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reasoning on the sum of triangle angles

'삼각형 세 각의 크기의 합'에 관한 초등학생의 추론 연구

  • Received : 2023.09.19
  • Accepted : 2024.02.27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students' reasoning processes and justification methods when introducing the concept of "the sum of angles in a triangle" in mathematics classes with a focus on both measurement and geometric aspects. To confirm thi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a 4th-grade class at H Elementary School in Suwon, Gyeonggi-do, South Korea.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introducing "the sum of angles in a triangle" in mathematics classes from a measurement perspective compared to a geometric perspective. Second, justifying the statement "the sum of angles in a triangle is 180°" is more effective when explained through a measurement approach, such as "adding the sizes of the three angles gives 180°," rather than a geometric approach, such as "the sum of the angles forms a straight angle." Since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 mathematical knowledge through manipulative activities, the level of activity is connected to the quality of mathematics learning. Research on this reasoning process will serve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approaching the concept of "the sum of angles in a triangle" within the "Geometry and Measurement" domain of the Revised 2022 curriculum.

본 연구는 '삼각형 세 각의 크기의 합'의 학습에서 수학수업의 도입 초점을 측정과 기하의 두 측면으로 달리하였을 때 학생들의 추론 과정 및 정당화 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H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을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삼각형 세각의 크기의 합'을 수학 수업에서 도입할 때, 측정 관점에서 도입하는 것과 도형 관점에서 도입하는 것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둘째, '삼각형 세 각의 크기의 합은 180°이다.'를 정당화하기 위해 '세 각을 모으면 평각이 된다.'와 같은 도형 방식보다 '세 각의 크기를 더하면 180°이다.'와 같은 측정 방식으로 참임을 설명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 초등학생은 조작적 활동을 통해 수학적 지식을 이해하기 때문에, 활동의 수준은 수학 학습의 질로 연결된다. 이러한 추론 과정에 대한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도형과 측정'이라는 하나 영역 속에서 '삼각형의 세 각의 크기의 합'을 어떤 계열로 접근할 것인지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하(2019). 삼각형 세 내각의 크기의 합과 관련 교과서 분석 및 지도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7), 141-159.
  2. 김지현, 김상미(2022).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삼각형의 세 각의 크기의 합'. 교육연구, 85, 49-69. https://doi.org/10.17253/SWUERI.2022.85..003
  3. 교육과학기술부(2007a). 수학과 교육과정. 국가교육과정정보센타 홈페이지.
  4. 교육과학기술부(2007b). 수학과 교육과정 해설서. 국가교육과정정보센타 홈페이지.
  5. 교육과학기술부(2010). 수학 4-1. (주)두산동아.
  6. 교육부(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교육부[교육과정정책과]
  7. 교육부(202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8].
  8. 교육부(1992). 국민학교 교육과정. 국가교육과정정보센타 홈페이지.
  9. 교육부(1996). 수학 4-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0. 교육부(199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 8].
  11. 교육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8].
  12. 교육부(2014). 수학 4-2. (주)천재교육.
  13.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14. 남승인(1999). 초등수학교육에 있어서의 추론 방법. 수학교육 논문집, 8, 45-63.
  15. 서동엽(2003). 초등 수학 교재에서 활용되는 추론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13(2), 159-178
  16. 성창근(2006). 소집단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6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추론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오영열, 박주경(2020). 삼각형과 사각형의 내각의 합지도에서 측정 오차의 활용 방안. 한국초등교육, 31(1), 143-156 https://doi.org/10.20972/KJEE.31.1.202003.143
  18. 이상해(2004). 소집단 활동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수학적 추론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임재훈(2009). 삼각형의 내각의 합: 180 ̊, 2직각, 평각, 불변성. 과학교육논총, 22(1), 23-35.
  20. 정길현(2018). 초등수학영재의 귀납적 추론과 연역적 추론 능력 실태 분석.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표형대(2020). 2015 개정 수학과 교과서 추론과제 및 정당화 내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홍갑주, 강정민(2017).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이해에 유클리드 원론이 주는 시사점. 초등수학교육, 20(1), 117-130.
  23. 홍갑주, 오성훈(2018). 초등학교 수학에서 삼각형의 내각의 합의 도입과 설명 방법. 초등수학교육, 21(1), 75-91.
  24. Anna, H. & Andreas, D. M. (2013). SURFER in math art, education and science communication. In G. W. Hart & R. Sarhangi (Eds.). Proceedings of Bridges 2013: Mathematics, music, art, architecture, culture (pp. 271-278). Tessellations Publishing.
  25. KEDI (2012). 21st century skills -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translation of the book by Bernie Trlling and Charles Fadel, JOSSEY-BASS PUBLISHR, 2009), Hak-Ji Sa.
  26. Lang, V., Lee, S.-G. & Lee, J. (2014). A mobile, open-source 2D and 3D printing graphic Creation CAS tool of mathematics courses. Journal of US-China Education Review A, 4(8), 569-580.
  27. Means, T. B., Jonassen, D. H., & Dwyer, F. M. (1997). Enhancing relevance: Embedded ARCS strategies vs. purpose.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5(1), 5-17.
  28. Moore, R. L.(1907). Geometry in which the sum of the angles of every triangle is two right angle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8(3), 369-378. https://doi.org/10.1090/S0002-9947-1907-1500791-X
  29. Van Drie, J., & Van Boxtel, C. (2008). Historical reasoning: Towards a framework for analyzing students' reasoning about the past.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0(2), 87-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