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care Time of Working Mothers and Fathers: A Comparison of Time Use of Generation X and Generation Y

X세대와 Y세대의 자녀돌봄시간은 어떻게 다른가?: 어린 자녀를 둔 일하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생활시간사용을 중심으로

  • Seo, Jiwon (Division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 Lee, Jung Eun (Dept. of counseling, Dankook University)
  • 서지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 ;
  • 이정은 (단국대학교 상담학과)
  • Received : 2024.03.15
  • Accepted : 2024.05.09
  • Published : 2024.05.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omposition of the time use and childcare time use of working mothers and fathers of Generations X and Y,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differences between mothers and fathers, and factors affecting childcare time. We analyzed the lifetimes of working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n=2,287) using Statistics Korea's Time Use Survey for 2014 and 2019.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comparing the lifetimes of Generations X and Y, in 2014, Generation Y mothers had longer commuted times, whereas for father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Second, comparing the time use of Generations X and Y, regardless of the survey period, Generation Y mothers had longer sleep times than their counterparts, while Generation Y fathers had longer time in sleep, home management, and childcare than their counterparts. Third, in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parents' childcare time for mothers of both generations, the less sleep times, mealtimes, working times, commuted times, home management times, and leisure times, the longer the childcare times. In the case of fathers, for Generations X and Y, the less sleep times, mealtimes, market work times, commuted times, and leisure times, the more childcare times. However, in Generation X fathers, home management time and the gender role attitude affect childcare time. While the generation gap was not clear for mothers, it was confirmed for fathers. Therefore, it was proposed not only gender differences but also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hild care policies, especially for fathers, in community care support systems incluing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본 연구는 X세대와 Y세대의 일하는 어머니와 아버지를 대상으로 생활시간 구성과 자녀돌봄시간을 세대간 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자료(2014, 2019년)를 사용하여 미취학자녀를 둔 일하는 부모(n=2,287)의 시간일지와 질문지 조사자료를 분석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X세대와 Y세대의 생활시간을 비교한 결과, 2014년에는 어머니의 경우 통근시간에서 X세대가 Y세대보다 더 길었고, 아버지의 경우 가정관리시간과 자녀돌봄시간에서 Y세대가 X세대보다 더 길었다. 2019년에는 Y세대 어머니의 통근시간이 더 길었고, 아버지의 경우 모든 생활시간에서 세대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조사시기를 통합하여 X세대와 Y세대의 생활시간을 비교한 결과, 어머니는 Y세대에서 수면시간이 X세대보다 길었고, 아버지는 Y세대에서 수면시간, 가정관리시간, 자녀돌봄시간이 X세대보다 더 길었다. 셋째, 부모의 자녀돌봄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성별과 세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어머니의 경우는 두 세대에 걸쳐 유사하게 수면시간, 식사시간, 시장노동시간, 통근시간, 가정관리시간, 여가시간이 적을수록 자녀돌봄시간이 길었다. 한편, 아버지의 자녀돌봄시간은 X세대와 Y세대 간 공통으로 수면시간, 식사시간, 시장노동시간, 통근시간, 여가시간이 짧을수록 자녀돌봄시간이 길었는데, X세대 아버지의 경우, Y세대 아버지와 달리 가정관리시간이 길수록, 성역할태도가 덜 전통적일수록 자녀돌봄시간이 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즉, 자녀돌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서 어머니의 경우 두 세대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아버지의 경우 X세대와 Y세대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는 돌봄정책과 부모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등에서 이와 같은 세대의 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수경.김해미.정미라(2018). 임신기 아버지의 가족친화적 직장조직문화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갈등과 부부관계 질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3(1), 1-20. DOI : 10.13049/kfwa.2018.23.1.1. 
  2. 김사현(2015). 가족정책 지원유형에 따른 성역할태도 변화. 한국사회정책, 22(1), 285-316. 
  3. 김소영(2020). 맞벌이 부부의 통근시간 관련 요인: 첫 자녀의 연령에 따른 집단별 비교. Human Ecology Research(HER), 58(2), 255-266. DOI : 10.6115/fer.2020.019. 
  4. 김소영.진미정(2016).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 2004-2014년 생활시간사용 자료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3), 65-84. 
  5. 김수정.조효진(2016). 미취학 자녀를 둔 X세대 남성의 일-가족 양립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지역과 세계, 40(1), 185-213. 
  6. 김우성.허은정(2007).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소비문화연구, 10(4), 31-53. 
  7. 김화연.오현규.박성민(2015). 공공 및 민간 조직의 가족친화제도가 여성 근로자들의 일-가정 갈등에 도구적 지지와 가족의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7(2), 483-511. 
  8. 매일경제(2019.04.04). 밀레니얼 세대의 가족-새로운 가족의 탄생. https://www.mk.co.kr/news/culture/8758498에서 2024.05 인출. 
  9. 박미현(2022). 90년대생 MZ세대 부모들의 자녀 양육관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재홍(2001). 세대연구의 이론적.방법론적 쟁점. 한국인구학, 24(2), 47-78. 
  11. 송유진(2011). 한국인의 일상생활 시간변화 :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자녀양육 시간. 한국인구학, 34(2), 45-64. 
  12. 손정희.김찬석.이현선(2021). MZ세대의 커뮤니케이션 고유 특성에 대한 각 세대별 반응 연구 -MZ세대, X세대, 베이비붐세대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77, 202-215. 
  13. 우은복(2002). 성역할 고정관념과 양성평등사회 실현의 과제. 한국교육연구, 8(1), 83-106. 
  14. 원숙연(2014). 성역할 고정관념의 지형변화와 여성정책에 갖는 함의: 1996년과 2010년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20(3), 141-171. DOI : 10.19067/jgs.2014.20.3.141. 
  15. 이수현.이미준.서범준(2022). 한국 성인남녀의 비만과 수면시간과의 연관성. 융합정보논문지, 12(4), 219-230. DOI : 10.22156/CS4SMB.2022.12.04.219. 
  16. 이은희(2023). 수면시간과 신체활동과의 관련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3(1), 632-628. DOI : 10.5392/JKCA.2023.23.01.632. 
  17. 이인정.김미영(2014).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5(3), 127-149. DOI : 10.16999/kasws.2014.45.3.127. 
  18. 이정은.서지원(2021). 아버지의 미취학자녀 돌봄시간 변화 추이 분석(2004-2019).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3), 103-120. DOI : 10.22626/jkfrma.2021.25.3.007. 
  19. 이현아.김주희(2021). 세대별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연구 :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간 비교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4), 71-86. DOI : 10.22626/jkfrma.2021.25.4.006. 
  20. 이현아.김주희(2022). 세대별 기혼여성의 가사노동시간 분석 :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2 춘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253. 
  21. 조윤진(2017).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부공동양육 경험. 사회과학연구논총, 33(2). DOI : 10.16935/EJSS.2017.33.2.003. 
  22. 조현승.이동희.고대영.김승민(2017). 우리나라 각 세대의 특징 및 소비구조 분석-포스트베이비부머를 중심으로. 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7, 1-174. 
  23. 주소현.김정현(2011). 세대별 개인재무관리 관련 태도 및 행동 분석 : N, X, 베이비부머, 전쟁세대를 중심으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7(3), 123-146. 
  24. 채화영(2013). 육아기 맞벌이 남성의 일,가정 양립 경험. Human Ecology Research(HER), 51(5), 497-511. 
  25. 최지은.김현경(2019). 아버지 직장의 가족친화제도가 아버지, 어머니,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13(2), 145-169. DOI : 10.5718/kcep.2019.13.2.145. 
  26. 최지은.이지원.김현경(2021). 어머니 직장의 가족친화제도 시행과 이용이 맞벌이-공동양육 잠재집단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육아정책연구, 15(1), 55-79. 
  27. 최철환.배호중(2021). 맞벌이 부부의 출퇴근시간 결정요인분석. The Women's Studies, 111(4), 97-138. 
  28. 통계청(2020). 인구동향조사. 통계청. https://www.index.go.kr/unity/potal/indicator/IndexInfo.do?cdNo=2&clasCd=10&idxCd=F0009에서 2024.05 인출 
  29. 한국경제(2024.02.27). 일하는 여성 62% "애 안 낳겠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22740211에서 2024.05 인출. 
  30. Johnston, D. D. & Swanson, D. H.(2006). Constructing the ''good mother'': The experience of mothering ideologies by work status. Sex Roles, 54, 509-519.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1199-006-9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