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장애인주간보호시설 기독교인 종사자가 경험하는 심리적 소진과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Experiences of Christian Workers at Day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 Phenomenological Study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Post-burnout Growth

  • 장승진 (양천가족심리발달센터) ;
  • 김은혜 (서울한영대학교 재활상담심리학)
  • Chang Seung-Chin ( Yangcheon Family Psychological Development Center) ;
  • Kim Eun-Hye (Seoul Hanyoung University)
  • 투고 : 2024.05.30
  • 심사 : 2024.06.27
  • 발행 : 2024.07.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종사자의 업무환경을 개선하고 효율화하여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에 대한 복지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연구문제는 장애인주간보호시설 기독교인 종사자가 경험하게 되는 내부 종사자 간의 갈등, 심리적 소진, 성장요인 등 세 가지로 구성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24년 1월부터 2024년 4월까지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근무하는 기독교인 종사자 10명 대상으로 업무처리 과정에서 경험한 사실을 면담하고 수집하여 콜라이지(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종사자들이 경험하게 되는 심리과정은 첫째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의 경험 중에서의 내부종사자 간의 '갈등', 둘째 '소진'에서 종사자가 겪게 되는 정서적 탈진, 비인간화, 성취감의 감소 증상 등의 소진과 외상의 체험이었다. 셋째 '성장'에서 종사자들이 영성을 통하여 내부갈등과 심리적 소진을 극복하고 안정감을 갖고 성장하는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종사자의 사기증진과 근무환경 개선에 유용한 자료가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welfare services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the disabled, by improving and streamlining the work environment of workers at day 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research question consisted of three issues: conflict between employees,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growth factors experienced as a Christian worker at a day care facility for the disabled. As a research method, from January 2024 to April 2024, 10 Christian workers working at a day care facility for the disabled were interviewed and collected facts about their experiences during the work process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psychological processes experienced by workers are, first, 'conflict' between internal workers in the experience at a day care facility for the disabled, and second, exhaustion, such as symptoms of emotional exhaustion, dehumanization, and decreased sense of accomplishment, experienced by workers in 'burnout'. It was a traumatic experience. Third, in 'growth', workers overcame internal conflict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through spirituality and experienced growth with a sense of stabil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data to improve the morale and work environment of workers at day 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WHO. (2022). ICD-11 for mortality and morbidity statistics. https://icd.who.int/browse11/l-m/en.
  2. WHO. (2019).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1th revision). https://www.who.int/classifications/classification-of-diseases. 
  3. 안주연(2021). 내가 뭘 했다고 번아웃일까요. 경기: 창비. 
  4. 고재욱(2013).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9. 65-94. 
  5. 신은혜(2018).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폭력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이경숙(2019).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착근도가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황순애(2021). 방문요양보호사 소진 경험에 관한 연구. 예명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이병기(2020).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온라인쇼핑몰 콜센터 상담사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오연희, 손현동, 오익수(2019). 근거이론에 의한 초등학교 교사의 소진과 회복 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25(4), 553-576. 
  10. 이윤정, 박재연(2019). 정신병원에 종사하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폭력피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7(3). 91-119. 
  11. 장일영, 기영화(2020). 교권침해 경험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과정. 교육문화연구. 26(3), 239-267. 
  12. 최혜윤, 김은하(2019) 상담전문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3(4). 1477-1499. 
  13. 보건복지부(2022). 2022년 장애인복지 시설 일람표. 
  14. 서해정, 장기성, 송기호(2019).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운영현황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개발원. 
  15. 윤민석(2013). 서울시 성인발달장애인의 사회서비스욕구와 정책과제. 서울연구원정책과제연구보고서. 1-137. 
  16. 서울시(2022),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 270 
  17. 김금낭, 김혜선(2020). 급변하는 시대에 사회복지사의 직업정체성, 서비스의 질 그리고 선제적 행동과의 관계 : 선제적 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0.37 . 55-81. 
  18. 보건복지부(2023).제III권 2021년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 
  19. 김고은(2021). 장애인복지 종사자 대상 도전적 행동지원교육의 효과성 연구 - 주간보호센터와 생활시설종사자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복지학. 53. 
  20. A. R. Hochschild, A. R. (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human feeling.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 Kaschka, W. P., Korczak, D., & Broich, K. (2011). Burnout: A fashionable diagnosis. Deutsches Arzteblatt International, 108, 781-787. 
  22. Maslach, C. & Jackson, S.E.(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 91-113. 
  23. 박은아(2014). 성인의 대인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낙관성과 관계의 질의 다중매개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Schaefer, J. A., & Moos, R. H. (1992). Life crisis and personal growth, In B. N Carpenter (eds.), Personal coping :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New York: Praege. 
  25. Chen, C. Y., Yang, C. Y., & Li, C. I. (2012). Spiritual leadership, follower mediators, and organizational outcomes: Evidence from three industries across two major chinese societie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42(4), 890-938. 
  26. Wrzesniewski, A., McCauley, C., Rozin, P., & Schwartz, B. (1997). Jobs, careers, and callings: People's relations to their work.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1(1), 21-33. 
  27. 최금자(2000). 일과 영성과 리더십. 산업경영 연구. 8(1), 23-51. 
  28. 김한별, 안아라, 허효인(2015). 종교생활의 맥락에서 살펴본 성인의 영성학습 과정: 가톨릭신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21(2), 1-29. 
  29. Fry, L. W. (2003). Toward a theory of spiritu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4(6), 693-727. 
  30. 유규창, 서재현, 김종인(2010). Workplace Spirituality의 개념적 정의와 모델, 인사조직연구. 18(4). 153-199. 
  31.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phenomenologist views it.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48-71. 
  32.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33. 박지혜, 최수찬, 이지선, 심세연, 이지혜(2017). 중소기업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융합정보 논문지. 7(1), 1 - 9. 
  34. 한광현(2017). 일터영성, 영적성숙도, 그리고 소진의 관계: 일터영성 측정척도 개발을 바탕으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1(2), 81-107. 
  35. 권미영(2020). 특수교육종사자의 번아웃에 대한 영성의 필요성.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9(2). 147-166. 
  36. Skovholt, T. M. (2001). The resilient practitioner: Burnout prevention and self care strategies forcounselors, therapist, teachers, and health professionals. New York, Routledge, 
  37. 김영희(2020).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사회복지사의 중증발달장애인 돌봄 과정에서의 폭력경험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김고은, 김호신(2019).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이 종사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종사자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사회복지연구. 10(3). 216-245. 
  39. 장승진(2023). 민원담당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산업진흥연구. 8(3), 111-123. 
  40. 김중경, 이선주, 김원종(2020). 간호사의 내부지향적 정책, 사회적지지 및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3), 89-95. 
  41. 김연수, 박미하(2022).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외상 후 성장의 매개효과: 대리외상을 경험한 자살위기 전화상담자를 대상으로. 인문사회 21. 13(6), 7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