부모가족의 특성에 따른 가족건강성 차이.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7(1), 25-39. DOI : 10.22626/jkfrma.2023.27.1.003
- 권재현(2014). 가족 지지와 사회적 지지가 미혼모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 시설미혼모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안나(2014). 가구 유형별 빈곤과 배제의 특성 연구. 가족과문화, 26(1), 237-265. DOI : 10.21478/family.26.1.201403.009
- 김유균, 김승섭, 손인서(2015). 결혼이민자의 차별경험과 주관적 건강 수준 간의 연관성 : 출신지역과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5(3), 421-452. DOI : 10.15709/hswr.2015.35.3.421
- 김정란, 김혜신(2014).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 : 가구주의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9(1), 143-160. UCI : I410-ECN-0102-2015-300-000357477
- 김정석, 신유리, 노승현(2017). 중고령 장애인의 우울 영향 요인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54, 77-96. DOI : 10.17939/hushss.2017.54.005
- 김지영, 이윤석(2022).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응과 차별경험. 지역과 세계, 46(3), 5-33. DOI : 10.33071/ssricb.46.3.202208.5
- 김지현(2021). 미혼모의 원가족과의 관계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양육효능감과 차별겸험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5(3), 447-463. UCI : I410-ECN- 0102-2022-300-000740024
- 남수연(2017). 사회적자본이 한부모가정 여성의 우울과 경제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양부모가정 여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노영희, 김상인(2016). 한부모의 자녀양육 어려움, 고용지위,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한부모의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24(2), 167-185. DOI : 10.21479/kaft.2016.24.2.167
- 문은영(2011). 서울시 한부모가족 실태조사를 통해 본 부자(父子)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공공사회연구, 1(2), 135-174.
- 문화진(2023a). 한부모의 우울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 국제사회, 7(3), 61-81. DOI : 10.22718/kga.2023.7.3.003
- 문화진(2023b). 한부모가족의 특성, 한부모의 어려움과 우울감이 학령기 자녀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 문제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4(1), 651-661. DOI : 10.22143/HSS21.14.1.46
- 박승진, 최혜라, 최지혜, 김건우, 홍진표(2010). 한글판 우울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의 신뢰도와 타당도. 대한불안의학회지, 6(2), 119-124. UCI : G704-SER000010590.2010.6.2.006
- 박현식(2008).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차별경험이 사기(morale)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1), 127-139.
- 여성가족부(2021). 2021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 여성가족부, 법무부, 보건복지부, 교육부, 고용노동부(2020). 미혼모 등 한부모가족 지원 대책. 관계부처 합동.
- 연은모, 최효식(2021).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이혼 가정청소년의 과도한 인터넷 및 스마트폰 이용 예측 요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8), 123-135. DOI : 10.22251/jlcci.2021.21.8.123
- 예정은(2017).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이 주관적 건강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오성은, 김한성(2020). 사회적 배제가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1(1), 207-226. DOI : 10.16881/jss.2020.01.31.1.207
- 우미정, 최미숙, 임효연(2022). 한부모의 주택임차 시 차별경험과 주거환경 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12), 552-563. DOI : 10.5392/JKCA.2022.22.12.552
- 유수정(2022). 양육 어려움이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소희, 김성희(2019). 직장 남성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가족관계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3(4), 75-95. DOI : 10.22626/jkfrma.2019.23.4.005
- 이이나, 이창배(2023). 한부모가족 양육자의 차별 피해 경험의 영향 요인.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2(2), 221-246.
- 이혜정, 송다영(2019). 한부모의 주관적 건강 상태 변화와 영향 요인 : 가족 요인, 경제적 요인, 사회적 차별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66, 43-65. DOI : 10.16975/kjfsw.2019.65.002
- 장혜원(2022). 한부모의 주거환경이 초등학령기 자녀양육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홍석, 최지호, 박기호, 주규진, 가혁, 고희정, 김성열(2007). 주요우울장애의 선별 도구로서 한국판 Patient Health Questionnair-9의 표준화. 가정의학회지, 28(2), 114-119.
- 통계청(202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통계청.
- 황정우, 이강욱, 김정유, 이동하, 김두명(2017). 동거 및 독거노인의 우울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과 대인관계의 조절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5(1), 32-62. DOI : 10.24301/MHSW.2017.03.45.1.36
- Bullock, S.(1994). Women and Work: Zed Books Ltd.
- Doherty, W. J., Susan, S., & Needle, R.(1989). Marital Disrup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Panel Study. Journal of Family Issues, 10(1), 72-85. DOI : 10.1177/019251389010001004
- Krieger, N.(2014). Discrimination and health inequ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44(4), 643-710. DOI : 10.2190/HS.44.4.b
- Pascoe, E. A., & Smart Richman, L.(2009).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health: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35(4), 531-554. DOI : 10.1037/a0016059
- Spitzer, R.L., Kroenke, K., & Williams, J.B.(1999). Validation and utility of a self-report version of PRIME-MD : the PHQ primary care study. Primary Care Evaluation of Metal Disorder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JAMA, 282(18), 1737-44. DOI : 10.1001/jama.282.18.1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