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hanges the social structur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import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capabilities continues to increas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a checklist of questions to measure AI cap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Delphi survey was used to analyze literature and develop questions. For literature analysis, two domestic studies, five international studie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s curriculum report were collected through a search.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o construct core competency measurement elements. The core competency measurement elements consisted of understanding artificial intelligence (6 elements), artificial intelligence thinking (4 elements),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4 elemen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ocial-emotion (3 elements). Considering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of the constructed measurement elements, 19 questions were developed. The developed questions were verified through the first Delphi survey, and 7 questions were revised according to the revision opinions. The validity of 19 questions was verified through the second Delphi survey. The checklist item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measured by teacher evaluation based on performance and behavioral observations rather than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is has the implication that the measurement results of competency are raised to a reliable level.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사회의 구조와 교육환경을 변화시키며, 인공지능 역량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AI 역량 측정을 위한 체크리스트 문항을 개발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문헌 분석과 문항개발 델파이 조사를 사용하였다. 문헌 분석을 위해 검색을 통해 국내 연구 2편, 국외 연구 5편, 교육부의 교육과정 보고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해서 핵심역량 측정 요소를 구성하였다. 핵심역량 측정 요소는 인공지능의 이해(6개 요소), 인공지능 사고(4개 요소), 인공지능 윤리(4개 요소), 인공지능 사회-정서(3개 요소)로 구성하였다. 구성된 측정 요소의 지식과 기능 그리고 태도를 고려하여, 19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은 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서 검증하였고, 수정의견에 따라 7개의 문항을 수정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서 19개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체크리스트 문항은 자기보고식 설문이 아닌 수행 및 행동 관찰을 기반으로 교사의 평가에 의해서 측정된다. 이에 역량의 측정 결과가 신뢰할 수 있는 수준으로 높아진다는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