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Public Participation in the Restructuring of Gwanghwamun Plaza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과정에 나타난 시민참여 특성

  • Park, Yeongseok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e, Jeong-Han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영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 배정한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24.06.24
  • Accepted : 2024.07.25
  • Published : 2024.08.31

Abstract

The creation of open spaces has both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the local economy, society, culture, and environment. Since the public usually finances these spaces, it is necessary to ensure procedural rationality by promoting consensus among residents and other stakeholders.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of public participation in the creation of open spaces and summarizes trends. By analyzing seven cases of open space development based on participation in South Korea, the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and progression of participation during four phases of the development process in the Gwanghwamun Plaza Restructuring Project (2016-2022). During the agenda-setting phase, the Gwanghwamun Forum was convened to establish agendas for the plaza's restructuring. The design and governance phase included a design competition to select a proposal for the plaza, alongside the establishment of the Gwanghwamun Citizens' Committee for governance. Despite proactive efforts in the conflict resolution phase to halt extensive restructuring and enhance communication, civic groups opposed the project by presenting five distinct agendas. In the implementation phase, multiple public participation programs were conducted before the plaza's reopening. The study found that public participation in the Gwanghwamun Plaza project faced challenges such as inadequate participation conditions, limited information sharing, and monotonous participation opportunities. Although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for public participation is improving, practical limitations remain. Therefore,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open space creation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is necessary.

오픈스페이스 조성은 지역의 경제, 사회, 문화, 환경 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공의 재원으로 조성되기에 주민을 비롯한 이해관계자들 간 공감대 형성을 통한 절차적 합리성의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오픈스페이스 조성 과정의 시민참여 흐름을 살펴보고 그 양상을 정리한다. 이에 국내 참여 기반 오픈스페이스 조성지 7개 사례를 종합하여 조성 단계별 참여 내용과 경향을 도출한다. 또한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2016-2022)을 의제 상정 단계, 설계 및 거버넌스 단계, 갈등 조정 단계, 시공 추진 단계로 나누어 시민참여를 분석한다. 그 결과 광화문광장의 시민참여는 불충분한 참여 여건, 부족한 정보 공유, 단조로운 참여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전반적으로 시민참여의 제도적 환경이 개선되고 있으나, 실천의 영역에서 한계가 산재하고 있었다. 향후 오픈스페이스 조성 과정의 시민참여에 관한 확장된 연구가 요청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맹훈, 송혜승, 이명훈(2017) 도시재생사업 평가요소에 대한 주민-전문가 간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8(3): 45-59.
  2. 강지선(2018) 도시재생의 공론화 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지방행정학보 14(1): 273-300.
  3. 강지선, 조은영, 김광구(2018) 도시재생 공론화 과정 연구: '서울로 7017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0(3): 87-115.
  4. 광화문포럼(2017) 광화문포럼 결과 전문: 광화문광장 개선의 방향과 원칙. 서울연구원.
  5. 경제정의실천연합(2019)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이대로 좋은가' 토론회 자료집. 경제정의실천연합.
  6.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19. 7. 19.) '시민과 소통 없이 정치 시간표에 맞춘 졸속.토건 광화문광장사업을 중단하라'.
  7.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19. 7. 22.) ''졸속.불통.토건'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은 중단되어야 합니다'.
  8.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19. 8. 29.)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추가적인 행정절차를 중단해야 합니다'.
  9.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0. 1. 28.) '광화문광장은 서울의 현재와 미래를 바꾸는 디딤돌이 되어야 합니다'.
  10.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0. 2. 13.)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큰 그림 그리고 미래로 가자'.
  11.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0. 7. 1.) '광화문광장, 다시 행정절차의 볼모가 되어서는 안 된다'.
  12.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0. 10. 5.) '근시안적인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 추진을 당장 중단하라!'.
  13.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0. 10. 13.) '예산 낭비에 불과한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을 당장 중단하라!'.
  14.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0. 10. 22.)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재추진 중단을 요구하는 전문가 선언 및 서울시에 보내는 공개질의서 발표'.
  15.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0. 11. 6.) '서울시는 광화문광장 재조성 졸속 추진 즉각 중단하라! 이번 도로공사 계약은 사업 추진을 위한 꼼수'.
  16.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0. 11. 11.) '[SNS캠페인]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반대 손글씨 릴레이'.
  17.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0. 11. 12.) '시민의견 무시한 시민소통 내세워 졸속 강행하겠다? 당장 중단하라!'.
  18.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0. 11. 15.) '"광장은 그렇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서울시의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 기습강행 규탄 및 중단촉구 긴급 기자회견'.
  19.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0. 11. 16.) '"광장을 만들고 싶은 것인가, 공사를 하고 싶은 것인가" 서울시는 일방적인 공사 착공을 즉각 중단하라!'.
  20.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0. 11. 18.) '9개 시민사회단체, 1인 시위 개최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공사 즉각 중단하라'.
  21.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0. 11. 20.)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졸속 강행하려는 세력은 누구인가? 김학진 부시장과 시민사회단체 면담 파행'.
  22.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0. 11. 25.) '(1) 박원순 전 서울시장은 사업 중단을 밝혔습니다. 서울시의 공사 강행은 대의민주주의 파괴입니다'.
  23.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0. 11. 30.) '(2) 공론화 중에도 사업 계속, 공무원들이 박원순 전 시장도 속였나?'.
  24.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0. 12. 1.)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은 무효다! 서울시는 위법한 공사강행을 당장 중단하라!'.
  25.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0. 12. 14.) '(3) 330회 시민 소통은 절차적 도구에 불과했습니다'.
  26.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0. 12. 21.) '(4) 광화문광장은 보행자 광장의 탈을 쓴 4천억원짜리 대규모 토건 사업이다'.
  27.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1. 1. 5.) '(5) 동서쪽이 균형 잡힌 광화문광장이 필요합니다'.
  28.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1. 4. 14.) '오세훈 시장, 약속대로 광화문광장 공사를 즉각 중단하고 공론화를 재개해야'.
  29.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1. 4. 22.)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공사 중단과 공론화 재개를 요구하는 시민사회단체 공개질의서'.
  30.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1. 4. 28.) '오세훈 시장은 시민 대신 관료들의 손을 들어 준 것인가? 약속 뒤집고, 토건행정 알박기 용인한 오세훈 시장 규탄한다!'.
  31.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1. 5. 13.) '애초부터 잘못된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 우리는 결코 10년 전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
  32. 경제정의실천연합 보도자료(2022. 8. 5.) '광화문광장, 돌고 돌아 오세훈식 '불통' 정원으로 돌아오는가 서울시 조경사업으로 끝난 광화문광장, 만시지탄!'.
  33. 국토연구원(2013) 살고싶은 마을만들기: 시범사업의 성과와 과제, 창조적 도시재생 시리즈 38. 국토연구원.
  34. 권영상, 이재욱, 김형보, 오지원(2013) 주민참여를 통한 폐선부지활용 도시재생 통합디자인 방안.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4(5): 47-63.
  35. 김규원, 김상철, 김은희, 윤은주, 전상봉, 정기황, 황평우(2022) 광화문광장, 거버넌스는 왜 실패했는가. 리북.
  36. 김민재, 이영성(2017) 공원녹지 편익의 외부효과.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2): 111-132.
  37. 김성균(2001) 주민참여에 의한 마을마당설계. 한국조경학회지 29(3): 61-69.
  38. 김연금, 성종상, 조석만, 이규목(2003) 주민 참여를 통한 도시 소공원 설계 및 조성. 한국조경학회지 31(1): 78-89.
  39. 김연금, 이규목(2003) 의사소통 행위로서의 조경계획 및 설계에 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1(5): 73-85.
  40. 김은희(2012) '마을만들기는 운동이다,' 우리, 마을만들기. 나무도시. pp.10-39.
  41. 김은희, 이영범(2013) 도시의 마을만들기 동향과 쟁점, 창조적 도시재생 시리즈 34. 국토연구원.
  42. 김정인(2018) 공론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적용: 일본의 에너지.환경 공론화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5(1): 65-93.
  43. 김태범, 장희순(2020) 도시지역의 녹지공간이 공동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주택도시연구 10(2): 87-107.
  44. 문호준, 주창범(2022) 도시재생정책의 지속가능성 연구: 주거환경 개선과 지역주민 참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61(1): 267-287.
  45. 서울복지시민연대 성명서(2019. 10. 8.) '광장에 걸맞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논의를 기대한다!'.
  46. 서울특별시(2011) 살기좋은 마을만들기: 주민과 함께하는 도시설계 길라잡이. 서울특별시.
  47. 서울특별시(2023) 광화문광장 2022. 서울특별시.
  48. 서울특별시 공고(제2019-1362호) '세종로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안) 및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사업 전략환경'.
  49. 서울특별시 공고(제2019-2432호) '광화문시민위원회 시민참여단 대학생 서포터즈 모집 공고'.
  50. 서울특별시 공고(제2021-2395호) '「미리보는 광화문광장 일러스트 공모전」 공고'.
  51. 서울특별시 결재문서(2017. 5. 12.) '보행중심의 광화문광장 조성을 위한 광화문포럼 시민참여단 운영 계획'. 역사도심재생과-6224.
  52. 서울특별시 결재문서(2018. 7. 27.)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기본계획 관련 주민설명회 및 시민토론회 개최 결과'. 역사도심재생과-9166.
  53. 서울특별시 결재문서(2018. 12. 18.) '광화문시민위원회 정기총회 준비 간담회 결과'. 광화문광장추진단-4713.
  54. 서울특별시 결재문서(2019. 3. 26.) '광화문시민위원회 시민참여단 워크숍 개최 계획'. 광화문광장추진단-3337.
  55. 서울특별시 결재문서(2019. 8. 27.) '광화문시민위원회 시민참여단 워크숍 개최 계획'. 광화문광장추진단-9963.
  56. 서울특별시 결재문서(2019. 10. 28.)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1차 토론회 결과'. 광화문광장추진단-12049.
  57. 서울특별시 결재문서(2019. 11. 14.)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2차 토론회 결과'. 광화문광장추진단-12678.
  58. 서울특별시 결재문서(2019. 11. 25.) '광화문시민위원회 시민참여단 워크숍 개최 계획'. 광화문광장추진단-13005.
  59. 서울특별시 결재문서(2019. 11. 26.)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추진 관련 역사분야 찾아가는 전문가 토론회 결과'. 광화문광장추진단-13084.
  60. 서울특별시 결재문서(2019. 12. 4.)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3차 토론회 결과'. 광화문광장추진단-13413.
  61. 서울특별시 결재문서(2019. 12. 10.)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4차 토론회 결과'. 광화문광장추진단-13567.
  62. 서울특별시 결재문서(2019. 12. 16.)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추진 관련 건축분야 찾아가는 전문가 토론회 결과'. 광화문광장추진단-13787.
  63. 서울특별시 결재문서(2021. 5. 11.)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공사 중단에 대한 공개질의서 답변 회신'. 광화문광장추진단-3459.
  64. 서울특별시 결재문서(2021. 5. 14.) '광화문시민위원회 시민참여단 소그룹 활동계획 (유적모니터링)'. 광화문광장추진단-4123.
  65. 서울특별시 보도자료(2016. 9. 12.) '서울시, 보행중심 세종대로 구현 전략 마련을 위한 시민.전문가와 함께하는 <광화문포럼> 운영'.
  66. 서울특별시 보도자료(2017. 5. 31.) '광화문포럼, 시민대토론회에서 광화문광장 개선의 원칙과 방향 제시'.
  67. 서울특별시 보도자료(2018. 4. 11.) '서울시-문화재청, 광화문광장 역사성 회복하고 3.7배로 확장'.
  68. 서울특별시 보도자료(2018. 7. 20.) '서울시, '새로운 광화문광장' 공론화 착수...시민위원회 출범'.
  69. 서울특별시 보도자료(2019. 8. 27.) '서울시,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시민 의견 수렴...시민참여단 워크숍 개최'.
  70. 서울특별시 보도자료(2019. 9. 9.) '일제가 훼손한 역사 돌아보고 새로운 미래 구상'광화문 역사산책'운영'.
  71. 서울특별시 보도자료(2019. 10. 11.) '서울시, '새로운 광화문광장' 연말까지 전 방위 시민소통 나선다'.
  72. 서울특별시 보도자료(2019. 10. 17.) '서울시, '광화문광장 토론회'...반대시민단체 참여, 박원순 시장 '경청''.
  73. 서울특별시 보도자료(2019. 11. 1.) '박원순 시장, 광화문광장 인근 5개동 직접 찾아 주민 목소리 듣는다'.
  74. 서울특별시 보도자료(2019. 11. 11.) '"광화문으로 역사인문학 여행 떠나요"...서울시, 광화문 역사산책.인문학강좌 개최'.
  75. 서울특별시 보도자료(2019. 11. 13.) '서울시,'광화문광장의 문화적 이용'시민주도 논의...온.오프 시민 발언대 운영'.
  76. 서울특별시 보도자료(2019. 11. 14.) '서울시, '새로운 광화문광장' 다양한 학회와 릴레이 '찾아가는 전문가 토론회'.
  77. 서울특별시 보도자료(2019. 11. 20.) ''서울시, 21일'광화문광장의 역사적 위상과 월대'주제로 역사분야 전문가 토론회'.
  78. 서울특별시 보도자료(2019. 12. 6.) '서울시,'새로운 광화문광장'대표성 갖는 시민 3백 명 원탁토론회'.
  79. 서울특별시 보도자료(2019. 12. 10.) ''서울시, 11일(수)'새로운 광화문광장'건축분야 <찾아가는 전문가 토론회>'. 
  80. 서울특별시 보도자료(2020. 11. 16.) '4년 간 시민과 함께 구상, '광화문광장' 첫 발 내딛어'.
  81. 서울특별시 보도자료(2022. 8. 5.) '녹지면적 3.3배로 늘어난'공원 품은 광화문광장'이모저모'.
  82. 신고리5.6호기 공론화위원회(2017) 숙의와 경청, 그 여정의 기록: 신고리5.6호기 공론화 백서. 신고리5.6호기 공론화위원회.
  83. 신은기(2016) 산업유산 재생 설계공모에서 시민참여방안 연구: 서울시 마포석유비축기지와 서울역 고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BIM 학회논문집 6(4): 1-8.
  84. 양재섭, 김태현(2011) 서울의 도시계획 수립과정에서 시민참여 실태와 개선방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85. 윤경준, 안형기(2004) 심의민주주의적 의사결정의 효과성: 지방의제21 작성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8(2):149-165.
  86. 은재호(2017) 사회갈등 해소를 위한 국민통합 전략과 실행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87. 은재호(2022) 공론화의 이론과 실제: 건강한 공론 형성과 진단을 위한 길라잡이, 한국갈등학회 공론화총서 2. 박영사.
  88. 이다예, 최정윤, 김중은, 서형주(2021) 시민참여 도시계획 실현을 위한 커뮤니티 보드 도입.운영 방안. 국토연구원.
  89. 이상대, 정유선(2015) 시민참여 도시계획의 제도화 방안. 경기연구원.
  90. 이석현(2014) 공감의 도시를 위한 커뮤니티디자인. 도서출판 미세움.
  91. 이성은(2022) 서울시민의 도시 녹지만족도가 가족생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여가의 매개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7(3): 211-216.
  92. 이영범(2009) '함께 사는 세상을 꿈꾸는 커뮤니티 디자인,' 커뮤니티 디자인을 하다. 나무도시 pp.12-27.
  93. 이춘희(2007) 도시와 삶을 풍요롭게 하는 공원녹지: 공원녹지 행정, 조성 및 관리, 우수 사례, 서울의 공원. 도서출판 조경.
  94. 장철호, 한상연(2004) 행정과 시민참여. 경희대학교 출판국.
  95. 전경숙(2009) 지속가능한 도시 재생 관점에서 본 광주광역시 폐선부지 푸른길공원의 의의.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2(3): 1-13.
  96. 정석(1999) 마을단위 도시계획 실현 기본방향(1): 주민참여형 마을 만들기 사례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97. 정성규, 문건주, 유길준(2016)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관련당사자 의식 조사연구 - 부산광역시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지구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8(1): 131-140.
  98. 정정화(2018) 공론화를 통한 사회적 합의형성의 성공조건.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2(1): 101-124.
  99. 조봉경(2021a) 광화문광장 조성 및 재조성 계획과정 비교 연구: 협력적 계획의 담론과 실제. 지방정부연구 25(2): 131-156.
  100. 조봉경(2021b) 광화문광장 조성 및 재조성 계획과정 연구 - 왜 협력적 계획은 실패하였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1. 조연경, 박창배, 우신구(2010) 어린이 참여 디자인을 적용한 어린이 공원 조성에 관한 연구. 대한 건축학회논문집 계획 26(8): 117-126.
  102. 조은영, 강지선, 김광구(2018) 도시재생 시민참여과정 비교분석 연구: 서울시 '서울로7017'과 '문화비축기지' 사업 사례. 한국비교정부학보 22(2): 165-189.
  103. 최영오, 김태훈, 정종원(2014) 지방자치단체 주민참여의 문제점과 활성화방안 - AHP 조사기법을 통한 실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8(3): 347-373.
  104. 하상복(2010) 광화문과 정치권력, 서강학술총서 16. 서강대학교 출판부.
  105. 하혜경(2020) 공원녹지계획에 있어서 시민참여정책의 변화: 서울, 인천, 대구, 울산, 부산을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22(4): 1-24.
  106. Fishkin, J. S.(2009) When the People Speak: Deliberative Democracy and Public Consult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07. Thompson, I. H.(1999) Ecology, Community and Delight: An Inquiry into Values in Landscape Architecture. Routledge.
  108. Weeks, E. C.(2000) The Practice of Deliberative Democracy: Results from Four Large-Scale Trial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0(4): 360-372.
  109. 광화문광장 홈페이지 https://gwanghwamun.seoul.go.kr
  110. 국토교통부 도시재생종합정보체계 https://www.city.go.kr/portal/policyInfo/urban/contents01/link.do
  111. 내 손안에 서울(2009. 7. 30.) '이제, 8월 1일은 "광화문광장"의 생일입니다!' https://mediahub.seoul.go.kr/archives/2008331
  112. 뉴시스(2019. 9. 28.) '소통부족 직격탄 맞은 광화문시민위..자성.불만 혼재'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190927_0000782984
  113. 라이브서울 홈페이지 http://tv.seoul.go.kr
  114. 상상대로 서울 '시민이 즐겨 찾는 광화문광장, 어떤 공간이 되기를 원하시나요?' https://idea.seoul.go.kr/front/discussion/detail.do?sn=185460
  115. 아주경제(2016. 4. 20.) '서울시, 도시계획에 시민의견 적극 반영...자문단 '포커스 그룹' 재정비' https://www.ajunews.com/view/20160420092354741
  116. 연합뉴스(2019. 9. 19.) '새 광화문광장 설계안 전면 재검토...박원순 "시기 연연 안해"' https://www.yna.co.kr/view/AKR20190919070851004
  117. 중앙일보(2019. 8. 29.) ''광화문 광장' 불통 지적 서울시, 시민단체 워크숍 열었지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565046#home
  118. 프로젝트 서울 아카이브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 https://project.seoul.go.kr/view/viewDetailArch.do?cpttMstSeq=229
  119. 한겨레(2019. 7. 22.) '시민단체들 "시민위원도 모르는 광화문광장 재조성 중단을"' https://www.hani.co.kr/arti/area/capital/902832.html
  120. SBS뉴스(2019. 2. 15.) '[취재파일] '새 광화문광장' 시민 의견 듣는다더니... 반년 동안 '모바일 설문 조사'뿐'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137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