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Developing the Information System for ESG Disclosure Management

ESG 정보공시 관리를 위한 정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4.02.13
  • Accepted : 2024.03.25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While discussions on ESG are actively taking place in Europe and other countries, the number of countries pushing for mandatory ESG information disclosure related to non-financial information of listed companies is rapidly increasing. However, as companies respond to mandatory global ESG information disclosure, problems are emerging such as the stringent requirements of global ESG disclosure standards, the complexity of data management, and a lack of understanding and preparation of the ESG system itself. In addition, it requires a reasonable analysis of how business management opportunities and risk factors due to climate change affect the company's financial impact, so it is expected to be quite difficult to analyze the results that meet the disclosure standards. In order to perform tasks such as ESG management activities and information disclosure, data of various types and sources is required and management through an information system is necessary to measure this transparently, collect it without error, and manage it without omiss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signed an ESG data integrated management model to integrate and manage various related indicators and data in order to transparently and efficiently convey the company's ESG activities to various stakeholders through ESG information disclosure. A framework for implementing an information system to handle management was developed. These research results can help companies facing difficulties in ESG disclosure at a practical level to efficiently manage ESG information disclosure. In addition, the presentation of an integrated data management model through analysis of the ESG disclosure work process and the development of an information system to support ESG information disclosure were significant in the academic aspects needed to study ESG in the future.

ESG에 대한 논의가 유럽 및 여러 국가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상장회사의 비재무 정보와 관련된 ESG 정보공시의 의무화를 추진하는 국가들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업들이 글로벌 ESG 정보공시 의무화에 대응하는 데에 있어서 글로벌 ESG 공시기준의 요구사항이 까다롭거나 데이터 관리의 복잡성과 ESG 제도 자체에 대한 이해 및 준비가 부족한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기업경영의 기회와 위험요인이 기업의 재무 영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합리적인 분석을 요구하고 있어 공시기준에 부합하는 결과를 분석하기까지는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처럼 ESG 경영활동 및 정보공시 업무 등의 업무를 수행하려면 다양한 유형과 출처의 데이터가 필요하며 이를 투명하게 측정하고 오류 없이 취합하여 누락 없이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보시스템을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ESG 활동을 ESG 정보공시를 통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전달되기 위해서 다양한 관련 지표와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ESG 데이터 통합관리 모델을 설계하였으며 주요 프로세스별로 ESG 업무와 관리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시스템 구현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ESG 공시업무에 어려움에 당면한 기업에게 ESG 정보공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실무적인 차원에서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ESG 공시업무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데이터 통합관리 모델 제시 및 ESG 정보공시를 지원하기 정보시스템의 개발은 향후 ESG를 연구하는 데에 필요한 학술적인 측면에 연구에 의의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 정무권(2020). ESG 활동의 효과와 기업의 재무적 특성. 한국증권학회지, 49(5), 681-707. 
  2. 김성희, 방준성(2022). ESG 경영전략 실천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 활용.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39(7), 41. 
  3. 김신영, 홍윤선(2021). 기업의 ESG 공시제도에 관한 유럽연합 지침의 소개 및 그 시사점. 환경법연구, 43(2). 
  4. 김양희, 석준희, 김병도(2021). 기업의 ESG 역량과 기업가치의 관계에 대한 연구: 소비자 인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50(6), 1571-1593. 
  5. 김영환, 송동엽, 허정하(2022). 기업의 ESG 활동과 자율공시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재무관리연구, 39(1), 121-144.  https://doi.org/10.22510/KJOFM.2022.39.1.005
  6. 김윤경(2020). 기업 비재무정보(ESG) 공시가 재무성과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규제연구, 29(1), 35-59.  https://doi.org/10.22954/KSRS.2020.29.1.002
  7. 김재필(2022). ESG와 IT의 상관관계. KDI경제정보센터, 나라경제, 42. 
  8. 김진귀(2022). 국제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Samjong KPMG Experts Column. 
  9. 김태진(2023). ESG 정보공시 제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10. 박범진(2020). 기업특성에 따른 자율공시수준과 감사보고서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국제회계연구, 90, 25-47. 
  11. 박재흠(2023). ESG가 기업 가치 평가의 새로운 지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ESG 경영을 준비하고 계십니까? EY한영회계법인. 
  12. 삼정KMPG(2023). ESG 정보공시 의무화 시대, 기업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Samjong Insight, 86. 
  13. 신영직(2018). 자율공시수준과 주가붕괴위험. 회계z․세무와 감사연구, 60(4호), 213-239. 
  14. 양희원(202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활용한 ESG 경영. 한국지배구조원, KCGS Report, 11(11). 
  15. 오성근(2021). 환경.사회.지배구조(ESG)정보에 관한 공시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동북아법연구, 14(3), 101-143. 
  16. 이상호(2021). ESG 정보 유용성 제고를 위한 기업공시 개선방안, 자본시장연구원. 21-12. 
  17. 이상호, 이인형(2021). ESG 기업공시 개선방안. 자본시장연구원 정책세미나.
  18. 이은정, 이유경(2021). ESG와 기업의 대응. 기업지배구조 리뷰, 100(3). 
  19. 이인형(2021). ESG 평가 체계 현황과 특성 분석. 자본시장연구원 이슈보고서, 21-09. 
  20. 이정기, 이재혁(2020). 지속가능경영 연구의 현황 및 발전방향: ESG 평가지표를 중심으로. 전략경영연구, 23(2), 65-92.  https://doi.org/10.17786/JSM.2020.23.2.004
  21. 이창섭, 정아름, 전홍민(2021). ESG 결정요인 및 기업가치에 관한 연구: 경제정책 불확실성과 영업이익 변동성을 중심으로. 회계학연구, 46(6), 115-139. 
  22. 이형규(2022). ESG 정보공시와 상장회사의 대응. 비교사법, 29(4), 101-147.  https://doi.org/10.22922/JCPL.29.4.202211.101
  23. 임욱빈(2019). 비재무적 정보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ESG 점수를 중심으로. 국제회계연구, 86, 119-144. 
  24. 송준호(2023). ESG공시 의무화 26년 이후로 연기...공시 지침 언급은 없어. 임팩트온. 
  25. 윤지혜, 이종화(2022). GRI를 이용한 지속가능보고서 구성 분석: 공,사 기업 관점으로. 2022 경영정보관련학회 춘계통합학술대회, 한국경영정보학회. 
  26. 장우영(2021). 기관투자자의 ESG투자와 지속가능성. 기업법연구 35(3), 39-73. 
  27. 정유진, 오윤진, 임현경, 김진성(2019). 유가증권 상장기업 이사회 내 위원회 설치 및 운영현황. 한국기업지배구조원. 
  28. 정준희(2023). IFRS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 IFRS S2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45(1), 35-53. 
  29. 정현욱, 이미영(2020). 자율공시수준과 하방경직적 원가행태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회계저널, 29(3), 1-26. 
  30. 정광화(2018).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공시 정보의 빈도 사이의 관계. 세무와 회계저널, 19(5), 211-242. 
  31. 최미화, 김확열(2016). CSR 활동과 감사품질, 기업가치. 회계연구, 21(1), 25-51. 
  32. 최준혁, 양동훈, 유현수, 김령(2017). 비재무성과 공시의 신뢰성 검토: 지속가능보고서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46(4), 1157-1200. 
  33. 최정혁(2021). ESG 성과와 기업가치에 관한 연구: 소유구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여성경제연구, 18(2), 91-115. 
  34. 최종서(2012). 실증적 회계학연구에 있어서의 내생성문제. 경영과 정보연구, 31(4), 469-490. 
  35. 홍지연(2021). ESG 경영에 대한 이사회의 역할 확대. 자본시장포커스, 24, 1-4. 
  36. 한상범, 권세훈, 임상균(2021). 글로벌 ESG 동향 및 국가의 전략적 역할. 대외경제정책연구원. 
  37. Alalwan, A. A., Dwivedi, Y. K., & Rana, N. P.(2017). Factors influencing adoption of mobile banking by Jordanian bank customers : Extending UTAUT2 with trust.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7(3), 99-110. 
  38. Bae, J., X. Yang, & Kim, M.(2021). ESG and Stock Price Crash Risk: Role of Financial Constraints. Asia-Pacific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50(5), 556-581. 
  39. Bofinger. Y., Heyden. K. J., & Rock. B.(2022).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 efficiency: Evidence from ESG and misvaluation measures. Journal of Banking and Finance, 134. 
  40. Cahan, S., A. Rahman, & Peresa, H.(2005). Global Diversification and Corporate Disclosure. Journal of International Accounting Research, 4(1), 73-93. 
  41. Choi, J. S., Y. M. Kwak, & C. Choe.(2010).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Evidence from Korea. Australian Journal of Management, 35 (3), 291-311. 
  42. Duque-Grisales, E. & Aguilera-Caracuel, J.(2019).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Scores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Multilatinas: Moderating Effects of Geographic International Diversification and Financial Slack. Journal of Business Ethics, 168(2), 315-334. 
  43. Fatemi, A., M. Glaum, & Kaiser, S.(2018), ESG Performance and Firm Value: The Moderating Role of Disclosure. Global Finance Journal, 38, 45-64. 
  44. Frozza, T., Lima, E., & Costa, S.(2021). Knowledge management as a critical factor of an organization's sustainability. In Integrating Social Responsibi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495-510. 
  45. Gillan. S. .L., Koch. A., & Starks. L. T.(2021). Firm and social responsibility: A review of ESG and CSR research in corporate finance, Journal of Corporate Finance, 66. 
  46. Healy, P. M. & Palepu, K. G.(2001). Information Asymmetry, Corporate Disclosure, and the Capital Markets: A Review of the Empirical Disclosure Literature.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31(1), 405-440. 
  47. KPMG(2022). Big shifts, small steps: Survey of sustainability reporting 2022. KPMG International. 
  48. Marquis, C., M. Toffel, & Zhou, Y.(2016). Scrutiny, Norms, and Selective Disclosure: A Global Study of Greenwashing. Organization Science, 27(2), 483-504.