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in Single-Person Households on Depression: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령의 조절효과

  • Received : 2024.06.06
  • Accepted : 2024.08.06
  • Published : 2024.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in single-person households on depression an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To achieve this, data from 2,969 individuals aged 20 and older living in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analyzed using the 17th wave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2022). Socioeconomic deprivation was measured by 15 items related to six domains: food, housing, social security, economic status, social exclusion, and health and medical care. Depression was measured using the CESD-11 scale, while age was considered a continuous variable.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depression, with age playing a moderating role. Specifically, socioeconomic deprivation had a stronger negative influence on depression thean older single-person household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s should take into account age-related changes in the life course when addressing the impact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on depression in single-person households.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가 경험하는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연령의 조절 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7차년도(2022년)에서 전국의 20세 이상 성인들 중 1인 가구 총 2,969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사회경제적 박탈은 한국복지패널 항목 중 식생활 박탈, 주거 박탈, 사회보장 박탈, 경제적 박탈, 사회적 박탈, 건강 및 의료 박탈 등 6가지 영역에 대한 15개 항목을 선별한 후 영역별 박탈 여부를 측정·합산하였다. 우울은 CESD-11 척도로 활용하였으며, 연령은 연속 변수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경제적 박탈과 우울은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이 관계에서 연령의 조절 효과가 발견되었다. 즉, 1인 가구의 연령이 높을수록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1인 가구에서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생애 발달 과정과 연령 변화를 감안한 정책적 및 실천적 개입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훈(2018).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 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강상경, 권태연(2008). 사회경제적 지위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의 생애주기별 차이에 대한 탐색적 고찰.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0, 332-355.
  3. 강영호(2005). 사회경제적 건강 불평등에 대한 생애적 접근법. 예방의회학지, 38(3), 267-275.
  4. 강은나, 최재성(2014). 노년기 우울의 다중변화궤적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34(2), 387-407.
  5. 강은나, 이민홍(2016).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4, 47-56.
  6. 고가영(2014). 1인가구 증가 소비지형도 바꾼다 : LGERI 리포트.
  7. 고아라, 정규형, 신보경(2018). 중장년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연구: 다인 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59, 55-78.
  8. 권현정, 공정원, 오혜은(2022). 노인의 다차원적 건강과 사회경제적 계층화에 대한 연구. 인문사회 21, 13(1), 2651-2666.
  9. 김수영, 허성희, 장수지(2018).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학회, 88-124.
  10. 김안나, 최승아(2016). 박탈과 우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사회복지정책, 43(1), 81-105.
  11. 김주희, 유정원, 송인한(2015).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령의 조절 효과 분석. 보건사회연구, 35(3), 42-70.
  12. 김진영(2007).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의 관계: 연령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한사회학, 41(3), 127-153.
  13. 김혜영(2008). 한국가족의 다양성 증가와 그 이중적 함의. 아시아여성연구, 47(2), 7-37.
  14. 백선숙(2016).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데이터분석학회지, 18, 1011-1021.
  15. 서연숙(2015). 노인의 연령에 따른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노년학, 35(1), 99-117.
  16. 서울시복지재단(2016). 서울시 고독사 실태파악 및 지원방안 연구. 서울시복지재단.
  17. 엄순옥(2017). 사회경제적 박탈 경험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윤태호(2010). 지역 간 건강 불평등의 현황과 정책과제. 상황과 복지, 30, 49-77.
  19. 이성균(2008). 중장년층의 취업과 괜찮은 일자리. 한국사회정책, 15(2), 181-216.
  20. 이웅, 임란(2014). 박탈경험과 불평등인식의 관계연구: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34(4), 93-122.
  21. 이한나, 박단비(2012).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의 빈곤수준, 박탈경험, 고립감 및 생활만족도 연구. 재활복지, 16(1), 1-23.
  22. 이현주(2013). 노년기 우울의 종단적 변화: 연령집단별 차이와 위험요인. 노인복지연구, 61, 291-318.
  23. 임유진, 박미현(2018). 1인 가구 중년의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지, 34, 187-206.
  24. 정경희, 남상호, 정은지, 이지혜, 이윤경, 김정석, 김혜영, 진미정(2012). 가족구조 변화 와 정책적 함의: 1인가구 증가 현상과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5. 최석현, 김재신(2017).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VII: 1인 가구. 이슈&진단, 292, 1-22.
  26. 탁장한, 박정민(2017). 과중채무자의 사회경제적 박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48(2), 173-201.
  27. 한혜진, 오은주, 정순희(2014). 1인 가구의 주관적 경제인 식 및 경제적 노후준비와 재정만족도 관계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7(1), 173-198.
  28. 허종호, 조영태, 권순(2010). 사회경제적 박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 44(2), 93-120.
  29. 홍현진, 강민수(2016). 독립하고 싶지만 고립되긴 싫어. 서울: 오마이북.
  30. Almeida, O. P.(2014). Prevention of depression in older age. Maturitas, 79, 136-141.
  31. Alwin, D. F., & Wray, L. A.(2005). A life-span developmental perspecitve on social status and health. Journals of Gerontology, 60B(II), 7-17.
  32. Bossert, W., D. Ambrosio, C., & Peragine, V.(2007). Deprivation and social exclusion. Economica, 74: 777-803.
  33. Conroy, K., Sandel, M., & Zuckerman. B.(2010). Poverty grown up: how childhood socioeconomic status impacts adult health. Journal of Developmental & Behavioral Pediatirics, 31(2), 154-160.
  34. Conwell, Y., Caine, E. D., & Olson, K.(1990). Suicide and cancer in late life. Hospital Community Psychiatry, 41, 1334-1339.
  35. Crosnoe, R., & Elder, G. H.(2002). Successful adaptation in the later years: A lifecourse approach to ag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5(4), 309-328.
  36. DiPrete, T. A., & Eirich, G. M.(2006). Cumulative advantage as a mechanism for inequality: A review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developments. Annual Review of Sociology, 32, 271-297.
  37. Fernandez-Nino, J. A., Manrique-Espinoza, B. S., Bojorquez-Chapela, L., & Salinas-Rodriguez, A.(2014). Income Inequality,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in Mexico. Plos One. 9(9), 1-9.
  38. House, J. S., Kessler, R. C., & Herzog, A. R.(1990). Age,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The Milbank Quarterly, 68(3), 383-411.
  39. House, J. S.(2001). Understanding social factors and inequalities in health: 20th century progress and 21st century prospec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3(2), 125-142.
  40. House, J. S., Lantz, P. M., & Herd, P.(2005).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social stratification ofaging and health over the life course: evidence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longitudinal study from 1986 to 2001/2002 (Americans' changing lives study). Journals of Gerontology, 60B(II), 15-26.
  41. Klerman, G. L.(1987). Clinical epidemiology of suicide.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3(2), 22-34.
  42. Law, G., Snider, A., & Leo, D. D.(2014). The Influence of Deprivation on Suicide Mortality in Urban and Rural Queensland: An Ecological Analysi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9(12), 1919-1928.
  43. Levinson, D. J.(1978). The Seasons of a Man's Life. Random House Digital, Inc.
  44. Lou, V. W. Q., Chi, I., Kwan, C. W., & Leung, A. Y. M.(2013). Trajectories of social engagement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long-term care facility residents in Hong Kong. Age and Ageing, 42(2), 215-222.
  45. Miech, R. A., & Shanahan, M. J.(2000). Socioeconomic status and depression over the life cours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1, 162-176.
  46. Mirowsky, J., & Ross, C. E.(1992). Age and depression.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3, 187-205.
  47. Park, H.(2005). Age and self-rated health in Korea. Social Forces, 83(3), 1165-1182.
  48. Robinson, K., Brocklesby, M., Garisch, J., O'Connell, A., Langlands, R., Russell, L., Kingi, T., Brown, E., & Wilson, M.(2017).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Non-suicidal Self-injury in New Zealand Adolescents: The Mediating Role of Depression and Anxiety. New Zealand Journal of Psychology, 46(3), 126-136.
  49. Schnittker, J.(2005). When mental health becomes health: Age and the shifting meaning of self-evaluations of general health. The Milbank quarterly, 83(3), 397-423.
  50. Stahl, S. T., Beach, S. R., Musa, D., & Schulz, R.(2017). "Living alone and depression: the modifying role of the perceived neighborhood environment". Aging & mental health, 21(10), 1065-1071.
  51. Swigost, A.(2017). "Approaches towards Social Deprivation: Reviewing Measurement Methods". Bulletin of Geography Socio-economic Series, 38, 131-141.
  52. Taylor, S. E., R. L. Repetti, & T. Seeman.(1997). Health Psychology: What is an Unhealthy Environment and How Does it Get Under the Skin? Annu, Rev. Psychol, 48, 411-417.
  53. The Korea Times(2023.04.14). Korea aims to curtail suicide rate with more frequent mental health checkups. 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4/08/119_349065.html
  54. Townsend, P.(1979). Poverty in the United Kingdom. Penguin.
  55. Turner, R.J., Wheaton, B., & Lloyd, D. A.(1995). The epidemiology of social stres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0, 104-125.
  56. VanDerHorst, R. K., & McLaren, S.(2005). Social relationships as predictors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older adults. Aging & Mental Health, 9(6), 517-525.
  57. Walters, K. Breeze, E., Wilkinson, P., Price, G. M., Bulpitt, C. J., & Fletcher, A.(2004). Local Area Deprivation and Urban-rural Differences in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Older than 75 Years in Britai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4(10), 1768-1774.
  58. Xinhua News.(2022.10.20). 2050년 한국 1인 가구 비중40%로 확대. http://english.news.cn/asiapacific/20221020/9947ccb3121f4128913db2c44f6cfcaa/c.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